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브스턴스〉
메시지는 심플하다. 사회가 나이와 몸매, 외모를 기준으로 여성의 가치를 매기고 여성 스스로도 이 기준을 내면화했다는 것. 중요하지만 새롭지는 않은 주제다. 그렇다면 전달 방식이 중요해진다. 관객이 ‘알고 있다’고 여기는 주제를 다시금 각인시키려면 무미건조해서는 곤란하다. 혁신적 접근으로 관객의 머릿속을 충격적으로 갱신해야만 한다. 그래야 비슷한 문제의식을 가진 다른 영화를 압도하고 이 주제의 왕좌에 오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서브스턴스〉가 가는 길이다. 여성의 외모를 철저하게 위계화하는 사회에 대한 비판은 여러 장르의 여러 영화가 천착해온 주제다. 선배들이 걸어온 길을 그대로 가서는 자신만의 특이성을 획득할 수 없다. 〈서브서턴스〉의 선택은 흉측하게 그로테스크하고 불쾌하게 교훈적인 심리 스릴러다.
전반적인 이야기 구조는 오스카 와일드의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 기본 이야기 구조에서 시대와 성별을 바꿨다고 보면 된다. 과거 오스카상을 수상했으나 지금은 TV 에어로빅 쇼 출연자로 근근이 활동을 이어가는 엘리자베스. 그녀 커리어가 쇠락한 가장 큰 이유는 나이와 그로 인한 외모 변화다. 50대에 진입한 엘리자베스는 여전히 또래보다 ‘월등한’ 외모를 가졌지만 업계 관계자는 이제 더 이상 그녀를 ‘매력적’으로 보지 않는다. 50세 생일, 엘리자베스는 에어로빅 쇼에서 해고당한다.
그러나 뜻밖의 반전 기회가 찾아온다. 엘리자베스는 은밀하게 한 약물(서브스턴스)을 권유받는다. 세포 분열을 촉진시켜 또 다른 나를 탄생시켜주는 약이란다. 엘리자베스를 모체로 한 또 다른 신체와 자아를 가진, 무엇보다 엘리자베스보다 ‘젊고 아름답고 완벽한’ 수는 이렇게 탄생한다.
규칙이 있다. 엘리자베스와 수는 일주일 간격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한 사람이 활동할 때, 다른 사람은 깊은 수면에 빠져 있어야만 하는 것이다. 교체 기간을 어기면 상대방의 신체에 치명적 손상이 가해진다(이를테면 신체 일부가 ‘늙고 추한’ 상태로 변한다). 수의 탄생으로 자신이 젊었을 때 누린 커리어의 상승 곡선을 다시 시작하게 된 엘리자베스는 기분이 좋다. 일주일간 잠들었다 깨어날 때마다 길거리와 TV에 수의 얼굴이 점점 더 많이 나오는 데서, 업계 관계자와 남자들이 다시금 자신에게(수에게) 관심을 가지는 데서 오는 기쁨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수가 주는 기쁨은 엘리자베스의 슬픔과 좌절의 원천이기도 하다. 수와 대비되는 자신을 볼 때마다 자괴감에 빠지고, 자신의 시대가 완전히 끝났다는 데 박탈감을 느낀다. 결국 엘리자베스는 자신의 존재 따위는 아랑곳하지 않고 승승장구하는 수에게 질투를 느끼기 시작한다. 불만은 수에게도 있다. 급속도로 자기 가치를 올리는 중인 수는 일주일마다 자기 몸을 엘리자베스에게 내줘야 한다는 게 불만이다. 그래서 조금씩 규칙을 어기고 교체 기간을 미룬다. 그러면 엘리자베스의 신체는 더 ‘흉해진다’. 점차 엘리자베스의 감정이 증오로 물든다. ‘기억하라, 당신은 하나다!’라는 서브스턴스의 가치가 흔들리고, 두 사람은 폭주를 거듭한다. 폭주의 끝은 파멸이다.
〈서브스턴스〉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건 끔찍할 정도로 기괴한 이미지다.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늙고 추해지는’ 엘리자베스의 몸 이미지 말이다. 이 이미지는 우리를 고민케 한다. 늙은 몸이 추하기만 한가? 괴물이 연상될 정도로? 그러나 적어도 이 영화에 한정하자면, 이 질문은 적합하지 않다. ‘여성은 늙으면 외모가 쇠락하고 매력을 상실한다’는 명제는 영화의(그리고 우리 사회의) 절댓값이다. 극단적으로 ‘추한’ 엘리자베스의 몸은 사회가, 그녀 스스로가 나이 든 여성의 몸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고발하는 수단일 뿐, 노인 여성의 몸이 실재하는 방식과는 관계가 없다. 우리가(그리고 여성 자신이) 나이 든 여성의 몸을 얼마나 왜곡되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폭로하는 상징으로서 늙은 몸에 그로테스크함을 결부해 영화 이미지로 제시한 것이다. 그러니까, 변화한 엘리자베스의 몸을 보고 욕지기를 느끼는 관객은 왜 사회는/나는 나이 든 여성의 몸을 저런 방식으로 왜곡해 상상할 수밖에 없는지를 질문할 수 있다. 심리 스릴러 장르가 자아내는 불편한 긴장감과 결부한 ‘끔찍한’ 육체 이미지가 우리의 통념에 틈입해 머릿속을 헝클어뜨리는 것이다.
엘리자베스와 수는 서로 다른 자아와 신체를 가진 하나의 존재다. 그러나 두 사람의 관계는 또 다른, 그래서 의미심장한 맥락 역시 갖는다. 수는 엘리자베스에게서 태어났고, 두 사람은 교체 주기마다 서로의 피를 교환한다. 즉 인류가 탄생한 이래로 무수히 반복‧순환되어온 ‘모녀 관계’를 닮았다. 엘리자베스는 자기 몸에서 나온 수를 보고 크게 만족하지만 이내 자신을 방치하고 착취해 홀로 승승장구하는 수에게 배신감을 느낀다. 수는 엘리자베스가 자신을 물심양면 돕기는커녕 훼방만 놓기 일쑤라는 데 마찬가지로 분노한다. 전형적인 모녀 관계 갈등 양상이다. 이렇게 ‘나’이자 ‘타인’, 가장 친밀하고도 먼 존재인 ‘엄마와 딸’의 관계성 속에서 두 여성은 ‘기억하라, 당신은 하나다!’의 정신을 현실에서 구현하지 못한다(그랬다면 아마 〈서브스턴스〉는 두 여성이 성차별적, 외모 차별적 사회를 풍자하는 코미디 영화가 되었을 터다).
그 결과는? 여성들은 연대하지 못하고 서로를 적대한다. 여성을 위축시키는 왜곡된 통념은 안정적으로 재생산된다. ‘일부’ 남성들은 이 통념에 기생한다. 엘리자베스와 수처럼 적대적 관계성을 반복하는 개별 여성들은 명멸하다 사라진다. 〈서브스턴스〉가 선보이는 끔찍한 이미지들을 매개로, 우리는 다시금 훼손된 연결성을 복원해야 한다. 그런 후에, 우리는 비로소 ‘흉측한’ 엘리자베스의 몸과는 다른 나이 든 요성의 몸을 상상하며 기쁘게 늙어갈 수 있을 것이다.
*영화 매체 〈씨네랩〉에 초청받은 시사회에 참석한 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