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광 Jan 06. 2023

‘GUCCI’가 아닌 ‘구찌’에 관한 생각

한글 패션 그래픽의 좋지 않은 예.

-구찌의 설날 기념 한국 한정 컬렉션에 등장한 ‘구찌’ 그래픽은 우유에 밥을 말아 먹고 김치를 물에 씻어 먹는 것과 같은 생경함을 유발한다. 

-구찌에서 한글 그래픽을 당당히 사용한 건 구글과 어도비에서 개발한 Noto Sans 덕분이다. 제법 괜찮게 생긴 전 세계 다양한 문자를 라이센스 걱정 없이 쓸 수 있기 때문. 

-한글은 영문과 다르다. 문자가 아닌 그래픽’으로 사용되기 위해선 따로 가공을 하거나 레이아웃에 스며들게 해야 한다. 다시 말해 문자로 읽히는 게 아니라 그래픽으로 먼저 보여야 한다.

-그런데 이번 구찌의 디자인은 글자로 먼저 읽힌다. 외국인들에게는 그래픽으로 보이겠지만, 한국 한정이라고 하지 않았나? 그럼 당연히 그래픽으로 가공 되어야 하고, 전체적인 레이아웃과 무게감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야만 했다. 


-같은 Noto Sans를 사용한 라프시몬스의 아메리카 티셔츠는 그래도 좀 낫다. 전체적인 레이아웃 구성이 조화롭게 디자인되어 하나의 완성된 그래픽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다른 글로벌 브랜드에서 한국과 관련한 디자인 레퍼런스로 무드보드의 한자리를 차지할까 걱정된다. 구찌가 했으니 우리도 괜찮겠지? 라고 생각하며 이것을 참고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요즘 한글도 하입 있는 그래픽으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포스트 아카이브 팩션의 모자가 대표적이다. 이 브랜드의 이름이 주는 왠지 모르게 멋들어진 어감, 적당한 크기와 길이 그리고 담담한 모노톤. 이러한 요소들이 한글로서 튀지 않고 모자에 프린트된 그래픽으로 보여지게 해준다.

-잘 된 한글 패션 그래픽의 레퍼런스가 많이 생겨나길 바란다. 그래야 해외 브랜드에서 그것을 참고할 테니. 우리가 미국의 College Font를 모방한 그래픽 후드를 만드는 것처럼 그들도 우리의 한글 그래픽을 모방하였으면 좋겠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