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뽀미누나 Jan 09. 2023

나의 등

내가 왜 글을 쓰기 시작했는가

졸업 직전 운이 좋게 IT회사에 정규직으로 취직했고, 서비스 운영 업무를 시작했다. 당시 사회에 팽배했던, 물론 지금도 예외는 아니지만 문과생의 턱없이 좁은 취업문을 뚫고 입사에 성공했다는 사실이 감격스러웠다. 졸업식 때 나의 등은 당당함과 자신감으로 누구보다 활짝 펴져 있었고, 부모님의 등에 얹혀진 무거운 짐을 덜어드린 것 같은 뿌듯함도 느꼈다. 

 

첫 직장은 누구나 알 만한 대기업이었으며 복지나 근무 형태도 꽤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한시름 덜었다는 생각과 동시에 내겐 미련이 남았던 것도 같다. 글을 더 쓰고 싶다는 열망, 이젠 내 인생은 영원히 회사원으로 점철되지는 않을까 하는 일말의 걱정과 같이. 날이 가면 갈수록 나는 시들어갔다. 조금씩 조금씩, 어깨에 힘이 빠졌다. 헛헛함을 잠재우기 위해 경쟁사로 이직도 해보고, 퇴근 후 친구들과 맛있는 음식도 먹으러 다니며 시간을 보냈다. 하지만 마음 속 깊숙한 공허함은 채워지지 않았다. 

 

"그래. 다시 글로 돌아가자."
 

문학과 관련된 공모전을 준비하고, 주말엔 글을 배우러 떠났다. 한 해, 두 해, 시간이 지날수록 소기의 성과를 달성해나가는 과정이 힘들지만 미치도록 행복했다. 세상에 드디어 내가 나온 값을 해내는 듯한 느낌이었다. 어두컴컴한 방 안에 앉아 곰처럼 등을 둥글게 말아 글을 쓸 때가 있었다. 대체 가능한 사람이 아닌, 대체 불가능한 이야기와 가늠할 수 없는 가치를 노래하고 싶었다. 

 

사람들은 저마다의 십자가를 맨 채 삶을 살아간다. 그것은 때로 부모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의 삶을 지탱해나갈 소속일수도 있고, 자아실현을 위한 꿈이 될 수도 있다. 두 개를 모두 선택한 이상 남들보다 조금은 더 피곤하고, 몸이 괴로운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해나갈 수 있는 이유는 이를 하는 과정이 행복하기 때문이다. 글을 쓸 때 형용할 수 없는 희열을 느낀다. 자판을 두드리는 것은 세상을 향해 계속해서 '나 여기 있다'고 말하며 두드리는 것과 같다. 


타닥타닥. 인간을 향한 애정 어린 시선과, 함께 나누고 싶은 이야기의 불씨가 계속해서 타오른다. 활활. 


작가의 이전글 등의 언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