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지원 Jun 07. 2020

"불가사리는 물에 사는 별이야"

두려움보다 기대감으로 채워지는 육아

사랑이와 바다, 나. 셋이서 보낸 오후. 스케치북에 열심히 중장비를 그려주고 저녁을 차리고 차리면서 대충 먹고 사랑이 먹은 거 치우고 바다 기저귀를 갈고 잠시 고개 돌린 사이 사랑이가 식탁에 주르륵 엎지른 물을 닦고 자동차 놀이를 돕고 바다 목욕물 받아두고 잠시 눈 돌린 사이 사랑이가 목욕통에 들어가 있어서 얼떨결에 둘 목욕 시키고 중간중간 수유하고 그 와중에도 사랑이가 필요한 거 있다고 하면 수유하면서 가져다주고 또 틈틈히 기저귀를 갈고 아기띠하고 사과 깎고 사과 먹으면서 책을 읽어주고... 허리 한번 펼 새 없이 아이 둘 챙기다보니 어느 새 밤이 되어 여보가 퇴근했다.


주말이지만 주말이 아닌 듯 보낸 날. 아직은 엄마가 도와주시거나 여보가 함께 있지만, 그럼에도 타이밍이 안 맞으면 이렇게 혼자서 아이 둘을 본다. 지금이야 가족들의 도움을 받지만 앞으로는 온전히 내 몫인 것. 그래서 더 대수롭지 않게 해내려 하는데 예상치 못한 상황들이 많다. 근육을 과도하게 쓰다보니 몸이 너무 너무 너무 너-무 고되고 사랑이가 끝도 없이 '엄마 엄마 엄마 엄마' 부르니 머리가 쉴 틈이 없다. 오 분 아니 삼 분이라도 자유의 몸으로 가만히 앉아있고 싶다. 현실은 수유하느라 둘째를 끼고 있거나 재운다고 안고 있고 그러면서 첫째랑 놀아줘야 하니 육아노동의 강도가 평소의 몇 배로 높아진다.


그런데 이게 이상하게 생각보단 할 만 하다(너무 가혹한 풍경을 상상했던걸까). 둘째는 아직 어리니 품에 끼고 있음 되고 첫째는 말을 하면 알아들으니(그렇다고 엄마말대로만 하는 건 아니지만) 그것만 해도 어디인가 싶다. 그래도 쉽다고 할 순 없어서 자려고 누우면 운동 빡세게 한 다음 날처럼 근육이 욱신거리고 정신이 혼미하다. 새벽수유 때문에 애를 재웠어도 길어봐야 두 시간 후 다시 깨야하는 게 일상. 일 분 일 초라도 빨리 자는 것이 현명한 일일진데 이 시간의 고요함은 너무나 달콤하다.



아까 설거지 하는 중에 사랑이가 갑자기 울음을 터뜨렸다. 내가 그려준 포크레인 그림이 없어졌다며 "없어어 엄마 없어어 포코 포-코" 하고 서럽게 울었다. "사랑아 엄마도 빨리 가고 싶은데 설거지가 안 끝나 어떡하지 조금만 기다려줘. 분명히 있을텐데 어디갔을까? 울지말고 한번 더 잘 찾아보자". 그래도 운다. "사랑아 엄마가 얼른 끝내고 갈게 다시 한번 찾아보자". 계속 운다. 계속 울다가 설거지 끝내고 갔는데 나도 못 찾았다. 당황했다. "이거 세 개면 다 있는거 아니야? 사랑아 다 있는 거 같은데". 아니라고 또 운다.


어찌 어찌 상황을 정리하고 나중에 무슨 얘길 하다가 "사랑아 아까 엄마 설거지 하느라 바빠서 사랑이한테 바로 못 갔는데 기다려줘서 고마워" 그랬더니 사랑이가 "또 기다려주꺼야" 한다. "정말? 사랑이 힘들었을텐데도 이해해줘서 고마워" 하니 "안 울거야" 한다. 우느라 내 말은 들리지도 않았을 것 같은데 그 와중에 울지 말고 찾아보자고 찾을 수 있다고 했던 걸 기억한다. 엄마가 고맙다고 하면 그 말이 좋아서인지 동생돌보기도 도와주고 집안일하는 시간도 기다려준다. 쪼끄만애가 왜 이렇게 착하지 싶어 고맙기도 하고 이러다 빨리 철 들까 걱정도 된다. 더 천천히 커도 되는데.



"불가사리는 물에 사는 별이야". 낮에 고래밥 먹던 사랑이가 말했다. 이렇게 예쁜 말을 하는 고운 아이가 있으니 세상 정신없는 나홀로 육아타임이 그래도 할 만한 걸테다. 아이 둘 키우기가 두려움보다 기대감으로 채워지는 건 모두 이 아이 덕분. 사랑이가 이때까지 탈 없이 곧게 자라줬으니 바다도 사랑이 하던대로만 하면 되겠지, 나 잘 할 수 있을거야, 하는  자신감이 생긴다. 엄마가 형아만큼 못 챙겨줘도 쑥쑥 자라주는 바다가 고맙지만, 아무리 그래도 사랑이만큼은 못하다. 언제나 제일 고마운 건 내 첫 사랑 사랑이. 예전엔 할머니가 어떤 상황이든 큰 아들인 아빠 편만 드시는 게 세상 이해가 안됐는데, 이젠 조금, 아주 조금 알 것도 같다. 할머니한테도 아빠는 첫사랑이었을테니까. 아마도 그래서.

 


20200418

매거진의 이전글 노란꽃향기를 맡는 아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