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재석 Jul 10. 2017

중국은 이미 무현금사회로…우리는 어디에?

알리페이발 ‘무현금연맹’: 5년 내 전중국 무현금도시 만든다

2017년. 중국 연례 정치 행사인 양회(两会)에서 ‘무현금사회(无现金社会) 건설’에 대한 내용이 전국정협위원들 사이에서 거론되면서,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자는 건의까지 나왔습니다.


양회 — 매년 3월 중국 수도 베이징에서는 국가 단위의 행사 2개가 열린다. 국가최고권력 기관이 모이는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와 정책 자문기구로 구성된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두 회의를 축약해 양회(两会)라고 부른다. 이 기간에 중국의 성장 목표 및 개혁 방향이 발표되는데, 일회성 발표라기보다는 각 산업계의 거두들과 협의 하에 구체적 실천으로까지 연결된다는 것이 가장 큰 강점이다.


산업 영역에서 양회의 의미는 ‘행동 선언’에 있습니다. 이미 중국 정부와 업계 거두들과 조율이 된 사안을 양회에서 방향을 확정짓는다는 의미인데요. ‘무현금’이란 개념이 언급됐다는 것 역시 같은 의미겠죠.


바이두백과의 설명에 따르면 무현금사회는 현금 거래 영역이 모바일 결제로 대체되며 ‘무현금’이라는 것이 새로운 주류 결제 방식으로 자리잡은 사회를 의미합니다. 이는 현금이 완전히 소멸됐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더 이상 결제가 현금에 속박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즉, 무현금 사회가 열리게 되면 사람들은 스마트폰만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망라하고 막힘없이 상업 활동을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4월 18일. 알리페이 서비스를 담당하는 앤트파이낸셜(蚂蚁金服)은 항저우에서 15곳의 기업과 함께 ‘무현금연맹(无现金联盟)’을 결성, 최소 30억 위안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무현금연맹의 주요 목표는 ‘저탄소 경제’ 및 ‘비즈니스 효율 제고’를 이루는 것이다. 무현금연맹은 5년 내로 중국 전역이 무현금 사회가 구현될 것을 예측하고 3000만 곳 이상의 연맹 구성 기업, 100곳 이상의 연맹 국가를 형성하고자 한다. 무현금연맹의 설명에 따르면 결제, 데이터, 신용평가 등의 서비스를 공유를 통해 각 점포는 60% 이상의 계산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원가를 낮추며 사업의 효율을 거둘 수 있다.” — 无现金联盟成立 支付宝60亿推进无现金社会(이빵동리)


앤트파이낸셜 주도로 구성된 무현금연맹에 속한 기업은 까르푸차이나(家乐福中国), 베이징 셔우두 공항(首都机场), 화치앙전자세계(华强电子世界), 공유자전거 서비스 오포(ofo), 광저우부녀아동의료센터(广州妇女儿童医疗中心), 량핀푸즈(良品铺子), 편의점 업체인 상하이로손(上海罗森), 저장성신화서점(浙江省新华书店), 양민쉬황먼지미판(杨铭宇黄焖鸡米饭), 핀란드여유국, 핀란드 모바일결제서비스인 ePassi, 호주 모바일결제서비스 Paybang, 커우베이(口碑), 어러머(饿了么) 등입니다.


푸저우에서 진행된 무현금연맹 콘퍼런스.


또한, 앤트파이낸셜은 7월 6일 공식 웨이보를 통해 ‘무현금사회가 1698일 남았다’는 슬로건을 공개하며, 무현금사회를 만들 방안을 제시하는 온라인 사용자들에게 홍바오를 지급하는 이벤트를 열기도 했습니다. 이들은 올해 8월 항저우, 우한, 푸저우, 텐진, 구이양에서 ‘무현금도시 주간’ 행사를 열 계획입니다. 해당 시정부와의 협의 아래 오프라인 매장 90% 이상에서 무현금 거래(모바일 결제)가 가능하도록 독려할 것으로 보입니다.


알리페이 공식 웨이보에 무현금 사회가 1698일 남았다는 글이 게재됐다.


이렇듯 중국의 무현금사회는 정부와 산업의 공조를 통해 구체적인 청사진이 그려지고 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서비스의 측면에서도 빠른 속도로 구현이 되는 중인데요. 그 밑바탕에는 ‘생체 인식’과 ‘오프라인의 디지털화’가 있습니다.


▍알리페이: 모바일 결제 넘어 생체 인식 결제로

중국 모바일 결제를 대표하는 서비스는 알리바바의 알리페이, 텐센트의 위챗페이입니다. 두 서비스의 점유율 총합은 90%를 넘어섭니다. 은련, 징동, 샤오미 등등 공기업, 대기업을 망라하는 수많은 결제 서비스들은 ‘기타’로 취급받을 뿐이죠.


이렇듯,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를 통해 중국 사회는 오프라인 QR/바코드 결제 기반의 생태계가 열리게 됩니다. 이게 전부가 아닙니다. 생체인식결제로 연결되며, 그 후에라야 무현금사회가 열리게 될 것이라는 것이 업계 및 각 연구소 분석입니다.


중국의 무현금사회를 향한 발전 구도. 출처: 아이리서치


위의 그래프에 나왔듯 컴퓨팅 시각화 기술이 뒷받침을 하게 될 것입니다. 알리바바는 2015년부터 이를 위한 준비를 해왔는데요. 이른바 ‘쿵푸 프로젝트’입니다.


