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건우 Dec 15. 2015

아름다움 어원에 관하여

아침생각

‘아는 것(知)이 아름답다’라는 아름다움의 어원이 있습니다.

이 설은 ‘알음과 답다’의 형태로 보는 고유섭선생의 설입니다.

즉 아름다움은 '아는것 만큼 보인다'라는것입니다. 여기서 ‘안다’는 것은 지식만이 아닌 자신의 본질과 타인의 본질을 앎으로써 더 나은 진리를 찾아가는 과정을 두고 ‘아름답다’라고 말합니다.


또다른 아름다움의 어원은 ‘한 아름(抱)’이 아름답다는 설 입니다.

‘아름’은 두 팔을 쫙 벌려 껴안을 때 둘레의 길이와 두 팔로 껴안을 수 있는 양(量)을 말합니다. 두 팔 한 가득 찬 상태를 아름답다라고 합니다.


마지막 어원은 ‘나다운 것(私)’이 아름답다는 설이 있습니다.

아름다움이란 개성적이면서도 보편성을 지닐 때 참다운 아름다움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름답다’의 아름(私)은 주관적이며 개성적이지만 답다가 될 때에는 개성적인 데서 객관성을 띠게 됩니다.

‘아름답다’는 개성적이며 보편성을 띠는 아름다움의 본질적 철학을 지니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아름다움이란 사물의 본질을 찾아 한아름채워 보편성을 바탕으로한 개성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꿈꾸는 도시에 관하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