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Vol 3 집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콰드로페니아 Mar 14. 2021

vol 3. 집 - 에필로그

1. 기억에 남는 글이 있다면? :  


영재 : 호준의 <과거에 산다는 것은>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뚜렷하고 흡입력이 좋아 정말 재밌게 읽었던 기억이 있는데요. 정작 호준이는 글을 어떻게 마무리할지 결정하지 못해 힘들어했습니다. 사실은 발송하기 바로 전까지 많은 수정이 있었던 글입니다. 새벽까지 호준이와 함께 글을 다듬으면서 더 나은 글을 위해 고민하던 순간들이 떠오릅니다. 결과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해주시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많이 받아서 제 글이 아닌데도 애착이 많이 가는 글입니다.

승준 : 제가 썼던 ‘집보다 편한 곳이 필요해’가 제일 기억에 남습니다. 외할아버지께서 돌아가시던 시기에 썼던 글이라 정리가 잘 되지 않았고 슬럼프인가 싶을 정도로 완성도나 구성이 엉망인 글이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일주일이 넘는 피드백 과정에서도 여러 혹독한(?) 비판들이 오고갔었고 메일 발송 전날 새벽까지 붙잡고 있었던 기억이 아직도 선명합니다.

호준 : 영재의 <우리집>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평생 아파트에서만 살았기 때문에 주택에서 사는 삶은 어떨지 늘 궁금했습니다. 주변에 주택에서 거주하는 사람이 드물어서 알 길이 없었고 집에 대해 이야기할 기회도 없어서 잘 알지 못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살짝 엿볼 수 있어서 즐거웠습니다.


2. 마음에 드는 부분(구절) 하나를 꼽자면? :

영재 : “집보다 편한 곳이 필요해” [200729, ‘집보다 편한 곳이 필요해’]
승준이가 쓴 글의 제목입니다. 과연 나에게 집보다 편한 곳이 있는지? 그렇다면 그곳은 어디인지? 평소 생각해보지 않은 질문들을 고민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흥미롭게 느껴졌습니다. 그 곳이 어딜지 아무래도 지금은 떠오르지를 않네요. 

승준 : “우리 집이 살아 있다고 느낄 때가 있다.” [200703, ‘우리집’]
영재의 ‘우리집’에서 나온 구절입니다. 10년을 넘게 지낸 집에 혼자 있을 때면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집에서 쌓아온 내 시간이 집의 여기저기에 박제되어 있는데, 집이 완전히 죽은 공간이었다면 내가 그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을까?’ 영재의 문장은 집에 사는 사람과 사람이 사는 공간 사이의 소통이 가능하다는 말처럼 들렸습니다. 제가 집에 대해 갖고 있던 생각과 잘 맞아떨어져서 기억에 남습니다.

호준 : “아무리 애를 쓴다한들 지나간 시간을 다시 돌려 놓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200728, ‘과거에 산다는 것은’]
제가 쓴 문장입니다. 솔직히 말하면 저는 이 문장과 반대로 살고 있었습니다. 과거의 행동을 수없이 반추하며 과연 그것이 옳았는지 끊임없이 되물었습니다. 돌아 보면 좋은 일만큼이나 나쁜 일도 많이 떠오르기에 그리 즐거운 일은 아녔습니다. 이때 글을 쓰며 글 내용에 대해 덧붙이는 제 감상이었지만, 한편으로 당시 저 자신에게 하는 말이기도 했습니다. 과거는 바꿀 수 없으니 지금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하자는 다짐이었지요.


3. 이번 시즌 글을 쓰면서 어디서 영감을 얻었나요?

영재 : 코로나 탓에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언제가 될지 모르는 미래에 제가 살게 될 집을 떠올리는 일이 잦았습니다. 지금 사는 집을 떠나 혼자 살 생각을 하니 신이 나면서도, 한편으로는 어찌나 아쉽고 섭섭하던지요. 자연스럽게 지금 사는 집에 대한 추억들이 떠올랐습니다. 이러한 생각들이 꼬리를 물면서 내가 지금 사는 집에 대한 글을 써봐야겠다는 단서를 얻은 것 같습니다. 

승준 : 다른 공간이 집과 어떻게 다른지 집중하면서 그 차이를 명확히 인식하는 노력을 했습니다. 현장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습니다. 시즌 3를 하는 동안 결혼식장과 장례식장, 비즈니스 호텔, 카페, 교보문고, 화성 행궁, 병원 등 여러 공간을 돌아다녔습니다. 특히 ‘집보다 편한 곳이 필요해’를 쓸 때 여러 공간에 다녔던 경험으로 집과 집이 아닌 공간이 갖는 차이점을 더 선명하게 그리고자 했습니다.

호준 : 박완서 선생님의 수필집 ‘나는 왜 작은 일에만 분개하는가’ 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저는 글을 쓰다 어려움에 처할 때면 늘 박완서 선생님의 글을 봅니다. 자신의 생각을 담담하게 전하는 담백한 선생님의 글은 언제나 제 롤모델입니다. 특히 해당 수필집에 수록된 ‘전화 없는 날’은 집 전화와 관련된 글을 쓰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콰드로페니아는 메일링 서비스로 글을 전달합니다. 첨부된 링크를 통해 구독신청을 해주시면 매주 화요일 아침 10시에 여러분의 메일함으로 글을 보내드립니다. 완벽하게 좋은 글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지만, 한 주에 한 번 적당한 포만감을 느낄 수 있는 글을 보내 드릴게요.


저희는 반복되는 일상을 다른 관점으로 그려 내고자 합니다.

저희의 글이 일상에 작은 차이와 즐거움을 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구독 신청 https://mailchi.mp/1cb3d1a5e1ad/quadro


매거진의 이전글 잃어버린 집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