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ungyeon Roh Jan 11. 2024

<무녀신무>(巫女神舞) 재해석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굿

신윤복, <무녀신무>, 조선 후기

열네 번째로 소개드릴 작품은 <무녀신무>입니다. 

무엇이 되었든 소원성취를 위한 염원의 대상들은 선사시대부터 존재했습니다. 무당이 부채를 들고 춤을 추고 있는 이 작품은 예나 지금이나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염원은 끝이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조선시대 억불정책으로 굿을 하는 것이 표면적으로는 금지되었으나 서민들 뿐만 아니라 왕실에서도 공공연히 행해졌다고 합니다. 이 작품에서는 민가에서 부녀자들이 작은 규모의 굿판을 벌인 장면입니다. 홍철릭을 입은 무당과 악공들, 흰쌀을 담은 소반이 소박함을 드러내는데요... 위에서 사선으로 내려다본 부감법의 구도를 사용한 이 작품의 감상 포인트는 무엇보다도 초록색 쓰개치마를 쓴 여인이 돌담뒤의 사내와 눈을 맞추고 있는 장면입니다. 아마도 아들을 낳지 못하는 며느리를 위해 시어머니가 벌인 굿판에서 정작 당사자는 다른 사내와 눈을 맞추고 있는 건 아닐까요? 무녀신무는 '무당이 신들린 듯 춤을 춘다'는 뜻이지만 그림의 무당은 '신들린 춤'이나 '한풀이'와는 거리가 있어 보입니다. 


The fourteenth piece I would like to introduce is " Mu-nyeshinmu." Objects of desire for wish fulfillment have existed since prehistoric times. This work depicts a shaman dancing while holding a fan, illustrating that the desire for the unseen has persisted throughout history. Despite the ostensible ban on exorcism due to the anti-Buddhist policy of the Joseon Dynasty, it is said to have been openly performed by both common people and the royal family. In this artwork, a scene unfolds where women conduct a small-scale exorcism in a private house. The shaman, adorned in a red robe, accompanied by only two musicians,  and with a small table called Soban filled with white rice, conveys simplicity.


An intriguing aspect of this work, captured from an overhead perspective, is the woman in the green robe skirt seating on a stone wall. She seems to be making eye contact with the man behind her. Was this scene, perhaps, a moment where, during a ritual performed by her mother-in-law for her daughter-in-law unable to bear a son, she was actually connecting with another man? While a 'Shinmu(神舞)' typically means 'dancing as if possessed by a spirit, ' the shaman in the picture appears distant from a 'possessed dance' or 'hanpuri.'

<무녀신무>재해석, 2023, Silkscreen, 28.3x35.3cm
<무녀신무> 연구작, 2022, Digital

재해석 그림은 코로나19가 한창이던 때의 시골집을 배경으로 하였습니다. 실내에서 마스크를 쓴 세명의 아주머니가 작은 노트북을 티브이 모니터에 연결해 온라인으로 굿판을 벌이고 있네요. 작은 소반에는 밥그릇, 쌀알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온라인 굿이지만 진지함을 엿볼 수 있습니다. 불쑥 문을 열고 들어온 남성과 작은 여자아이는 놀란 눈으로 보고 있네요. 죽부인과 전기장판, 돼지저금통, 사람보다 큰 식물들은 이 집의 분위기와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The reinterpreted painting is set in a country house during the height of COVID-19. Indoors, three women wearing masks perform an online exorcism using a small laptop connected to a TV monitor. Despite the online setting, the seriousness of the ritual is evident with a rice bowl and grains of rice placed on a small table. The man and the little girl who suddenly open the door gaze at the scene in surprise. The Dutch wife, the electric blanket, the piggy bank, and plants larger than people reflect the atmosphere of the house and the personalities of the characters.

실크스크린 실물 사진 The actual photos of the silk screen prints
작품 프린팅 순서 The order of printing the artwork.
실크스크린 5 컬러 분판 5-color separations for the screen print
B&W 이니셜 스케치 

<무녀신무>는 《혜원전신첩》중에서도 조선후기에 행해지던 무속신앙에 대한 소재를 다룬 독특한 작품입니다. 작품 제작 초반에 현대적 발상을 위해 적잖은 고민을 했기에 애착이 가는 작품이라 할 수 있겠네요. 작품은 그렇지만 현실에서 한 방송에서 다루었듯 무속 유튜브에 빠져 피해를 입는 일은 없었으면 합니다. 

그림에서 간절히 소원을 빌고 있는 어머니의 모습처럼 2024년에도 소망하는 모든 일이 이루어지시는 한 해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이상, <무녀신무>에 대한 포스트였습니다.《혜원전신첩》시리즈의 마지막 작품도 기대해 주세요! :) 


<Mu-nyeshinmu> is a unique work among the 《Hyeowonjeonshincheop》 that deals with the subject of shamanistic beliefs practic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 can say that it is a work that I am attached to because I had a lot of trouble thinking of a modern idea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but I don't want people to fall victim to shamanistic YouTube videos, as was discussed in a real-life broadcast. 


I wish you all the best in 2024, just like the mother who is making a wish in the painting, and that everything you wish for will come true. 


That's all for now, stay tuned for the final post in the "Hye Won Jeon Shinbok" series :)

매거진의 이전글 쌍륙삼매(雙六三昧) 재해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