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Y Sep 27. 2018

환경교육의 가치중립

환경교육의 교육적 가치지향과 교육내용의 가치중립은 어떻게 양립하는가?


“가치로운 학습에 대한 관심은 다시금, 가치 있는 삶의 형식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으로 이끄는 자질은 무엇인지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요청한다. Pring(2015: 49)에 따르면, ”가치 있는 삶의 형식을 구성하는 것, 그리고 이것으로 이끄는 자질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서는 “ 교육이란 것도, 교육적 연구라는 것도 가능하지 않다(박은주·곽덕주, 2016: 19).”

환경교육에서 가치지향은 연구자에 따라, 바람직한 것으로, 혹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환경교육에서 가치중립은 환경의사결정과 관련하여 주로 논의된다. 


이는 환경교육을 통해 하나의 정해진 선택을 이끄는 것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환경쟁점을 이해하고, 각자의 가치를 반영하는 결정을 목표로 하는 것(Johnson·Mappin, 2005)을 통하여 엿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환경교육은 의사결정에 있어 특정한 선택(ex. 핵발전에 찬성 혹은 반대)*을 이끄는 가치를 지향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가치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Photo by geralt on Pixabay

 

앞서 인용한 구절에서 나타나듯, Pring(2015)은 교육의 가치지향과 교육(적)연구의 가치지향성을 주장한다. 


이를 다시 생각해보자. 

환경교육에서 논하고 있는 지향은 정말 가치중립적인가? 

Pring의 주장과 환경교육에서 기존에 소통하고 있는 가치지향(중립)은 조금 다른 위계의 논의로 이해될 수 있지 않은가? 


편의상 구분하자면 환경교육에서 말하는 가치중립은 내용적**일 수 있으며, 

Pring의 가치지향은 ‘교육(적)’가치를 담는 지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환경교육에서 지향하는 학습자 스스로의 가치판단을 한 의사결정은 내용적으로 중립적인 가치중립일 수 있으나, 환경교육만의 교육적 ‘가치’를 담는 가치지향성을 지닌 교육이 된다. 


그렇다면, 이 서로 다른 가치지향(중립)이 조금 구분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필자는 환경교육에서 다루는 내용의 가치중립을 중요한 환경교육적 기준으로 생각하고 있다(물론, 환경교육에서 어떻게 내용을 가치중립적으로 다룰 것인가 하는 것은 쉽지 않은 논의가 된다). Pring의 주장을 바탕으로 할 때, 이는 학습자 스스로의 가치판단을 향한 교육적 가치지향을 담은 환경교육적 특징이 되며, 환경교육의 가치지향은 편의상 구분한 내용적 가치지향을 말하는 것을 이 글을 통하여 구분할 수 있었다. 


앞으로 교육의 내용적 가치중립과 교육적 가치의 위계를 구분하여 환경교육적 해석을 하는 것도 좋은 시도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사회교육에서 진보/보수 중 어느 하나를 지향하는 교육을 목표로 하지 않는 것과 같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많은 경우 환경교육에서 다루는 쟁점은 A 혹은 B로 명확히 구분되기 어렵다.  

** 환경교육에서 다루는 내용에 있어, 어느 하나의 가치(ex. 환경 vs. 사회 vs. 경제)를 담는 것이 아닌 각 내용을 모두 다루어야 함을 의미할 수 있다. 



(Translated in English) Kwak, D. J. & Nah, B. H. &, Yoo, J. B.(2009).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as ‘Practical Philosophy’: Centering on Wilfred Carr’s View of it. The Korean Journal ofPhilosophy ofEducation. 45, 27-51.

Johnson, E., Johnson, E. A., & Mappin, M. J. (Eds.). (2005).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dvocacy: Changing perspectives of ecology and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박은주, & 곽덕주. (2016). 실천 교육학의 관점에서 ‘교육연구’(educational research) 의 성격 재탐색. 교육학연구, 54, 1-30.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