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Work in US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ehwan Jan 29. 2020

콜라보레이션에 관하여

Everyone puts different things.


얼마전에


지금 다니는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있었던 일이다. 그리 큰 규모의 작업은 아니어서 새로 들어온 경력 디자이너 A와 들어온 지 2년 정도 된 주니어 디자이너 B가 같이 일할 수 있도록 팀을 꾸려주고, 나는 주기적으로 프로젝트 진행만 점검하였다. 내가 직접 디자인하는 일은 아니었고 이들이 디자인을 잘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내 역할이었다. 문제 발견, 컨셉 도출, 디자인 진행, 의사결정까지 그들의 손에 맡겨볼 심산이었다. 게다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작업을 해나가면서 협업(Collaboration)에 관해서도 좀 능숙해지기를 원했다. 내심 새로 들어온 A가 B를 데리고 프로젝트를 잘 이끌어주기를 바랬다.


A는 들어온 지 얼마 안 되었지만 경력직이어서 그런지 책임감 있게 일을 진행할 줄 알았다. 작업의 결과물도 좋았고, 무엇보다 일을 적극적으로 되게 만드는 사람이었다. 그래서 프로젝트에 대해서 크게 걱정하지 않았다.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A가 B랑 같이 일하기 힘들다고 나에게 이따금씩 하소연하였다. 이유인즉슨, B의 프로젝트 기여도가 너무 낮고, 반면에 회의를 하거나 의사결정을 할 때는 사사껀껀 딴지를 건다는 이유였다. A의 말만 들어보면 B의 잘못이 너무 명백했지만, 그래도 B의 의견을 좀 들어보기 위해서 따로 1:1 미팅을 갖기로 했다.


B도 역시 A를 향해 불만이 많았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A가 여러 가지 결정을 하는데 자기 의견은 묻지도 않고 본인 마음대로 해버린다는 것이었다. 몇 번인가 그런 일이 반복된 이후에는 B도 본인의 의견을 관철시키기 위해서 맘에 안 드는 결정들에 대해서는 딴지를 걸게 되었다고 한다. 의사결정이 맘에 들지 않으니 프로젝트의 기여도가 자연스레 낮아질 수밖에 없었다.


프로젝트의 마지막에는 결국 A와 B가 갈라져서 A 혼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마무리하게 되었다. 프로젝트의 결과와는 별개로 협업의 차원에서는 실패한 프로젝트가 되어버렸다. 이 일로 인해서 제 3자 입장에서 둘 다 지켜본 나 또한 올바른 협업, 효과적이고 생산적인 협업에 관해서 여러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협업에 대한 흔한 오해


협업(協業)이라는 단어 그대로 해석하자면 '화합할 (협), 일 (업)'. 글자 그대로 여러 명, 여러 조직이 함께 화합해서 일을 한다는 의미다. 다른 종류의 능력과 경험,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끼리 함께 협력해서 난해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협업이고, 단순한 일을 여러 명이서 나누어 조그만 분량으로 쪼개어 짧은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끝내는 것도 협업이다. 단순한 것 같지만, 이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면서 A와 B의 협업은 좋지 않게 마무리된 것 같다.



A가 오해한 협업


A는 경력직이다 보니까 전문성이 있었고, 프로젝트를 어떻게 추진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다. 비록 우리 팀에 합류한 지 얼마 되지는 않았었지만, 혼자 일을 끌고 나가는 데에 전혀 무리가 없었다. 다만 일을 진행하는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B에게 의견을 나누지 않았고, 혼자서 결정한 방향에 대해서 B에게 통보하는 형식을 취했다. 물론 A는 나에게 이런저런 일로 여러 가지 의견을 구했었고, 본인이 생각하는 디자인 방향과 그에 따른 결과와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미리 알려와서 보고받는 나의 입장에서는 편했지만, 그 의견이 A와 B가 함께 고민했던 내용이 아니라 A만의 생각이었다는 것은 뒤늦게 알았다. A는 본인보다 경험도 적고 스킬 레벨이 적은 B가 프로젝트에 큰 도움이 안 된다고 판단한 것 같다. A는 B를 단지 일이 많을 때 손을 나눠줄 수 있는 '돕는 일꾼'정도로 생각했다.


