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쓰는직장인 Nov 15. 2023

트렌드 동향 파악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

2023.11.14

미래토론연구소는 미래 기술과 사회 변화에 대해 모여 토론하며 지식을 확장하는 전문 포럼. 실제 산업에서 혁신을 리드하는 통신, 모빌리티, 금융, 보안, 교육, 유통 등 다양한 분야의 실무자들이 정기적인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으며 본 글은 그 일부로 AI로 요약함.


미래토론연구소 가입 문의 : https://open.kakao.com/o/sl2kzWEf

가입문의 채널

트렌드 동향 파악의 효과적인 방법
- 트렌드 동향 파악의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토론을 진행하고 있음
- 화이트 페이퍼는 논문 쓰는 사람들이 동향들을 파악하는 논문을 취합해가지고 내는 것임
- 블로그는 it 커뮤니티 같은 데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커뮤니티를 가면 최신 정보가 모이는데 그게 좀 지나면 뉴스나 사회면이나 언급되기 시작하고 퍼져나가는 식이 됨

주식으로 트렌드 파악하기
- 주식을 통해서 트렌드를 파악하는 건 유효할 수 있는 전략인 것 같음
- 개별 종목에 대해서 등락이 있으면 메가 트렌드는 어떻게 파악하는지 물어봄
- 주식이 핫하다고 광고하기 시작하면 이미 거기에 투자가 많이 올렸잖아요. 그러니까 소행 지표를 보고 가는 사람들이 돈을 많이 투자하는구나 아무도 엄청 핫할 때가 있었고 그러니까 지나가서 생각해 보면 그쪽에 이미 사람들이 돈을 선물을 쓸 정도로 관심 있는 분야가 아니었을까 이런 생각이 좀 듦

서핏의 특징
- 서핏은 크롬 확장 프로그램으로 관련된 아티클들을 모아놓은 사이트임
- 서점은 트렌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많이 감
- 서핏은 여러 가지 정보들이 모아져 있는 곳임

웹툰의 드라마화
- 웹툰도 드라마화 많이 됨
- 사람들의 관심사를 파악하는 요소가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함
- 서점 베스트셀러가 변화가 많이 되고 있음

트렌드 조사 방법
- 트렌드 조사할 때 중점적으로 보는 것은 출판된 논문을 보고 기술이 어떻게 쓰이는구나를 봄
- 관심 가지는 회사가 있으면 딥하게 알아보겠다고 함

신문 기사의 특징
- 회사에서 IT 쪽 개발 쪽에서는 테크 기업들이 자기네 기술력을 홍보할 수 있는 컨퍼런스를 열어 기술 세미나를 여는데 거기서 나온 내용 중에 이슈가 돼서 기사가 되거나 떠돌거나 되는 면 옛날에 애플 같은 게 나오면 기사가 딱 되는 면이 있음
- 신문은 전 국민을 대상이라도 특정 직무나 이런 게 아니다 보니까 여러 정보들이 많이 들어가 있고 논조들이 반영이 많이 됨
- 기획해서 하는 심층적인 기사가 낫다고 생각함

부동산과 건설업에 대한 기사
- 건설회사에 있을 때는 매일 대한경제라는 매체를 이용했음
- 부동산이랑 건설업을 전문적으로 많이 다루는 매체여서 이용했음
- 부동산과 건설업에 대한 기사는 하루에 해봤자 한 30개 기사가 되나 걸러 읽을 수가 있게 됨
- 부동산과 건설업에 대한 트렌드를 파악할 수가 있었음

업계 보고서의 한계
- 업계 보고서나 리포트를 참조할 때 가트너나 it 쪽 같은 경우는 트렌드를 잘 짚어주긴 하지만 선행적으로 집진을 잘 못함
- 업계 행사나 세미나에 참석하는 방법도 잘못되면 본인 기업의 상품을 판매하는 식으로 행사를 많이 함
- 전문가의 교류를 가장 많이 하려고 노력하고 있음

미래학의 기법
- 기술 간의 관계를 분석해서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은 델파의 기법,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은 델파이 기법, 시나리오 기법, 미래 바퀴 기법이 있음
- 미래학을 할 때 트렌드를 예측하는 기법들을 말씀드림

미래 예측 기법
- 델파이랑 시나리오를 선호하는 편인데 전문가 서베이를 하고 시나리오를 내가 전문가에게 묻거나 전문가가 시나리오 제시해 주거나 이런 거라서 어떤 미래 가능성을 추론할 때는 이 두 가지를 많이 쓰고 있음
- 시나리오 기법은 어떤 구체적인 수준으로 상상을 하는 거임
- 미래라는 걸 예측하기 위해서는 상상력을 당연히 빼놓을 수 없는 부분임
- 분석 기법에서 자료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연구 목표마다 다르긴 한데 개인적으로는 논문을 참조를 많이 함

박사 학위
- 박사 학위 이상의 전문가가 해주는 말 혹은 레퍼런스가 많았던 논문 혹은 근거가 탄탄하고 매우 잘 쓰여진 가트너 보고서 같은 것들을 참조해서 보고 있음
- 공학 박사 학위를 따려면 일반적으로 sci라고 하는 아주 공인력 있는 데 내야 하기 때문에 박사 이상을 생각하고 있음

박사 학위의 장점
- 박사 학위가 주는 배움의 깊이가 깊을 수 있음
- 박사 학위가 주는 배움의 깊이가 깊을 수 있지만 트렌드 코리아 2024 같은 최신 트렌드를 모를 수 있음
- 박사 학위가 아니더라도 오래 연구한 사람이나 통찰력을 많이 가지고 있음

작가의 이전글 여러 분야의 트렌드와 기술 동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