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ewr Apr 15. 2024

산 자와 죽은 자, 두 세계를 뒤집어 접목하다

영화 〈키메라〉

7★/10★


  아르투에게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 고고학을 전공한 그는 부장품이 있는 무덤 위에 서면 어질어질해지며 혼절하듯 주저앉는 ‘키메라 상태’가 된다. 그러나 무슨 이유인지, 이 놀라운 재주를 가진 남자는 고고학계에 안착하지 못했고, 도굴꾼이 되었다.     


  이야기는 감옥에 갇힌 아르투가 석방 후 이탈리아 시골 마을로 도굴꾼 동료를 찾아가는 데서 시작한다. 이탈리아 마을에 도굴할 무덤만 있는 것은 아니다. 아르투는 그 마을에 가면 사라진 연인 베니아미나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베니아미나의 언니들은 그녀가 어디 있는지도 모르고 돌아오지도 않을 거라고, 심지어 죽었다고 확신하지만 베니아미나의 어머니만은 자기 딸을 잊지 않고/살아 있다고 믿고 찾아다니는 아르투를 반기고 아껴준다.     



  영화는 아르투가 도굴을 이어가던 중 진귀한 고대 조각상을 찾는 과정과 베니아미나와의 재회를 독창적으로 엮어내 담아낸다. 화면비, 연출 등에서 고전 영화의 느낌을 풍기면서도 이를 능숙하게 변주해 동시대 관객이 그리 생경하게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호흡을 조절한다. 때로는 익살극 같고, 때로는 모험극 같은 영화의 흐름은 낯설면서도 자연스러워 자연히 따라가게 된다.     


  그러나 제일 흥미로운 건 유물과 연인을 향한 아르투 여정의 궤적이다. 자잘한 부장품만 도굴하던 아르투와 친구들은 고대 신전 속 조각상을 찾는다.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값어치의 물건이다. 그런데 넋을 잃고 조각상을 바라보던 아르투의 눈앞에서 충격적인 장면이 펼쳐진다. 동료 무리가 밖으로 쉽게 나르기 위해 멀쩡한 조각상을 부숴 머리를 분리한 것. 아르투는 격렬히 달려들어 이들을 제지하지만 동료들은 이전에도 편히 운반하기 위해 이렇게 해오지 않았느냐며 되레 아르투를 책망한다. 혼란도 잠시, 아르투와 동료들은 그들이 부장품을 팔아넘기던 사람들에게 이 조각상을 도둑맞는다. 그러고는 조각상의 떼어낸 머리를 두고 그들과 협상한다. 이 모습을 보고 아르투는 확신한다. 이들이 그를 황홀하게 한 조각상의 아름다움을 보지 못한다는 것을. 그래서 초연하게 결단한다. 아르투는 손에 든 조각상의 머리를 깊은 호수에 던져버린다. 이 일로 아르투의 동료들은 그에게서 등을 돌리고, 당연히 그의 생계 역시 어려워진다.     



  그러나 얻은 것도 있다. 도굴꾼으로 전락한 아르투가 지금까지 해오던 일에 갑자기 거리감을 둔 건 신전 속 조각상의 아름다움을 목격하고 그 참된 값어치를 알아보았기 때문이다. 단순히 고고학적, 예술적 가치에 대한 깨달음이 아니다. 죽은 사람들과 함께 묻힌 물건에는 그 사람을 아끼는 주변인들의 마음이 담겨 있다. 즉 아르투는 자신이 지금껏 물건으로서의 부장품을 훔쳤을 뿐 아니라 그에 담긴 마음까지도 훔쳐왔음을 깨닫는다. 이 깨달음은 아르투를 헤어진 연인 베니아미나에게 인도한다. 가족들도 포기한, 정신이 온전치 못한 어머니만이 살아 있다고 믿은 베니아미나, 즉 아르투의 ‘죽은’ 연인에게 가는 길이 이 깨달음으로 열린다.     


  빈털터리가 된 아르투는 먹고 살기 위해 또 다른 도굴꾼에게 고용되어 땅속에 들어갔다가 홀로 갱도에 갇힌다. 때마침 그에게는 조각상 사건 후 조우한 영혼들에게서 받은 라이터가 있었다. 라이터로 불을 밝히자 지상의 베니아미나가 남긴 흔적이 보인다. 아르투는 그 흔적을 잡고 땅 위로 올라가 베니아미나를 만난다. 이 극적인 만남 직전 아르투가 있던 갱도는 땅속, 즉 죽은 자의 자리고 베니아미나가 있던 땅 위는 산 자의 자리다. 산 아르투가 죽은 자의 자리에, 죽은 베니아미나가 산 자의 자리에 있는 셈이다. 이 장면은 아르투가 조각상의 참된 가치를 알아보고 죽은 자의 세계에 온전히 접속했음을, 즉 죽은 연인을 만날 자격을 획득했음을 보여준다. 아르투가 키메라 상태가 될 때마다 카메라가 360도 수직으로 돌아 땅이 뒤집히는 듯 보이게 촬영한 장면도 산 자의 세계와 죽은 자의 세계가 뒤집힌 채 맞닿아 있음을, 그가 가진 특별한 능력이 두 세계를 오고 갈 수 있는 잠재력임을 암시한다.     



  아르투가 두 세계 사이에서 끝내 연인과 재회하지 못한 오르페우스의 비극을 반복하지 않은 이유는 단지 그가 죽은 자의 세계를 존중하는 법을 배웠기 때문만이 아니다. 그는 베니아미나 어머니의 하녀이자 제자인 이탈리아에게서 현생의 아름다움도 배운다. 집이 없는 이탈리아는 베니아미나 어머니 집에서 쫓겨난 후에 아이와 여자들을 모아 공동체를 꾸려 폐건물에서 새로운 삶을 일궈 나가는데, 아르투는 그녀에게서 수천 년간 땅에 묻혀 있던 조각상만큼이나 찰나의 현생 역시 아름답다는 사실을 마음 깊이 배우고 새긴다. 요컨대 아르투는 산 자에게도, 죽은 자에게도 긍정할 수밖에 없는 아름다움이 있다는 깨달음으로 ‘죽은’ 연인과 재회해 행복을 맞이한다. 익살맞으면서도 때때로 정곡을 찌르는 연출과 플롯은 관객이 쉬이 영화에 고개를 끄덕이게 해준다. 고전 영화를 연상케 하는 기법으로 고래古來의 문제의식을 현대적 신화로 재현한, 기묘한 매력의 영화다.

매거진의 이전글 자연의 악의 없는 복수에 엄습하는 공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