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리니아니 Feb 18. 2023

13 대안학교의 학교생활기록부 (생기부 또는 학생부)

대안학교에서 대학가기

 
대안학교학생들의 학교생활기록부 (생기부 또는 학생부)는 입시 전형에 따라 대학에서 요구하는 경우와 요구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안학교전형을 제외한 수시전형에서 미인가 대안학교의 생기부를 반영하지 않는다고 해서 생기부 관리를 잘 하지 않는 학생들이 있는데 그런 경우는 입시 시즌에 선택의 폭이 더욱 좁아질 수 밖에 없으니 평상시에 잘 관리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 공립학교의 생기부는 기재 분량 및 구성 형식이 정해져 있고 그 틀에 맞추어 담임선생님과 교과목 선생님들이 직접 기재 합니다. 이는 미인가 대안학교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일부 대안학교들에서는 자체적인 생기부 기재 형식을 취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공립학교와 비슷한 구성 형식을 따릅니다. 중요한 것은 구성 형식이라기 보다는 대학에서 미인가 학교들의 생기부를 입학 요건에 참고하는지 아닌지에 관한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인가 대안학교의 생기부를 참조하지 않는 대학들은 번외로 하고 대안학교의 생기부를 제출할 수 있는 전형에 있어서 대안학교의 학생들이 어떠한 생기부를 준비하는 것이 합격에 유리한지에 대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생기부의 작성은 각 과목 선생님들과 담임선생님이 작성하는 것이지만 학생들의 학교 생활과 평가 결과를 토대로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등학교에서의 알찬 생활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입니다. 대안학교는 일반 공립고등학교보다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많고 동아리 활동도 비교적 심도있게 이루어지는 편입니다. 따라서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나 탐색하고 싶은 분야를 찾고 그 분야의 스토리를 쌓아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수한 과목의 성적 관리도 중요하지만 무엇을 공부했고 배움을 통해 스스로 어떤 발전이 있었는지에 대해 매 학기마다 꼼꼼하게 평가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동아리 활동이나 프로젝트 활동들도 전공적합성에 부합되는 것으로 구성하고 관련 분야에 얼마만큼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고등학교 생활을 했는지 생기부를 통해 잘 나타낼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들어 어떤 학생이 건축 디자인에 관심이 있다면 이 학생은 디자인 및 건축 설계와 관련된 과목들을 이수한 학점이 많을 수록, 또한 성적이 우수할 수록 좋은 생기부의 요건을 갖추게 되는 것입니다. 거기에 덧붙여 동아리 활동으로 한옥 연구 동아리 활동을 하였고, 트리하우스 집짓기 프로젝트를 3년간 진행하였고, 봉사활동으로 Habitat 과 같은 활동을 했다고 가정한다면 그 내용이 생기부에 기재되고 훌륭한 전공 적합성의 스토리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일관성 있는 스토리와 전공적합성은 좋은 생기부의 기본 요건입니다. 물론 생기부만 가지고 모든 평가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내년 2024학년도 부터는 자소서가 전면 폐지되기 때문에 생기부와 면접의 비중이 그만큼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면접 역시 생기부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질문들이 많기 때문에 학생 본인이 얼마만큼 고등학교 3년 동안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를 탐색하고 깊이 있게 학습하였는지 그리고 대학에서는 그것에 연이어 어떠한 학업계획과 비전을 가지고 있는지를 반드시 물어보게 될 것입니다.

위의 내용들을 참고하여 좋은 생기부 관리를 위해 3년간 꾸준히 노력한다면 대안학교 학생들도 원하는 대학에 합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생기부 관리는 3년간의 일관성 있는 스토리와 전공적합성, 이 두가지가 핵심입니다.   

#학교생활기록부 #생기부 #학생부 #미인가대안학교 #대안학교에서대학가기 #수시 #전공적합성 #동아리 #프로젝트 #생기부스토리 #대안학교전형 #검정고시전형 #대안교육 #대안학교 #별무리학교









작가의 이전글 11 대안학교출신 학생부종합전형 지원가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