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준구 Dec 02. 2024

어김없이 찾아온 12월의 달력 한 장

어느덧 불쑥 다가온 

11월의 막바지 몸부림처럼 찾아온 폭설을 지나고 보니 12월이다.


11월까지는 가을이라 우기며 두 달 남은 한 해라 여유가 있는 편이었는데 덜렁 한 장만 남은 달력을 보니 

약간의 긴장감이 엄습한다. 

“올해도 다 지났구나!”

이뤄 놓은 것 없이 지나가는  순간이 쌓여  드디어 올 것이 온 것 같은 당혹감.

12월은 늘 그렇게 나에게 찾아왔다.  


시간을 헛되이 보내지 않았다고 항변이라도 하듯 밀린 숙제를 처리하는 모드에 돌입했다.

1년에 한 번은 성경을 완독 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며 시작한 작전표엔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읽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고 잠시의 묵상이라도 가져보려 했지만 매달 공백으로 남겨진 성경을 훌트며  때워보려고 안간힘을 쓴다.  


길게 붙들고 있던 짐 웰리스의  “God’s politics” 은 겨우겨우 일독 했다. 모르는 단어를 일일이 찾다 보면 속도가 안 나고 그냥 넘기기엔 모호한 해석을 찜찜해하다 속독 쪽을 택해서 마무리 지었다. 예수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삶 속에 적용하며 살아가기를 원하지만, 미국의 양당 정치 구도라는 제한된 선택 앞에선 길을 잃는 혼란을 겪고 있다. 딱 이게 아니고 저것도 아닌데 마땅한 대안이 없는, 그래서 나름의 최악은 모면하면 좋겠다는 서글픈 현실을 엿본다. 이러한 상황이 그쪽 만의 현실이 아니라는 점이 또한 씁쓸하다.  


한강의 “이별하지 않는다”는 산문이 시를 담아내고 그 섬세한 표현으로 사람의 내면을 잘 들여다볼 수 있게 만든다. '켜켜이 재워 둔 슬픔을 어떻게 삭이고 살아온 것인지?'

현기영의 “순이삼촌”이 역사적 자각에 이르게 하는 충격과 부끄러움을 선사한 계몽이었다면, 한강은 참혹한 아픔을 승화해 내며 잠잠히 살아내는 심상의 흐름을 가늠케 만들었다.  


황석영의 “철도원 삼대”는 출퇴근 지하철에서 주로 읽지만 무게는 좀 나간다. 그래도 활자가 크고 행간의 여백이 많아서 좋다. 국권을 잃어가는 시점의 조선을 일본이 어떻게 요리해서 날로 드셨는지 친절하게 기록하고 있다. 땅을 헐값과 강압으로 빼앗아가고 빼앗긴 땅 주인과 마을 사람들을 부역에 동원해서 노역으로 병들어 죽게 만들며 철길을 내면 그 길로 만주와 이북의 자원과 남녘의 농산물을 일본으로 실어 날랐던 역사. 

일제와 맞서 투쟁하며 맞서려는 사람들이 있었고 기생하며 배반하고 덕을 보려는 사람이 있었다. 

잊어버리고 살아도 무방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우리의 몇 세대 전의 생생한 역사적 기록을 토대로 한 이야기라 가슴 무겁다. 


“Pachinko”는 선자가 오사카의 전당포에서 자신의 시계를 처분하는 과정을 읽고 있다.  드라마가 원작에 충실하고 때론 색다른 요소를 가미하고 있어 읽으며 영상과 대조해 보는 재미가 있다. 


12월 첫 주에 2025년도 다이어리와 달력을 선물 받았다. 

손에 쥐는 순간 “어느덧” 이란 단어가 떠올랐고 , 이제 남은  한 달도 알차게 보내야겠다는  다짐을 해본다. 

주말엔 묵혀 뒀던 옷가지와 잡동사니들을 처분했다.  

비우고, 나누고, 버리고 정리했다.  


내가 하던 일을 내년에도 잘 유지해 갈 수 있기를 

소박하지만 소박하지만도 않은 바람을 외쳐 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