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ukbo Feb 26. 2024

메카닉

바다는 멀고 연구실은 가깝다

요즘의 나를 한 단어로 표현하는 오매불망이고, 그 대상은 내 첫 논문이다. 남은 기간보다 지나온 기간이 길어진 (맞겠지?) 대학원 생활의 반환점에서 나는 내 이름 들어간 논문 한 편이 없다.


누가 물어보면 아니라고는 하지만, 나는 요즘 매일 같이 나의 심연을 본다. 그도 나를 본다. 자격지심이라고 매번 합리화하던 내 오래 찌든 열등감. 성실성을 위한 연료라 위안하기도 했다. 나는 나보다 먼저 좋은 논문들을 내는 친구들을 축하하며 살면서 겪어본 적 없는 상태에 놓였다.


내 논문 결과는 언제 나오나. 작년 7월에 처음 제출했으니 반년이 넘었다. 내가 누른 새로 고침의 수를 센다면 아마 기네스북에 오를 것이다. 첫 수정본을 제출한 10월부터는 정말로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논문을 쓰지 못하는 대학원생은 무슨 쓸모인가.


최근 2주는 대단했다. 다음 달 중요한 실험을 앞두고 중요한 장비에 내리 문제가 생겼다. 한 문제를 해결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겼고, 그 문제를 해결하니 또 다른 문제가 생겼다. 그럼 나는 사수와 함께 문제를 해결했고, 해결했고, 해결하고 있다. 그렇게 수리 중인 장비로 얻은 결과도 일단은 만족스럽다.


그 순간만큼은 한순간에 없어졌다. 그 순간만큼 나는 방법을 생각하는 사람이었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이었다. 원하던 대로 되었을 때는 정말 짜릿했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2주는 정말 대단했다. 새로 고침을 거의 누르지 않았다. 제출한 지 반년이 지난 논문은 내가 아니었고 그 저널이 가진 평판 또한 내가 아니었다. 어디서 주워들은 적이 있는데, 한순간에 사라지는 건 내가 아닌 거다. 나는 그런 사람이었다. 방법을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


대학원은 정말 굴욕적인 곳이다. 실패와 무지의 굴욕에 익숙해지면서도, 결국 무언가를 해내야 하는 곳이다. 그 속에서도 찾고자 하는 것은 몰입에 그에 따른 성취, 그리고 그게 나라는 것. 박사를 Doctor of Philosophy라고 부르는 이유를 조금씩 알아가고 있는 듯하다.

작가의 이전글 언내추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