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들은 뭐 하셨어요?” 첫 번째 질문은 적확하다. 대학병원 간호사 유정은 동생 기정이 학내에서 미숙아를 출산한 후 유기했다는 연락을 받고 학교에 방문한다. 유정은 선생님들이 모인 회의에 참석한다. 누군가는 모범생인 기정이 이런 일을 벌였다는 데 안타까움을 표하고, 누군가는 그저 걱정만 하며 어쩔 줄 몰라 한다. 그러나 결론은 같다. 기정이 형사 처벌을 받으면 퇴학 조치하겠다는 것. 간호사인데도 왜 동생의 임신을 알지 못했느냐는 은근한 책망이 이어진다. 이때다. 한동안 침묵하던 유정이 첫 번째 질문을 던진 것은. 유정이 동생의 신체적 변화를 알아차리지 못한 데 책임이 있다면, 그 책임은 마찬가지로 학생을 돌보는 게 일인 선생님들의 것이기도 하다. 유정의 첫 번째 질문은 본연의 책무를 외면한 채 책임지기를 거부하는 자들을 향한다. 유정이 죄송하다며 연신 머리를 조아리고 죄인이라도 되는 양 굽신거리지 않고 오히려 되묻는 장면이 좋았던 이유다.
“너가 그런 게 맞아?” 그러나 두 번째 질문은 틀렸다. 유정 역시 이 사건이 힘들다. 기정은 처벌 위기에도 입을 열지 않고, 부모 없이 동생을 양육한 유정의 속은 타들어간다. 무엇보다 유정은 기정이 ‘이런 일’을 할 아이가 아니라고 여긴다. 자기가 아는 동생은 그럴 사람이 아니라는 것이다. 기정을 마주한 유정은 질문을 쏟아낸다. 네가 그런 게 맞는지, 왜 아무 말도 하지 않는지, 왜 그런 일을 겪고도 내게 알리지 않았는지……. 그러나 기정의 답은 간결하다. “언니가 생각이 안 났어.”
혈연은 가족 관계를 구성하는 절대적인 근거로 간주된다. 하지만 서로를 돌보고 북돋는 가족의 절대적 근거일 순 없다. 가족은 명사가 아닌 동사다. 관계 호칭에 걸맞은 육체적‧정신적‧감정적 실천이 동반되어야만 한다. 이것이 유정이 마주한 과제다. 이제 유정은 동생과의 관계를 처음부터 새로 만들어가야 한다. 이전에 알던 기정은 없다. 〈언니 유정〉은 당연하게 주어진 혈연 관계를 넘어 유정이 진정한 의미의 언니가 ‘되어가는’ 과정을 담는다.
동생 기정을 알아가는 언니 유정의 여정에는 또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있다. 먼저 유정이 담당한 환자와의 관계다. 임신 중독 증세로 입원 중인 환자와의 관계를 통해 유정은 기정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 동생인지를 되새긴다. 유정의 엄마는 기정을 낳다가 죽었다. 그래서 유정은 기정을 볼 때마다 동생에게서 엄마를 겹쳐 본다. 동생이 엄마를 앗아갔다는 원망은 아니다. 기정은 유정에게 동생인 동시에 엄마이기도 한, 곱절로 소중한 사람이다. 두 번째는 기정의 친구인 희진과의 관계다. 희진은 무언가를 알고 있는 듯한데 시원하게 털어놓지는 않는다. 그러나 희진의 단편적인 말만으로도 유정은 자신이 기정을 여태껏 잘못 알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이렇게 유정은 담당 환자를 통해서는 기정의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고, 희진을 통해서는 기정의 현재에 다가간다. 누군가는 영화가 꼭꼭 숨겨둔 기정이 사건의 비밀이 밝혀질 때 커다란 임팩트를 남기지 않는다는 데 아쉬움을 느낄지도 모르겠다. 그날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마지막쯤에야 드러냄으로써 일정 부분 미스터리 장르의 몰입감을 선사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기정과의 관계를 복원하겠다는 유정의 의지와 실천으로 바라본다면 어떨까? 담당 환자, 희진과의 관계에 깊이 몰입한 결과 얻은 통찰로 기정이 사건을 해결하고, 자매간 상호적 관계 실천의 토대를 기어이 마련해내는 유정에게서 가깝고도 먼 혈육과의 관계를 돌아볼 실마리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우리가 아는 혈육의 모습과 실재 혈육의 삶은 일치하지 않는다. 〈언니 유정〉은 어떤 맥락에서는 그 간극을 마주했을 때 '절망'하는 것이 폭력일 수 있음을 환기한다. 이 절망이 자기 기준에 맞춰 상대의 현재를 철저히 부정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다시 한번, 혈육은 관계의 출발 조건일 뿐 그 자체로 절대적 조건인 것은 아니다. 혈육은 관계의 의지와 실천으로 공들여 유지해야 할 친밀한 타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