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미감독 Feb 09. 2020

행복은 재산 순이 아니잖아요

은퇴는 ‘시작’이다

어린 시절에 ‘행복은 성적 순이 아니잖아요’라는 영화가 흥행했었다.
당시 유행어와 같았던 이 문장을 입에 한두 번 안 올려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 2-30년 정도 지난 여러분.. 과연 그랬나? 정말 행복은 성적 순이 아니었나?

일단 필자는 그런 것 같다. 행복이 반드시 성적 순은 아닌 것 같다.
학창 시절 공부를 못하면 인생에서 낙오자가 될 것만 같은 공포감이 사회로부터 머릿속에 주입되었지만 살아보니 꼭 그런 것만은 아니었다. 물론 성적이 좋으면 다른 사람들보다 사회생활에서의 시작이 우월했던 건 사실이다. 그리고 남들보다 성장 속도도 빨라 사회생활 시작하고 5년? 10년? 정도는 좋은 대학 나온 친구들이 누구보다 좋아 보이는(?) 인생을 사는 것 같았다. 사실 그때 우리에게 좋아 보이는 것들이라는 게 월급 조금 더 많은 거? 또는 승진 좀 빨리하는 거 정도 아니었나?
그런데 그게 행복의 전부였던가?
누구나 아는 대기업 다니던 친구가 회사 나와서 사업하다가 하루아침에 어찌 되었다고..
사랑하는 이성과 결혼했는데 그분이 사기꾼이었다고.. 배우자와 너무 안 맞아서 불행해하다가 어찌 되었다고.. 자식이 어찌 되었다고.. 보이스 피싱당했다고.. 부모님이 어찌 되셔서 결국 어찌 되었다고.. 잘 나가던 친구였는데 갑자기 어찌 되었다고.. 어찌 되었다고..
세상에 불행할 일이 한두 가지였던가? 공부 잘한다고 그 모든 불행이 피해 가던가?
그 모든 불행 앞에 공부 조금 잘하던 게 뭔 소용이던가?


필자는 언제부턴가 “인생 정말 자알 살았다.”라고 말할 수 있는 *수준*에 대해서 고민했었다.
자식들 결혼할 때 집 한 채씩 해주고 자동차 사주고 뭐 이런 게 행복?

어렸을 때에는 그렇게 생각했다. 부자 되면 행복해지는 줄 알았다.

근데 나이가 들면서 어렸을 때 이 정도면 행복하겠지 하는 정도의 소위 부자들을 몇몇 만나게 되면서 결코 그건 사실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되었다.

일단 47세 되는 이 시점에 내가 생각하는 ‘한 평생 잘 살았구나’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우리 부부 건강하고 자식들도 건강하고
우리 부부 7-80세 돼서 병원 갈 때 자식한테 손 안 벌리고
자식 앞길 막지 않도록 빚 안 남기고
자주는 아니더라도 우리 부부 손잡고 가끔 맛난 외식 즐길 수 있는 정도?
이 정도면 너무너무 감사하고 죽는 그 날 잘 살았구나.. 하면서 편히 눈 감을 것 같다.
인생의 목표다. 결코 쉽지 않은 목표다. 정말 꿈같은 말년이다.



 

<도미감독 그림>


인생은 마라톤이다.
이제 20km 구간 지났을까? 30km 구간 지났을까? 앞으로 어떤 역경이 찾아올지 모른다.
50세를 앞둔 이 시점에 나는 우리 친구들에게 한 가지 질문을 던져본다.
행복은 재산 순인가?
친구들아, 우리의 학창 시절을 생각해보면서 슬기롭게 살아보자.
우리의 행복이 꼭 성적 순이 아니었던 것처럼 남은 인생도 꼭 재산 순은 아닐 것이다.
물론 공부를 전혀 안 하면 안 되는 것처럼 재산도 전혀 없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하지만 끝도 없이 재산만 쌓는데 인생을 허비하지는 말자. 우리의 불행을 재산으로 막을 수 없는 것처럼 우리를 행복하게 해주는 것들은 재산 말고도 어마 무시하게 많을 것이다.
우리 그걸 찾도록 하자.
우리 스스로를 사랑하고 우리가 행복해할 그걸 찾아주도록 하자. 우리에게.


작가의 이전글 내가 어떻게 그런 일을 하냐? 01_직업 브레인스토밍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