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민혁 Sep 17. 2023

가설과 가정을 구분하는 것의 중요성

2023-09-17

어제 가설 검증 방법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인터넷을 통해 관련 자료를 찾으면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https://www.minwookim.kr/experiment-hypothesis-for-startups/


위 글을 참고해서 스타트업에게 필요한 실험 방법과 가설 검증이 무엇인지 생각해보았다.

그 중에서 우리 팀에서 실수하고 있던 몇가지 중에서 한가지를 이야기하려고 한다.


가설과 가정은 다릅니다

아래 예시는 위 글에서 나온 예시이다.


먼저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Hypothesis) - 반증 가능한 구체적인 진술  

예시 1: 광고 랜딩페이지를 기존의 A에서 B로 변경하면, 랜딩페이지가 A일 때보다 회원가입 전환율이 15% 이상 증가할 것이다

예시 2: 공급자를 20명 만나서 인터뷰를 했을 때, 10명 이상은 정보 부족에서 실질적인 문제를 느낀다고 이야기할 것이다.


그리고 가정은 다음과 같다.


가정(Assumptions) - 암묵적인 믿음  


예시 1: ‘우리 잠재 고객은 OOOO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예시 2: ‘OOOO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예시 3: ‘고객이 OOO로 전환하지 않고 이탈하는 이유는 OOOO일 것이다.’

예시 4: ‘잠재 고객에게 도달하는 마케팅 채널로는 OOO 채널이 효과적일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팀이 가설이라 생각했던, '온보딩, 오프보딩 등 반복되는 사내 프로세스가 HR 담당자나 매니저들에게 매우 부담스러운 일이었을 것이다. 이를 자동화할 수 있다면, 그들이 우리 제품을 사용할 것이다.'는 가설이 아니다.


이건 가정이다.


이걸 가설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가설로부터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이 고작 'MVP를 무턱대고 만들어서 일단 쓸만한 사람들에게 뿌려보자'가 된 것이다.


가정과 가설을 구분하는 것이 이렇게 중요하다.


가설 세워보기

오늘 나의 주요한 작업은 가설을 제대로 세우는 것이 될 것이다. 

위 글에서는 가설을 아래처럼 4개로 나누었다.


- 고객 가설: 우리의 타깃 고객은 어떤 사람들인지

- 문제 가설: 고객들은 어떤 문제를 가졌는지

- 시장 규모 가설: 이런 문제를 가진 고객의 규모(시장 규모)가 얼마나 큰지

- 솔루션 가설: 고객들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지


각자에 맞는 가설을 다시 정립하고, 이를 검증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 무엇인지 찾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가설 검증 설계의 중요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