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arandol Mar 14. 2022

공간의 발견

살던 곳을 버리고 미련 없이 떠났다. 

      

전체적으로 둥근 모양인데, 높이 10cm 정도 지름이 7cm 정도, 위로 난 입구는 6cm 정도. 두 개를 발견했는데, 크기는 둘 다 비슷했다. 공원의 숲 속에서 이런저런 먹이를 가져와 먹였을 것이다. 붉은머리오목눈이는 주로 곤충을 잡아먹는다고 하니까, 적어도 채식주의자는 아니었을 것이고. 그것과는 상관없이, 애지중지 새끼를 길렀으나 어쩌면 한 마리쯤은 이소하기도 전에 세상을 떠났을 수도 있겠다. 

새집은 공원 길가에 무성한 만첩빈도리 숲에 잘 숨겨두었다. 바로 곁으로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고 있었지만, 잘 볼 수 없다. 주의 깊게 살펴도 단번에 찾아지지 않는다. 한번 보고 다시 와서 찾는 데도 바보 같이 잘 안 보인다. 하지만 붉은머리오목눈이는 눈감고도 훤히 찾아들어 가는 보금자리였을 것이다. 

안은 조그마한 새 한두 마리는 들어갈 수 있을 듯싶다. 새는 벌써 집을 버리고 떠난 듯, 새집 속에는 낙엽 한 장이 떨어져 있었다. 새는 흔적도 없이 떠난다고 했겠지만, 그 아래 작은 깃털이 주인을 추측할 수 있게 했다. 떠나버린 새에게는 아무것도 아닌 것이지만, 그것은 보는 사람에게 더 미련 같은 무엇이다. 깃털처럼 가벼운 무엇이라도 마음속에서 항상 무게감을 지니고 있는 것이 있지 않나.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붉은머리오목눈이의 집은 다 비슷했다. 갈대 같은 가지 두 개를 지줏대로 삼아 지푸라기나 나뭇잎을 붙이고 쌓아 만들었다. 거미줄 같은 것이 있는 걸로 봐서는 그걸 접착제로 쓴 것 같다. 흔히 새들이 그러는 것처럼 자신의 침 같은 체액도 마감재로 사용했을 것이다. 자기 몸의 물리적인 무엇이 들어가야지 제대로 만들어지는 것이니까. 적어도 사용하는 동안에는 집은 몸이나 다름없다.  

건축기간이 얼마나 되는지는 몰라도 만져보니 제법 단단하다. 한 번에 지푸라기 한 개를 물어와 짓는다면, 먹고 자는 시간을 빼고 나면 며칠이나 걸렸을까? 그건 잘 모르겠지만, 지푸라기 소재라 그런지 안에는 아직 따뜻한 기운이 스며있는 느낌이다. 

화려하지 않아도 새끼들에게는 세상 단 하나의 보금자리였으며, 쉴만한 곳이었을 거다. 새는 새끼를 길러 내보내고, 살던 집 버리고 미련도 없이 겁도 없이 어디론가로 떠났다. 이 길에 봄비가 내린 후에 순결하고 새햐얀 만첩빈도리가 피어날 것이다.


keyword
작가의 이전글 엉겅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