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를 아는 사람 Oct 24. 2024

단골의 기준은 무엇일까?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나에게는 딱히 단골집이라고 불릴만한 곳이 없었다.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였을까? 물건을 사러 가야 할 일이 생기면 그때그때 내키는 데로 갔다. 주차하기 편한 곳에 갈 때도 있고, 집에서 가까운 곳에 갈 때도 있었다. 선택이라기보다는 그냥 상황에 맞게 갔다. '그 집이 그 집이지 뭐!'라는 생각으로. 같은 곳을 다시 가기도 하고 아님 다른 새로운 곳에 가기도 했다. 뜨내기처럼 이 집 저 집 아무 곳에나 갔다. 그러다 마음에 드는 곳이 있으면 같은 집에 한두 번 더 가는 경우도 있었다.


나는 결혼 후 한 지역에서만 30년째 살고 있다. 단순하게 살아온 횟수로만 치면 단골집이 수두룩 할 것 같지만 그렇지는 않다. 나의 생활 전반에 쏙 들어와 있는 식당, 옷가게, 참기름집, 떡집, 빵집, 세탁소, 문구점, 편의점, 마트 등의 대부분을 난 뜨내기손님처럼 돌아다닌다. 이런 내가 최근 1, 2년 사이에 정착해서 찾아가는 곳이 생겼다. 미용실, 안경점, 건어물가게 등 3곳과, 도서관 1곳이다. 이렇게 단골 비슷하게 되어가는 곳이 있음은 나에게 드문 일인 동시에 즐거운 일이다.


얼마 전부터 '건어물 가게는 나의 단골집일까?'라는 의문이 생겼다. 수산시장 한편에 줄지어 다닥다닥 붙어있는 건어물 가게 중 한 곳이다. 특별히 이 집에 어떤 계기가 있어서 가는 것은 아니고 어쩌다 보니 계속 다니게 되었다.


건어물 가게는 살이 탱탱한 신선한 제철 회를 사러 갈 때 들리고, 조개, 소라, 마른 생선을 사러 갈 때도 들르는 곳이다. 건어물을 살 생각이 없었는데도 수산시장만 가면 필수코스로 간다. 이 집의 특징은 건어물을 사면 동그랗게 말아서 작고 까만 비닐봉지에 넣어 둔 건미역을 덤으로 챙겨주는 것이다. 덤이지만 제품이 훌륭하다. 난 주로 멸치와 아귀채, 곱창김을 사고 가끔은 다시마팩이나 반건조 오징어를 살 때도 있다.


특별히 나에게 귀한 취급받는 반건조 오징어는 내가 평소보다 꽤나 기분 좋은 일이 생기면 남편에게 사다 주는 선물용이다. 오징어에 뒤질세라 살이 도톰하고 적당하면서 양념이 된 쥐포가 있고, 아귀채는 찢어 놓은 것, 쥐포처럼 도톰하게 통으로 말린 것도 있다, 각각 한 폼 잡고 진열대 맨 앞에서 손님을 기다리며 줄 서 있는 멸치네. 시식용으로 입에 한 입 넣어 오물오물 씹으면 이상하게 자꾸 입에 줄줄이 들어가는 꼴뚜기네, 중독된다. 건미역은 미역국을 끓이면 뽀얀 국물이 나오는데 진국이다, 다시마는 티백도 있고, 길쭉하게 생긴 모양 그대로 말린 것도 있다. 그 외에도 갖가지 건어물로 가득 찬 집.


이곳. 다른 곳에서는 아닌데 유독 여기만 가면 내가 갑자기 단골이랍시고 작게 포장된 마른미역이나, 아귀채 시식용을 많이 챙겨주길 은근히 기대한다. 가게 사장님 입장에서 보면 그냥 손님인데 나의 속마음은 늘 단골손님이다. 나도 모르게 대화 속에 넌지시 단골 냄새까지 솔솔 뿌려 보기도 한다. 그렇게 한다고 단골이 될 리가 없는데도 말이다.


이런 나의 속마음을 읽었는지 함께 장을 보고 집으로 돌아온 남편이, "도대체 그 가게에 일 년에 몇 번이나 가서 얼마어치의 물건을 사주냐?"라고 묻는다. "아. 내가 얼마나 자주 왔을까?, 일 년에 서너 번?" "그럼 이 가게에서 한번 물건 살 때마다 사용한 금액은? 고작 10만 원 남짓?" 남편의 말을 듣고 생각해 보니 단골이란 글자조차도 꺼낼 위치가 안된다. 이 가게에 나의 기여도가 고작 이쯤인데 단골이라고 생각했다는 사실에 헛웃음이 나온다. 단골의 기준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지만 난 단골이 아님은 확인하고야 말았다.

매거진의 이전글 난 왜 자꾸 엄마의 언어에 끌릴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