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얼룩 Mar 04. 2020

작가의 글 쓸 권리와 글 쓰지 않을 권리

허먼 멜빌, "필경사 바틀비" Bartleby the Scrivener

작가는 자신이 생각하는 것을 글로 쓰는 사람입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지금 시대에 작가는 그리 특별날 것 없는 존재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우리의 눈이 책 표면에 새겨진 글자를 훑으며, 그것이 단지 까만 잉크로 된 물리적 실재가 아니라 생생하게 빛나는 또 다른 차원의 글자처럼 여겨지는 순간을 경험하게 되거나, 또는 글자들 낱낱을 읽어내는 파편적인 시선이 아닌 어떤 통합된 목소리가 들려오는 것을 경험하는 순간, 우리는 바로 작가를 보게 됩니다.


분명, 과거 작가의 모델은 남들이 갖지 못한 특별한 지식이나 뛰어난 생각을 자신이 갖고 있는 문자 표기의 기술을 활용하여 글을 쓰는 사람이었습니다. 글을 쓰는 과정에서 글을 읽는 누군가로 하여금 자신의 지식이나 생각을 이해하거나 공감하고 나아가 동의하는 것에까지 나아가 좀 더 나은 인간이 되고자 하는 전망을 포함하는 대상이었죠.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이 지금보다 조금 더 특별한 것이었던 시대에는, 작가의 자리 역시 좀 더 특별한 곳에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대도시 파리의 아케이드 사이를 돌아다니며 그곳에 진열된 자본주의 상점의 상품들 속에서 희미하게 감지되는 고대의 향기를 맡았던 작가 보들레르 이후, 작가는 거리를 산책하면서 그 속에서 자신이 받은 감각이나 자신이 했던 정서, 생각 등을 단초로 글로 옮기는 사람으로 바뀌었습니다. 유동하며 교환하는 자본주의적 현실을 개탄했던 작가나 그것을 적극적으로 옹호했던 작가나 모두 글쓰기를 온전히 작가 자신의 창작물로 간주했던 것이 아니라 그가 현실 세계로부터 예민하게 받아들인 것들을 그대로 글로 번역하여 옮기는 필사자 같은 존재가 되었습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박태원朴泰遠(1910~1986)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바로 이러한 현대적인 작가의 가장 대표적인 표상일 것입니다. 이후 등장했던 수많은 ‘구보씨’들 역시 그런 작가의 대표적인 존재들이지요. 조금은 특별한 곳에 마련되었던 온전히 창조적인 작가의 자리는 이제는 현실 세계의 감각을 받아들이는 예민한 자의식으로 환치되었습니다. 글쓰기가 특별한 능력이랄 것도 없게 된 지금 시대에 우리 모두는 새로운 의미의 ‘작가’가 될 준비가 이미 되어 있는지도 모릅니다.


미국 작가인 허먼 멜빌 Herman Melville(1819~1891)이 1853년에 쓴 필경사 바틀비-월가 이야기 Bartleby the Scrivener-A Story of Wall Street라는 짧은 소설은 바로 새로운 시대의 작가의 모습에 대해 말해주는 작품입니다. 바틀비는 월가의 변호사 사무소의 세 번째 필경사로 고용되었습니다. 필경사란 남이 쓴 글을 그대로 옮겨 적는 사람이지요. 말하자면, 문서를 복사하는 기계 같은 존재입니다. 바틀비는 엄청난 양의 문서를 믿을 수 없는 속도로 필사를 해냅니다.

하지만, 독특하게도 그는 자신이 쓴 글을 검토하는 일만큼은 하고 싶지 않아 합니다. 그는 단호하게 “그렇게 안 하고 싶습니다 I would prefer not to”라고 말합니다. 

필경사로서 글을 옮겨 적는 것은 할 수 있지만, 검토하는 것은 거부하겠다는 그의 태도는 일반적으로 납득되지 않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잉여의 일을 거부하는 사보타주 sabotage의 행위, 즉 저항의 태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읽히기도 했지요. 하지만, 현대적인 작가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이 문제는 좀 더 복잡하게 다가옵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글을 복제하는 기계인 복사기에게 그 글을 검토하기를 요구할 수 있을까요.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바틀비는 ‘진정한 의미의 작가’가 되지 못하는 20세기의 돈키호테입니다. 그가 필경을 멈추는 틈틈이 유일하게 하는 일이 가끔씩 창밖을 내다보며 공상을 하는 일이라는 사실은 그러한 지표일 수도 있겠습니다. 그는 진정한 작가를 꿈꾸지만, 그가 하고 있는 일은 고작해야 남의 말을 옮기는 필경사에 불과합니다. 남의 글이 자신의 살이 되는 것을 원치 않는 것입니다.


결국 모든 것을 거부한 채 죽어가는 바틀비를 기억하며, 이 소설은 “아 바틀비여! 아, 인간이여!”라는 문장으로 끝맺습니다. 바틀비는 바로 작가가 되었지만 작가가 되지 못하는 우리 인간이었던 셈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로봇은 무엇을 꿈꾸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