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애호 Nov 10. 2017

내게 주어진 시간

“엄마”라고 부를 수 있는 오늘에 감사해




그곳에 무엇이 있는지 알면서도

들을 수 없고 답할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엄마는 늘 말을 건네셨다.


"엄마, 나왔어"

"잘 계셔, 또 올게"


엄마는 늦은 밤 방안에 들어와 이불을 덮어주며 잠든 나를 토닥여주시곤 했는데 이불 토닥이듯 꽁꽁 언 손으로 할머니의 무덤을 토닥이셨다.


덩그러니 놓인 종이컵 하나에  술을 채우시는 모습 속에 말로는 다 할 수 없는 마음이 느껴졌다.


인간의 탄생이 인간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은 힘든 세상을 살아가야 할 인간에 대한 신의 배려가 아니었을까.

부모가 때로는 자식을 힘들게 하기도 한다.

하지만 결코 나쁜 부모는 없다고 생각한다.

어린 시절 내 앞에서 자주 싸우던 부모님을 보며 난 절대 자식 앞에서 싸우지 않겠다고 다짐했고

그렇게 누군가에게 좋은 부모가 된다면 그 또한 부모님 덕분 아니겠는가. 그러니 그저 고맙다.


우리는 정해져 있는 이별에 무심한 채 살아가다 결국 후회와 그리움을 안고 산다.

계실 때 아무리 잘해도 더 잘해드리지 못한 것이 한으로 남아 사는 내내 채워지지 않는 구멍으로 존재할 이들. 서로에 대한 충분함과 만족이 존재하지 않는 절대적 관계. 서로 더 주지 못해 아쉽고 후회가 남는 함께하는 시간이 더욱 소중할 수밖에 없는 관계가 부모-자식 관계다.


함께하는 시간 동안 미움과 원망이 없길 바란다.

그럴수록 자신의 삶에서 그들은 더 깊은 후회와 오랜 그리움으로  자리할 테니.


초등학교 6학년 때 외할머니가 돌아가셨다.

할머니는 완전히 눈을 감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나셨고 엄마와 이모는 손으로 할머니의 눈을 감기며 많은 눈물을 흘리셨다.


"엄마 , 우리 걱정하지 말고 편히 잠드셔."


난 그때의 엄마와 이모의 모습을 잊을 수가 없다.

그때부터 난 부모님과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한정되어 있음을 깨달았다. 그리고 내게 주어진 그 시간을 그들이 세상을 떠나서도 내 걱정하지 않도록 믿음을 보여야 하는 시간이라 믿었다.

부모님이 살아계시지 않아도 그들의 자식으로서 누가 되지 않도록 사는 것이 내 부모의 자식으로 태어나 그들에게 다할 도리며 효라 믿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며 살아갈 것이다.


함께하고 있는 지금도 '엄마', '아빠'라는 단어가 사무치게 그립고 마음 한켠이 뭉클하다.

함께하는 오늘에 그저 감사할 따름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