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eywinkup Jul 06. 2016

다육이와 함께 여름 나기

누구에게나 힘든 계절을 보내는 방법

바깥이 새하얗게 변할 정도로 비가 쏟아졌다가, 그쳤다가, 다시 추적추적 내리기를 반복하는 여름, 서울은 드디어 장마가 시작되었다. 잠을 못 잔 것도 아닌데 눈 뜨는 시간부터 몸이 안 좋은 기분이 드는 건 장마철이기 때문일 터. 하루 일과를 시작하는 '아침 사진'을 위해 베란다로 나가봐도 지금이 아침인지 저녁인지 모를 어둑어둑한 광경이 펼쳐져 있으니 힘이 날 리가 만무한 계절이다.



어느덧 다육이와 세 번째 맞는 여름이다. 다육이를 키우면서 가장 좋아할 수 없는 계절이 바로 여름이다. 여름에는 겪고 싶지 않은 벌레가 생기기도 쉽고, 어제까지 멀쩡해 보이던 다육이가 하루 이틀 만에 죽어나가기도 한다. 심지어 '녹아 없어진다'라는 표현이 다육이한테 적용될 줄은 상상도 못했다.

스무 장 찍어도 한 장 나올까 말까한 아침 7시 반의 풍경


3년 차의 자만심으로 맞이한 올여름은 호기롭게 들인 새 다육이가 분갈이 한 지 며칠 만에 생사를 오가는 위기를 맞는 사건으로 시작했다. (아직도 진행 중이다) 게다가 멀쩡하게 잘 있는 다육이 몇을 새 화분에 굳이 분갈이 한 이후로, 한 달이 넘게 영 힘들어 보이는 녀석들을 보며 아직까지도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다.

가만히 있어도 힘든 여름인데, 아무래도 괜한 짓을 했다.



여름을 보내는 다육이의 역변逆變 일지

정야(화분 오른쪽)와 환엽송록(왼쪽)은 베란다 환경에서는 웃자라기 쉽다. 두 달 넘게 물 한 방울 안 주며 웃자람을 막았다고 자부하고 있었으나, 여름 들어 급속도로 웃자라는 정야를 보고 좌절할 수밖에 없었다. 이 와중에 환엽송록은 말라가고 있으니 대체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하나? 이후로는 같이 심기[합식]를 더 이상 하지 않는다. 보기엔 이쁠지 몰라도, 그 누구 하나 제대로 키우기 힘들기 때문이다.


봄에 누구보다 예쁘게 물들던 까라솔은 여름에는 전혀 다른 얼굴이 된다. 일부러 강한 햇빛에 방치한 게 아님에도 불구하고 새까맣게 탄 듯한 얼굴이 되니, 가끔 놀래서 물어보시는 분들이 있다. 괜찮은 거 맞냐고. 여름의 까라솔은 원래 1년 중 가장 못난 얼굴을 하고 있는 게 정상이니 미워하지도, 걱정하지도 마시기를. 어차피 가을이 되고 찬바람 불면 다시 미모를 찾을 테니까.


뽀얀 핑크빛이 돌던 입전이나, 고운 다홍빛으로 물들었던 당인 역시, 여름 들어 제 멋대로 자라기 시작했다. 아무리 햇빛이 제일 잘 드는 명당자리에 두어도 처음 모습으로 되돌릴 수가 없다. 이쯤 되면 좌절감이 밀려오기 시작한다. 내가 지금 잘못 키우고 있어서 그런 건가?


단순한 조명의 차이가 아니다. 여름의 다육이는 그야말로 '꼬질꼬질'(이보다 더 알맞은 단어는 없을 법한)하다. 딱히 모양이 달라진 것도 아니지만 미모를 뽐내던 봄과는 달리 묘하게 생기도, 힘도 없어 보이는 치와와엔시스.


립스틱은 마치 메이크업 비포&애프터처럼, 새빨갛게 물들었던 라인은 사라지고, 살은 훌쩍 빠져 못나지는 중이다. 이럴 때 불쌍해 보인다고 물이라도 주면? 잎에 통통하게 살이 오르는 대신 빨간색은 더 사라지고 잎이 아래로 퍼지는 역효과를 불러오게 된다.


이쯤 돼서 하고 싶은 이야기가 뭐냐 하면, 나만 혼자 제대로 못 기르고 있다고, 내 다육이들만 이상해지는 것 같다고 너무 걱정 마시라는 거다. 여름엔 다들 못나지고, 다들 힘들어 보이는 게 정상이니까.



Q. 그럼 대체 여름에는 다육이를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까요?
A. 아무것도 하지 말고 그대로 두세요

그대로 둔다는 건 - 잘 안 자라는 것 같다고 굳이 분갈이를 해주거나, 물을 주거나, 영양제를 꽂아 두거나 하지 말라는 의미로 생각했으면 한다. 다만 장마 기간엔 이미 공중에 습기가 충분히 떠다니고 있으니 물은 아예 주지 않도록 하고, 꼭 뭐라도 해주고 싶다면 더위에 지친 다육이를 위해 선풍기를 틀어주자. 막힌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고, 화분 속에 차 있는 습기를 말려줄 바람이 필요한 것이다. 다육이가 건강하게 자라는 데 있어, 통풍은 굉장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더 간섭해도 된다면, 지금은 새 식구를 들일 때가 아니다. 혹시 이미 새 식구들이 도착해있다면, 적어도 분갈이만큼은 좀 더 두었다 하자. 비닐 포트에 있는 건 절대 '불쌍한 상태'가 아니다. 분갈이란 사람으로 치면 결국 이사인 것인데, 사람도 살던 곳 한 번 옮기려면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쏟게 되는지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니 이왕이면 힘내서 뿌리내리기 좋은 계절까지 기다려 주자는 것이다.


이렇게 힘든 여름을 무사히 넘긴 다육이는 다음 여름을 견딜 수 있을 만큼 튼튼해진다. 그러니 조급해하지도, 너무 큰 걱정도 말고 가만히 지켜보도록 하자. 우리의 목표는 베란다 정원의 친구가 오랜 시간 같이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니까.

매거진의 이전글 반려식물을 기억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