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민희 Mar 12. 2024

글의 향기

퇴고의 시간 

퇴고를 하면서 내 글의 깊이를 생각해 보았다. 글에 향기를 남길 수 있을까. 글을 다듬으면 다듬을수록 글이 한결 나아진다는 걸 느낀다. 글을 고쳐 쓸수록 나아진다는 건, 처음 글 쓸 때 구성력이 약하다는 반증일지도 모른다.  누군가에게 배워서 글 쓰는 게 아니다 보니 스스로 부딪쳐 깨우치니 속도가 느리다. 내 마음과 생각은 빠르게 마무리 짓고 싶으면서도, 이성이 급한 마음에 반기를 든다. '그럴 거면 책을 왜 써. 책을 내는 게 목표가 아니라,  내가 알리고 싶은 내용을 설득력 있게 쓰는 게 목표잖아. 많이 읽히는 글을 쓰고 싶은 거잖아.'라며 내 조급함을 냉정함으로 달랜다. 


글에 색채와 향기를 담으려면 사물을 보는 각도를 다르게 생각할 시간을 필요로 하고, 그 사색에서 나온 글맛과 나만이 갖고 있는 고유한 경험담에 연결성을 더해 의미 부여를 해야 한다. 쓴 글을 자꾸만 고치는 이유가 정보만 담기니깐 글이 딱딱해서 내가 읽어도 재미가 없다. 물론 재미를 위해 쓰는 글은 아니지만, 흥미성을 잃을 것 같다. 


난 에세이 한 편을 쓸 때, 구성과 짜임을 세부적으로 계획하지 않는다. 그저 한 줄 한 줄 글을 써 내려가면서 짜임새를 맞춘다. 글도 창작이라서 사물과 생각의 연결고리를 창조력으로 잘 버무려야 하기 때문이다. 세부 계획은 상상력과 창조력을 방해한다.  일부러 제목도 글을 다 쓰고 난 다음에 생각한다. 그래야 주제와 잘 어울리는 제목이 나온다. (물론 제목을 정해 놓고 쓰기도 하지만- 그 수는 극히 적다)


어떤 이는 퇴고하면 글이 이상해진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던데, 그녀는 천재인가 아니면 망상인가. 물론 탁월한 문장가이거나 감성적인 글이라면 퇴고는 필요치 않을 수 있지만, 난 글에 타고난 재능이 없다. 글을 쓸 때 최선을 다할 뿐. 다만 논리와 감성까지 다 잡고 싶은 욕심이 있어서 글을 붙잡고 있는 기간이 늘어진다.  


내가 쓴 글에 여운을 남기려면 남과는 좀 다른 방식으로 글을 풀어나가야 한다는 걸 알지만 이게 말처럼 쉽지가 않다. 글을 쓸 때, 진솔함을 어디까지 담아야 하는지, 얼마큼 솔직해야 하는지 말이다. 때론 내 진솔함이 누군가에게는 불편함을 주기도 해서 '이 내용을 빼야 하나', '내가 너무 잘난척한다고 느낄 수 있으려나'. 별별 생각이 스쳐 지나간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주관이다. 여러 생각이 복잡하게 얽히는 순간 내 색채를 잃는다고.


요즈음 고민은 글에 진솔함을 담되 글맛이라는 것으로 포장해야 하는 걸까. 글 포장 선택의 유무도 글에서는 중요한 것일까. 잘 읽히는 글에는 어떠한 비밀이 있는 걸까. 란 물음표가 글을 써내려 갈 때마다 내 머릿속을 따라다닌다. 


                                      수필 책도 써보고 싶은데 첫 책을 내면서 다짐했던 것들을 마무리 짓지 못했다. 

                                            다짐했던 걸 마무리 지어야 습작 시도 써보고 감성 수필도 맘껏 써볼 텐데.

                                                                                                                         마음만 바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