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희자 Apr 29. 2024

행복도 스스로 찾아야 한다.

         

80대 언니가 있다. 전화를 하면 항상 힘이 없는 목소리다. 행복한 일이 없다고 한다. 내가 생각하기에 언니는 그동안 고생만 했다. 이제는 고생스럽게 일을 안 해도 된다. 속 썩이는 남편이나 자식도 없다. 이제 그동안 누리지 못했던 행복을 누리며 살면 된다. 그런데 항상 “행복할 게 뭐가 있느냐?”라고 한다.      

언니는 건강 상태도 그런대로 좋다. 경제적인 면도 넉넉한 상태는 아니지만 먹고사는데 전혀 지장이 없을 정도이다. 언니는 젊었을 때 남편의 벌이로 아이들 교육시키는데 충족하지 않았다. 그래서 항상 일을 했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한 것이 아니라 돈을 벌기 위한 일을 했다. 그런데 지금은 돈을 벌기 위해 일을 안 해도 좋은 상황이다. 특별히 아픈 곳도 없다. 

     

제3자인 내가 보기에 언니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면 지금이 훨씬 행복해야 한다. 그런데 장본인은 행복하지 않다고 한다. 그렇다면 언니의 행복의 조건은 무엇일까? 언니는 ‘사는 재미도 없고, 왜 사는지 모르겠다.’라고 한다. 근처 복지관에 나가서 사람도 만나고, 재미난 프로그램에 참석해서 할 수 있는 것을 찾아보라고 해봤다. 돌아온 답은 “이 나이에 그런 것을 해서 뭐 하겠느냐?”라고 한다.      


언니는 그동안 힘이 들었어도 자신이 해왔던 일을 하면서 보람을 느낀 것 같다. 그런데 이제 와서는 그러한 보람을 줄 수 있는 일이 없기 때문인 듯하다. <미움받을 용기 2> 내용 중에는 “행복이란 그 자리에 머무는 채로는 향유할 수 없어. 걷기 시작한 길을 쉬지 않고 걷지 않으면 안 되네.”라고 했다.      

사람은 아무것도 안 하는 상태에서는 행복을 느낄 수 없다. 무엇이 되었든 생각하고 움직일 수 있는 동력이 있어야 한다. 즉 목표가 있어야 한다. 언니가 지금의 삶이 재미없고, 왜 사는지 모르겠다고 하는 것은 하고 싶은 일, 해야 할 일 등 목표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 언니의 일만이 아니다. 앞으로 우리는 100세 시대를 살아간다. 노후에 무엇을 하며 살 것인가 미리 준비해 놓지 않으면 우리 언니와 같은 상황이 벌어진다. 나이 들어서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미리 찾아내서 걷기 시작한 길을 쉬지 않고 걸을 수 있어야 노후가 행복할 수 있다. 언니가 조금 일찍 취미생활이라도 만들어 놓았다면 지금처럼 재미없는 일상을 보내고 있지 않을 것이다.     

억만장자들이 끊임없이 일을 하는 것은 행복하기 때문이다. 성공한 사람들이 더 많은 일을 한다. 그들이 일을 하는 것은 오직 돈을 벌기 위한 것이 아닌 행복하기 때문이다. 그냥 놀고먹으면 행복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을 우리 언니가 증명하고 있다. 어딘가를 향해 걸을 때 행복하다. 어디를 향해 걸어야 할지 망막할 때 우리는 행복을 느낄 수 없다.   

   

80살에도 한글을 배우고, 그림을 그리면서 행복하게 지내시는 분들도 있다. 우리 언니도 어느 날 너무 재미난 일을 찾아서 행복하다는 얘기를 하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 사는 게 재미없는 나날을 보낸다는 것은 참으로 안쓰럽다. 젊은 날의 고생을 충분히 보상받을 수 있는 노후가 되어야 한다. 누구에게는 100세 시대가 황금시대가 될 수 있고, 누군가에게는 외롭고 쓸쓸한 노후가 된다. 선택은 자신의 몫이다.

작가의 이전글 끝까지 가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