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이랑 Apr 17. 2024

아무것도 하지 못한 어른

뭐라도 하고 싶은 어른

둘째와 소아과를 다녀오던 길, 우리 모자 앞으로 고등학생 정도로 보이는 남학생 넷이 걸어가고 있었다. 그중 한 명이 담배에 불을 붙였고 담배 연기와 냄새는 우리 모자를 덮쳤다. 그때부터 나의 머릿속에선 온갖 문장들이 두더지 게임의 두더지처럼 튀어나왔다 들어가길 반복하기 시작했다. 그 사이 대각선 횡단보도, 동시 보행신호로 운영되고 있는 집 앞 사거리에 멈춰 섰고 남학생 무리의 나머지 세 명도 버젓이 담배에 불을 붙였다. 하! 이 지경이라고?


"얘들아, 너희들 지금 뭐 하니?"

"저기요, 적어도 다른 사람한테 피해는 주지 마시죠?"

"얘들아, 아무리 그래도 걸어가면서 피우는 건 아니지 않니?"

"저기요, 아무리 봐도 고등학생으로 보이는데 지금 뭐 하는 거예요?"


어떤 말을 고를까 계속 머리를 굴리고 있는데 내 옆에 있는 둘째에게 해코지를 하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이 점철되자 두더지들은 연기처럼 사라지고 말았다. 초록불이 켜졌고 나는 둘째의 손을 꼭 잡은 채 직진 방향으로 건너며 대각선 방향으로 멀어지는 남학생들의 뒷모습을 쏘아보는 거 말고는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왜 나는 아무것도 하지 못했을까? 두더지 하나를 골라 입 밖으로 내뱉을 걸. 아무것도 하지 못한 내 모습이 뇌리를 떠나지 않았고 계속 찝찝했다. 그러나 아무것도 안 하길 잘했다고 결론을 내리기까지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내 이야기를 들은 남편은 펄쩍 뛰며 앞으로도 모른 척하라고 했고, 인터넷에 '흡연, 고등학생'으로 검색해 보니 하나같이 건드리면 안 된다는 이야기뿐이고, 동네 어르신도 지난번에 뉴스 못 봤냐며 그러다 큰일 날 수 있으니 그냥 두라고 하셨다.


그럼 그들의 그릇됨은 누가 바로 잡아줄 수 있을까? 어른이 가만히 있는 게 청소년을 돕는 일인가? 청소년의 그릇됨을 바로 잡지 못하는 어른 또한 그릇된 게 아닐까? 가만히 있는 게 정상인 세상이 정상인가? 결론을 내려놓고도 씁쓸한 마음을 토해낼 곳이 없어 글이라도 써본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10주기라고 한다. 가만히 있으라는 방송을 믿고, 어른을 믿고 있다가 돌아올 수 없는 길로 가버린 그들. 1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어른들은 무책임해서 자꾸만 고개가 숙여진다.




작가의 이전글 남편의 취향을 찾아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