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ke Han Apr 29. 2023

예술에 대한 나의 2년간의 고민

예술은 답이 있다고 생각해 봤다

예술이 뭘까? 2년간 고민했다.

이제 답을 어느 정도 내렸다.


1. 과연 예술가는 어떤 걸 중심으로 생각하고 예술활동을 해야 되는가


2. 성공한 예술가와 그렇지 않은 예술가는 무엇이 다른가


3. 그림의 판매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4. 그림은 누가 사고 왜 사는 것일까


5. 판매에 집중 or 아무도 모르게 혼자서 그림 그리는 예술가 중 누가 후대에 위대한 예술가로 평가받을까


6. 남을 의식해야 하는가 의식하지 말아야 하는가


7. 작가는 어떤 그룹에 속해서 성장해야 되는가


8. 자기만의 색을 갖는다는 건 어떤 의미이고 어떻게 가질 수 있을까


9. 새로운 스타일과 작가 기존스타일의 결합에 정답은 있을까


10. 실패의 두려움은 어떻게 극복할 수 있고 그런 두려움은 왜 느끼는가


11. 모방은 창작의 어머니이다 하지만 프로작가 즉 판매를 많이 하는 작가가 모방위주로 성장한다면 그걸 구매하는 컬렉터에게 무슨 가치를 주려고 하는가?


12. 예술은 메시지 라고 하는데 자기가 무슨 말을 하는지 논리적으로 토론하지 못하는 예술가가 메시지를 전할 수 있을까? 물론 말이 필요 없는 결과물이 최고의 작품이긴 하겠지만 성장하는 예술가들의 관점에서 말이다


13. 컬렉터 혹은 관람객 입장에서 도슨트를 통해 생각을 정립하는 것과 자기가 판단하고 이후에 평론가의 글을 보는 것 무엇이 좋을까


14. 예술가가 되려고 하는 사람과 성공한 예술가의 레벨을 1부터 10이라고 할 경우 단계별로 성장하는 커리큘럼과 프로세스를 구성할 수 있을까?


15. 그림에서 눈(시선)의 중요성


16. 작품 구성을 어떻게 해야 할까?


17. 간결함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8. 눈을 찌푸리게 하는 색을 만드는 작가의 그림은 가치가 있는가?


19. 인기 많은 작가의 공통점 중 하나는 어떤 전시에 가도 동일한 퀄리티의 그림이 전시되어 있다.

내 생각엔 여러 스타일의 그림을 동일한 전시에 선뵈어 어느 것이 인기가 있는지 알아보고 내가 가야 될 방향성일까 생각하거나 혹은 안 팔린 그림들을 모아서 전시를 하겠다는 생각은 나중에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생각되었다.


20. 전시를 많이 한다는 건 무엇을 의미할까


21. 오랫동안 고민해서 작품을 만드는 것과 쉬지 않고 작업하며 고민하는 것 중 어떤 작업이 올바른 작업인가


22. 아트페어에서 구매하는 사람들의 심리는 무엇일까 그중 5백만 원을 가지고 구매하러 오는 사람들의 의중에 대해 고민해 봤는가


23. 주변의 작가와 방향성이 다른데 부러워하면 내려갈 수밖에 없다


24. 페어에서 인정을 못 받고 개인전에서 인정을 받을 거라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가?


25. 상업적으로 성공하며 작품성도 인정받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6. 작가가 대화를 통한 성장은 3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아티스트커뮤니티, FGI급 컬렉터그룹 피드백, 갤러리스트의 크리틱

하지만 믿을 수 있는 그룹을 만나긴 힘들다


27. 작가가 어떤 행위를 할 때 포커싱을 해야 하는 그룹은 어디일까?


28. 나의 롤모델은 어떻게 정해야 할까


29. 상위레벨의 작가 되려면 어떤 태도를 갖추고 누구에게 배워야 할까


30. 아티스트의 성장은 각각 달라서 나중에 봐야 한다는 말은 공부와 생각을 멈추기 위한 핑계가 아닐까?


31. 외적 성장( 시장분석, 체계적인 성장계획, 메시지전달 공부 등 )을 위해 공부를 안 하는 게 아티스트라서 라는 말로 넘어갈 수 있을까?


32. 역사에 남는 아티스트가 되기 위해 작가는 무엇을 노력했고 어떤 방향으로 가려고 할까?


33. 아트를 통한 마케팅으로 수익을 창출하려면 비즈니스 구조를 어떻게 설계해야 대중의 찬사와 금전적 이득을 동시에 가져갈까


34. 관람객들에게 메시지 전달을 단계별로 접근할 수 있게 쉽게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 봤는가


35. 아트페어역사와 왜 아트페어는 재미있는가


36. 갤러리와 수수료 비율이 왜 합리적인가 , 갤러리는 무엇을 해야 하고 작가는 갤러리와 어떻게 관계를 유지해야 할까


37. 컬렉터의 집에 내 그림이 어떻게 전시될지 생각하며 그림을 그리는가? 그렇다면 그 컬렉터는 어떤 사람일까?


38. 부자의 문화를 모르거나 대중적인 문화를 모르는 사람이 그 컬렉터를 내 그림의 컬렉터로 만들 수 있을까


39. 시각적인 것이 중요할까? 가치를 어떻게 줄까?


40. 작가 or 그림 더 중요한 건?


41. 상업성과 예술성 비율에 대한 작가와 갤러리 컬렉터가 바라보는 입장의 다름

.


예술과 예술시장에 대해 매일 수없이 많은 고민과 생각 그리고 공부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많은 결과 값을 가졌다.


NFT책 집필이 끝나면 성공하는 아티스트에 관한 책을 낼 것이다!!

.

작가의 이전글 나의 메모 노하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