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ung히다 May 06. 2024

해피가 죽었다.

일상에서 찾는 해피

해피가 죽었다.

해피는 언니의 애완견이름이다.

유명을 달리한 해피의 설움인지 어린이날 연휴에

비가 지루하게도 이틀 째 내렸다.

비 예보에 손자녀의 어린이날 행사를 미리 당겨서 할 만큼 다정한 언니가 울먹이며 전화를 했다.

"해피가 죽는대.

폐에 물이 찼대.

오늘을 못 넘긴대."

내게는 하나도 중요하지 않은 내용을 심각하게 울먹이며 전화를 했다.

언니에게 전혀 도움이 안되겠지만 나의 대화는 뻔했다.

"모든 생명체는 왜 태어나는 줄 아나?... 죽으려고 태어나는 거야."

"죽음을 우리가 어찌 말려. 울지 말고 기도나 해줘"

"산사람이 할 수 있는 건..."

내 이야기를 듣는 둥 마는 둥 언니의 대화가 이어졌다.

"내가 너무 못해줘서... 흑흑."

"내 옆에 와서 비비며 칭얼댈 때 그때 알아봤어야 하는데.. 흑흑"

"매몰차게 귀찮게 하지 말라고 밀어내기만 했어. 흑흑"

"불쌍해 죽겠어. 흑흑"


큰일 났다. 그녀의 슬픔이 빨리 멈출 것 같지 않다.

더 문제인 것은 내가 언니의 그런 슬픔이 크게 가슴에 와닿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녀는 늘 그랬다.

지나치게 잘해주고 지나치게 자책하며 지나치게 반성이 빨랐다.

그것뿐이 아니다.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인간답지 못하다고 크게 실망하기도 했다.

나는 그런 그녀를 언제나 공감해주려 하지 않았던 것 같다.

나는 왜 매 번 언니의 다정다감한 일상사에 공감하지 못하는 것이었을까?

나의 사고에 있는 해피의 기준이 달랐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그녀의 상식으로 해석해 보면 나의 해피가 죽어있기 때문이다.


해피?

해피가 뭐야?

각 자가 꾸리는 대로 꾸려지는 꿀단지!

해피는 모든 이에게 꿀단지여야 한다.

누구든지 꿀단지는 애지중지하지 않는가.

주변을 애지중지하다보면 어느 새 행복이 가까이 와 있으니까.


언니의 감정을 이해해주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언니가 애지중지하는 꿀단지와 꿀단지 해피는 언니랑 사뭇 다르기 때문이다.

언니의 꿀단지는 늘 가까운 사물 및 사람들과의 정 나눔, 관계중심적 도리 등이다.

내 꿀단지는 내 중심의 일상사, 취미생활, 목표지향적인 나의 일, 내 관리 등이다.

언니 편에 서서 구태여 나를 자책하자면, 애완견 하나 기르지 못하는 내 해피는 살아 있지 않은 해피이다.

그러나 나도 남의 애완견은 예뻐할 줄 안다.

단지, 내 중심의 생활에서 챙겨야 할 게 하나쯤 더 있다는 건 힘든 일이기 때문에 애완견을 기르지 못할뿐이다.


해피는 죽었다.

언니의 애완견 해피가 죽었든 나의 일상사 해피가 죽었든
암튼, 해피는 죽은 게 분명하다.

어찌할 수 없지 않은가.
그러니 해피를 잃은 언니의 슬픔은 하루빨리 정리가 되고

그냥 그녀의 기억 속에 행복했던 해피와의 모습만 남기길 바라야지.

해피는 죽었다.

그러나 누구든 꾸리고 있는 꿀단지 해피만은 영원하길.


작가의 이전글 색깔 속에 숨은 세상 이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