이는 협업에 임하는 올바른 마인드가 아니다. 물론 경험 많은 A가 결정 내리는 방식이 여러 가지 측면으로 효율적이고 실현 가능한 측면이 있지만, 그와 동시에 다른 새로운 아이디어를 차단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실제로도 B가 나중에 이야기했던 여러 디자인 아이디어들이 당장은 아니더라도 쓸모 있는 것들이 있었고, 반면에 A는 그 아이디어에 대해서 '그거 이 프로젝트 기간 중에 실현 안 되는 거잖아'라며 일축하기도 했었다.



B가 오해한 협업


B는 경험이 적고 스킬 레벨이 낮았지만, 디자이너로써 열정이 있었다. 그래서 디자인 업무뿐 아니라 본인의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전략에도 본인의 의견을 관철하고 싶어 했다. 하지만 그 넘치는 열정으로 여기저기 신경 쓰고 미팅을 하고 다니느라, 본인의 주 업무인 디자인 업무를 소홀히 했고, 결과물도 양적으로 질적으로 초라했다. 게다가 엄청난 속도와 양, 그리고 높은 질까지 보여주는 A 덕분에 B의 퍼포먼스는 미미하게 보였다.


모든 일에 참여해서 하나부터 열까지 같이 하는 것이 협업이 아니다. 협업이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전문성을 leverage(지렛대 작용의 원리처럼 적은 힘으로 최대한 이용해서 팀단위에서 함께 성과를 내는 것)하는 것이다. 가령 엔지니어 관련 지식이 전무한 내가 개발자의 의견에 전적으로 신뢰를 보내는 것처럼, 같은 디자이너라도 B는 A가 가진 전문 영역, 경험을 존중할 줄 알아야 했다. A가 결정 내리는 프로젝트의 전략이나 방향에 이래라 저래라 신경 쓰고 딴지 거느라 시간의 대부분을 허비하기보다는 본인의 디자인 업무를 통해서 B의 역량을 보여줬어야 했다.





Win-Win 하는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여러 가지 다양한 역할의 사람들(디자이너, 개발자, PM, 리서쳐 등)이 함께 일하게 된다. 위의 사례를 통해서 본, 효과적이고 생산적인 콜라보레이션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Shared Goal

프로젝트 초반에 프로젝트의 목적과 달성하고자 하는 Success Metrics를 공유해야 한다. 이는 구성원들이 업무에 임할 때 가장 중요한 업무의 중요도, 긴급성, 투여 시간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구성원들 사이에서 업무를 위한 자원 할당량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팀원 간 필요 이상의 갈등이 생기기 쉽다. 나아가야 할 정확한 방향과 속도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Provide a Safe Place

구성원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기에 안전한 곳이 되어야 한다. 어느 의견 하나라도 쓰레기통에 쉽게 버려지거나 무시되어서는 안 된다. 직급과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은 동등하게 의견 제시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한 분위기가 팀 안에서 조성되어야 한다. 이는 프로젝트 시작 시에 전체 리더가 해결해야할 중요한 과제이다.


Leverage Expertise

모든 사람들이 의견을 동등하게 낼 수 있다고 해서, 모든 사람들이 동등한 의사 결정권을 갖는다는 의미는 아니다. 물론 의사 결정 시에 모두가 참여할 수 있지만, 몇 가지의 안을 두고 첨예한 대립이 있거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는 분야에 어떤 한 사람이 전문성을 지니고 있을 때는 전문가의 의견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 이는 의사 결정권자가 모든 의견을 동등하게 놓고 검토해야 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결정에 대한 많은 책임을 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신중함을 요한다.




seh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