지난 2016년 한국을 찾았던 더글라스 피긴 앤트파이낸셜 글로벌 총재는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알리페이가) 결제에서 시작했지만 지금은 금융과 빅데이터, 기술을 종합한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도약하고 있다”며 “최근 얼굴인식 결제기능에 이어 홍채인식 결제서비스인 ‘VR페이’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심지어, 2015년만 하더라도 깜짝 이벤트 정도로 여겨졌던 생체 인식 결제 시스템은 알리바바의 관련 기술을 가진 기업 인수, 기술 개발을 통해 상용화 가능한 수준에 이르게 됩니다.


“중국 매체 IT즈자(IT之家)에 따르면 알리페이 안면인식 결제 기능은 현재 상용화 단계 직전까지 와 있는 상태이며, 조만간 알리페이 가맹점에서 만나볼 수 있다고 합니다. 안면인식 결제 기능이 추가된다면 스마트폰을 깜빡 잊고 안 가져 나와도, 배터리가 다 나가도, 데이터가 부족해도 편리한 소비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알리페이 안면 인식은 단 1초만에 이뤄진다고 하는데요. 알리바바그룹 금융 자회사 앤트파이낸셜이 그간 홍채·지문 인식 등 생체인식 분야에 아낌 없는 투자를 한 덕분입니다.” — [영상차이나] 알리페이, QR코드 대신 얼굴로 결제(뉴스핌)


▍오프라인의 디지털화 ‘신유통(新零售)’…무현금 사회 촉진

허마셴셩, 완다, 리소, 빙고박스, 볜리펑 등. 그간 신유통 생태계 및 스마트 편의점의 사례로 등장했던 브랜드들의 공통점은 현금 대신 스마트폰의 QR결제를 내세운다는 점입니다.


허마셴셩의 특징 중 하나는 온라인이든 오프라인 매장이든 알리페이로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중국 최대 오프라인 백화점을 보유하고 있는 완다그룹과 은련(유니온페이) 역시 이와 유사한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은련의 NFC 결제 시스템인 은련윈샨푸(银联云闪付)를 완다의 백화점, 호텔, 병원에서 독점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달 2일 오픈한 바이리엔 그룹의 ‘리소(RISO)’도 이 연장선상에서 만들어진 신유통 매장입니다. ‘미래의 매장(未来店项目)’이란 콘셉트로 설립이 됐는데요. 리소는 오프라인 공간의 ‘데이터 기반 도식화’, ‘경험화’, ‘제품 생산 생태계’, ‘고효율적인 공급 사슬’을 통합한 모델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신선 식품이 전체 제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0%인데요. 리소는 매장 근처의 식자재 구역에서 신선한 제품을 배송해온 뒤 현장에서 직접 요리를 해주거나, 테이크 아웃용 반조리 제품을 판매합니다.


i바이리엔(i百联) 앱으로 제품 구매 예약을 하면 60분 내 식품을 배송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예약 후 오프라인서 식품 배송’을 구현한 것입니다. i바이리엔은 회원/결제/마케팅 등의 카테고리로 구성돼 있습니다.


상하이에 오픈한 바이리엔 리소 매장


빙고박스와 볜리펑 같은 스마트 편의점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빙고박스는 매장에 직원이 없는 형태의 ‘무인 편의점’인데요. 관리자 페이지와 앱을 통해 상품 판매 데이터, 재고 수량, 유저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며 이를 기준으로 매일 정해진 시간에 매장 관리 담당자 방문하여 매장을 점검하고 부족한 재고를 채워 넣습니다.


베이징 중관춘에 위치한 볜리펑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앱 만으로 구매 및 배송 주문을 할 수 있습니다. 매장 내의 와이파이 및 QR코드 인식을 통해 자신이 위치한 매장을 인식하며, 앱의 QR 스캔을 통해 판매원을 거치치 않고 셀프 결제/구매가 가능한 형태죠.


2016년과 2017년 중국의 가장 큰 화두는 오프라인의 디지털화이며,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바로 모바일 기반의 결제였습니다. 허나 단순히 고객에게 편리한 형태의 결제 환경을 만든 것이 아닙니다. 중국이란 나라에서 ‘결제’는 온라인에서 십수년간 구축된 커머스 생태계를 오프라인으로 이식하기 위한 허브였습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짓는다는 O2O부터 오프라인의 디지털화를 뜻하는 신유통의 이면을 아우르는 것 역시 이 모바일 결제였습니다.


모바일 결제는 디지털화된 화폐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더 이상 실물 현금이 지불되는 것이 아니라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에 데이터가 오가는 기반이 만들어진 것이죠. 지금 당장에는 모든 사람들이 갖고 있는 모바일 기기가 결제의 수단일 뿐입니다. 중국에서 생체인식 결제의 환경이 빠르게 만들어질 수 있는 이유 역시 이미 구축된 결제 인프라에 있습니다.


중국의 무현금 사회는 더 이상 상상 속의 산물이 아닙니다. 알리페이를 필두로 한 핀테크 기업이 기반을 구축했고, 이를 통해 오프라인으로 빠르게 모바일 결제가 확산됩니다. 심지어 중국 정부가 정책적으로 이를 밀어줍니다. 당장에 비금융기관의 소액외화송금 인가조차 어려움에 처한 우리는 쫓아갈 수도 없는 수준의 일들이 지금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중국 모바일 결제, 거지+QR 아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