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고통은 동행을 모른다





고통은 본인뿐만 아니라 주변도 아프게 한다. 어차피 나눌 수 없는 고통이다. 지금 나의 이 글도 고통을 나누고 싶은 마음이 간절할 경우에나 읽힐 것이다. 나는 나 자신을 포함해 아픔을 호소하는 사람에게 공감과 위로 대신 이렇게 말한다. “타인에게 이해를 구하지 마세요.”, “안 아픈 사람을 배려하세요(아픈 사람이 주변에 있으면 안 아픈 사람은 피해 의식에 시달리기 쉽다).”, 주문으로 ‘감사합니다’를 반복하세요.” (『편협하게 읽고 치열하게 쓴다』, 정희진, 89쪽) 


밤마다 아껴 읽었던 정희진 선생님의 이 책에서, 위 문단을 최고의 문단으로 꼽는다. 선생님의 통찰이 제일 빛나는 부분은 ‘고생 끝에 낙이 온다’ 혹은 ‘고통을 통해 성숙해진다’는 일반적인 통념에 대한 ‘정면 승부’이고, 그녀의 글을 읽고 내가 내린 나름의 결론은, 고통이 자기 성찰, 반성, 성장의 밑거름이 되었는지를 가늠하는 때는 고통이 ‘끝난 이후’라는 것이었다. 


그녀가 추천하는 엄기호의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를 읽었다. 목적이 있는, 확실한 목표가 있는 책읽기였다. 최근에, 고통에 대한 호소와 그와 함께 밀려오는 감정 때문에 힘들었다. 가까운 사람, 사랑하는 사람, 가족과 친구가 쏟아내는 부정적인 감정과 고통의 호소를 ‘받아내는’ 일이 고통스러웠다. 어느 정도 그러한 고통의 말과 소리, 호소를 ‘반사’해 버린 나 자신 때문에 또 며칠이 괴로웠다. 왜 더 사랑하지 못할까. 왜 더 받아주지 못할까. 


몰려드는 후회와 괴로운 심정에 답을 찾고 싶어 책을 읽었다. 나눌 수 있는가. 고통을 나눌 수 있는가. 나눌 수 있다면 나는 내 몫으로 돌아온 고통과 고통의 호소를, 그 소리를, 받아들여야만 하는가.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것은 이기적인 행동인가. 나는 그렇게 이기적인 사람인가. 이기적인 사람이다,라고 받아들이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내가 이기적인 사람이라는 건 나도 알고 있던 바였다. 하지만 괴로웠다. 내가 사랑하는 가족, 좋아하는 친구가 이렇게 힘든데, 그런데도 나는 계속 이기적인 사람이었기 때문에. 이렇게 이기적인 나를 새로 발견했고, 그런 내가 싫었다. 그렇다고 해서 굽힐 수도 없었다. 이미 충분히 이기적인 사람임을 인정한 이상, 도로 착해질 수는 없었다. 앞으로도 뒤로도 갈 수 없는 상황, 내 마음을 지옥으로 만든 사람들이 미웠다. 나를 더 이기적으로 만든 그 사람들이 싫었다. 


반 정도 읽었을 때, 밤늦게 퇴근하고 돌아와 식탁에 마주 앉은 사람에게 물었다. 나는 답을 찾고 있는데, 이 책에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았는데, 답이 안 나와. 답이 여기 안 나오네. 그걸 몰랐냐는 듯, 아무렇지도 않게 마주 앉은 사람이 말한다. 답이 어디 있어. 원래 책에는 답이 없잖아.   


아니었다. 책에는 답이 있었다. 그다음 날, 그다음 페이지를 읽다가 나눌 수 없는 고통에 대한 엄기호의 ‘답’을 찾았다. 고통을 덜어내는 방법으로 엄기호는 글쓰기와 걷기를 권했다. 그리고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 옆에 있는 사람에게 말한다. 고통을 함께 할 수는 없다. 하지만 고통당하는 사람 곁에 있어 줄 수는 있다. 그것이 인간이 할 수 있는 최선이다. 



고통은 동행을 모른다. 동행은 그 곁을 지키는 이의 곁에서 이뤄진다. 그러므로 고통을 겪는 이가 자기 고통의 곁에 서게 될 때 비로소 그 곁에 선 이의 위치는 고통의 곁의 곁이 된다. 이렇게 고통의 곁에서 그 곁의 곁이 되는 것, 그것이 고통의 곁을 지킨 이의 가장 큰 기쁨이다. 그렇게 되었을 때 비로소 고통의 곁에 선 이는 고통을 겪는 이와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된다. (249쪽) 



인권 활동가도 아니고, 그들을 위해 대단한 희생을 하지도 않은 내가, 고통의 곁에서 그 곁의 곁이 될 수 있을까. 고통의 곁을 지키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더 오랜 시간 고통의 호소를 들어줄 수 있을까. 더 많이 기다려 줄 수 있을까. 더 많이 사랑할 수 있을까. 없는데. 나는 그럴 수 없을 것 같은데. 그럴 수 있을까. 내가, 그럴 수 있을까.  



작가의 이전글 충전이 필요한 시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