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undal Jan 23. 2022

Goodbye to romance, 나의 무한도전

쿨하지 못해 미안해


원래부터 쿨한 성격은 아니었다. 그래서 무한도전이 13년 만에 종영한다고 했을 때 의미 없는 “안돼”를 몇 번이나 내뱉었다. 하지만 그러거나 말거나 이별의 순간이 예정대로 다가오자 나의 마지막 보루는 곧 두 번째 시즌으로 돌아온다고 했던 그 한마디였다. 지금은 사람들에게 말해도 믿을 것 같지 않은 신기루 같은 내용이 되었지만 분명히 그런 기사들을 읽은 기억이 있다. 하지만 한 해가 훌쩍 지나도록 원하던 소식은 오지 않았고, 어느 영화의 대사처럼 “다시 돌아온다고 했잖아요.”를 되뇌고 있던 어느 날 <놀면 뭐하니>가 찾아왔다.


<놀면 뭐하니>의 중심에서 ‘무한도전’을 외치다


프로그램의 모든 요소를 배제한 채 유재석과 조세호 그리고 김태호 PD라는 키워드만 되새김질하며 무도의 흔적을 찾기 시작했다. 하지만 놀면 뭐하니의 초창기 포맷이었던 ‘조의 아파트’를 시작으로, 기다리는 심정으로 몇 달을 참고 지켜봐도 무도의 흔적 같은 건 없었다. 아. 이건 그냥 유느님과 김태호 PD의 새로운 프로그램이란 사실을 참 빨리도 깨닫기 시작할 무렵 라면을 끓이고 닭을 튀기던 유느님 곁으로 명수와 준하 그리고 하하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쿨하지 못해 미안한 사람답게 한 줄기의 기대감이 다시 샘솟기 시작했지만 그것도 잠시. 왜일까. 토요일 저녁이면 자동적으로 무한도전을 고정해두거나 다시 보기를 했던 것과 달리 놀면 뭐하니에는 그만큼의 애정이 가진 않았다. 사실 이런 흐름은 무도의 기존 멤버 두 명이 고정으로 합류한 최근까지도 크게 다르진 않았다. 그냥 단순하게 말하면 프로그램에 큰 재미를 느끼지 못한 것 일수도 있다. 그냥 내 취향이다.


무한도전, 한번 더 이별


이 정도면 집착이라 생각하겠지만 사실 얼마 전까지도 마음 한 구석엔 무한도전의 부활에 대한 기대감을 전혀 버리진 않았다. 단 이제는 놀면 뭐하니라는 프로그램 과는 무관하게, 언제 어디서든 어떻게든. 그러다 지난겨울, 김태호 PD가 퇴사한다는 소식을 접했다. 심지어 연말 시상식에서 처음 보는 눈물을 글썽거리며 고별인사를 전하는 태호 PD를 보며 정말 끝이란 걸 직감했다. 뭐 이미 그랬을 수도 있겠다. 사실 종영한 지도 이미 몇 해가 지난 TV 프로그램을 얘기하며 정말 끝이라는 둥 한번 더 이별이라는 둥의 표현이 읽기에 따라 오글거릴 수도 있지만 무한도전을 볼 수 있던 그 시간이 어지간한 친구보다 좋았던 나로선 진심이다. 이제는 깨방정 웃음 한 편에 언뜻 수심 비슷한 것이 보이는 유느님과 아이 셋의 아빠가 된 막내 하하 그리고 더는 추격적 같은 건 기대해 볼 수 없게 된 큰형들과 참여조차 불투명한 다른 멤버들까지. 무엇보다 이미 예전부터 평균 이하의 모습이 아닌 그들이지만 그냥 한 번쯤은 다시 보고 싶었다. 하지만 이제 내가 너무 좋아했던 프로그램에 대한 미련을 접을 때가 된 것 같다. 그리고 십 년이 넘는 시간 동안 가지 치듯 여기저기 걸려있던 기억들. 예를 들어 무한도전 달력이 걸려있던 내 방의 지난 모습 같은, 그때 TV를 보고 있던 내 등 뒤에 흐르던 추억들까지 고이 접어야 할 시간이 되었다. 20대, 토요일이란 시간을 공유한 나의 무한도전. 떠난다면 보내드리리 뜨겁게 뜨겁게 안녕!  


작가의 이전글 브런치는 어떤 곳일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