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반트 Dec 02. 2022

Littlest Pet Shop

@ DHX Media (현, WildBrain Studios)

(현재 WildBrain Studio)(현재 WildBrain Studio)

1. 계약기간이 끝나기 전에 이미 다음 쇼 계약을 마치고, 거기다가 다른 쇼들과 달리 긴 계약이었으니 기분이 어떠셨어요?

  아우 말해 뭐해요. 완전 다 가진 기분이었죠. 1년이 좀 넘는 시간 동안 애니메이션 일을 하면서 이 업계에선 계약이라는 굴레에선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았죠. 그러니 시즌 2개를 연달아하게 되어 1년 넘는 계약서에 사인을 했다는 것은 기쁘다를 떠나 1년간 고용 안정이라는 마음이 더 컸던 것 같아요. 렌트비, 공과금 등 아낄 수 없는 경비들을 적어도 이 기간 동안은 걱정 안 해도 된다는 뜻이잖아요? 하하하하... 현실이죠!


2. 비정규직이란 표현이 맞는지 모르겠네요. 매번 이런 식으로 고용에 대한 불안감이 있으면 일하시면서도 걱정일 것 같아요. 한국도 비정규직에 대한 이슈가 많은데 반트님 생각은 어떠세요?

실제 Flash에서 캐릭터 빌드 후 완성 화면 캡처

  네, 한국 고용 문화로 말하자면 비정규직/계약직이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이곳에서 살면서 Full time 혹은 Part time의 구인 내용이 대부분이고 가끔 다른 직종에서 Permanent라는 단어를 쓴 내용을 발견하기도 해요. 하지만 제가 지금까지 느낀 바로는 딱히 정규직/비정규직을 나눈다는 개념은 없는 문화 같아요. 특별한 사유로 해고(Fire/Lay-off)를 당하거나 스스로 사직(Quit) 하지 않으면 본인이 원하는 대로 일을 지속하는 것으로 보여요. 그렇게 머릿속으로 개념을 이해해도 일이 끊어지면 어떡하나 하는 생각은 사라지지 않는 것도 사실이에요. 다만 저의 경우는 좀 다르다고 말할 수 있을 것도 같아요. 어쩌면 당연하다 받아들이고 있는 사실이 노동에 대한 모순일 수 있겠다 싶기도 하고, 조용히 드물게 노동조합(Union)을 만들고자 하는 움직임도 있다는 것을 알지만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보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고용인과 피고용인 사이에 간극을 극복하기란 어디든 마찬가지구나 하는 허탈함을 느끼기도 해요. 좀 진지해졌네요. 여하튼 저는 성격 탓인지, 그냥 장점을 선택했어요. 고용불안을 10%로 작게 둔 뒤, 좋아하는 일에 참여하고, 쇼가 끝나고 나서 함께 일한 동료들과 방영되기 전 미리보기를 하고 작은 파티를 하면서 일했던 이야기를 나누고, 마지막 크레디트에 제 이름이 올라가 있는 것을 확인할 때의 만족감 또한 큰 비율을 차지해서 괜찮아요. 그리고 더 큰 이유는 끝나는 계약과 다음 시작하는 계약 사이에 시간이 날 때는 1개월에서 4개월까지 한국에서의 긴 휴가를 보낼 수 있는 것은 더할 수 없는 큰 장점으로 여기다 보니 오히려 좋은 것도 사실이네요. 제 경우는 그냥 생각하기 나름이랄까요?


3. 운이 좋았다고 하셨지만 그래도 이제 나름 경력자가 되신 거죠?

Job Posting (구, 참고용)

그런가요? 물론 1년이 넘었으니 짧아도 경력이 생겼다고 할 수 있겠네요. 이때는 겨우 네 번째 쇼를 시작했으니 아직 멀었다고 생각했어요. 'Littlest Pet Shop' 시즌1/2 계약서에 사인하고서는 당분간 다음 일을 찾아야 한다는 불안감이 해소되었고, 끝나고 나면 "이제 나도 2년 이상의 경력이 생기는구나" 하고 흐뭇하게 생각하긴 했었어요. 아마 이때부터 Charater Builder라는 포지션에 자신감이 생기기 시작한 것 같네요. 그래서인지 돌이켜 보면 이 쇼 이후부터 마음의 안정감이 차츰 더해졌고 DHX Media(현, WildBrain Studio)라는 스튜디오에서 쭈~욱 일을 지속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은 맞아요. 많은 아티스트들이 일을 찾아서 다른 스튜디오를 옮기면서 일을 하는 반면에, 제 경우는 그렇지가 않았죠. 처음에는 다행스럽게 일이 계속 있어서 다음 쇼를 이곳에서 하긴 했지만, 나중에는 다른 스튜디오에 옮기려는 시도에 게을렀던 것도 사실이에요. 다른 포지션, 혹은 스튜디오를 옮기면서 Wage Rate(per week)를 올리는 협상을 하는 것이 보통의 경우 같은데, 저는 그런 것을 제대로 못하는 사람인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 그냥 안전한 방법을 택했던 것이죠. 가끔 "왜 나는 못할까?" 싶어도, 그렇지 못한 나 자신을 탓하고 싶지 않아 이내 잊어버려요.


4. 그렇군요. 그럼 나름 긍정적인 전환점이 된 'Littlest Pet Shop' 소개 좀 해주세요.

팀에서 친했던 Tom이 맥도널드의 키즈 이벤트용으로 받은 걸 주고 오타와로 가심

   Blythe Baxter라는 주인공 여자 아이가 복잡한 도시로 이사와, 우연히 1층에 있는 실수로 'Littlest Pet Shop'으로 내려가는 작은 화물 엘리베이터를 타다가 추락하는 사고가 생겨요. 그런데 그 후부터 애완동물들의 말을 들을 수 있고 대화가 가능하게 되죠. 하지만 펫 샵이 곧 문을 닫게 된다는 소식을 들은 애완동물들은 브라이스에게 도움을 청하면서 이들의 모험이 시작되는 이야기예요. 특별할 것 없는 스토리지만, 늘 그렇듯 TV 방영 애니메이션은 방영후 장난감 시장에서 훨씬 많은 이익을 추구한다고 생각해요. 이 쇼도 다를 바 없었어요. 맥도널드 이벤트 상품으로 나온 주인공 동물 캐릭터 피규어들이, 아직도 저의 TV 앞에 놓여 있어요. 물론 이런 인기는 애니메이션 방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야 가능한 일이긴 하죠. DHX Media에서 이미 "My Little Pony"로 두터운 팬층이 생길 정도로 성공을 거뒀기에 이 쇼도 어느 정도는 효과를 본 거라고 들었어요. 한국에서도 투니버스에서 '리틀펫 샵'으로 방영을 했다고 하네요. Netflix에서 모든 시즌을 볼 수도 있고 검색해보니 유튜브에서 영어 버전이지만 시즌1~4 풀버전 에피소드를 다 볼 수 있네요. (살짝궁 링크)


5. 1년 동안 일하시면서 특별히 기억에 남는 이야기가 있으시면 들려주세요.

Bartleby

  생각나는 것이 있어요. 요즘은 반려 동물들이 가족인 시대지만 그 전에는 '반려'라는 단어조차 쓰지 않았던 문화에서 나고 자라다 와서인지 캐나다에서 접한 반려 동물을 대하는 문화는 달라 보였어요. 심지어 스튜디오에 반려견과 함께 출근하는 모습은 그냥 흔한 보통의 일상이에요. 그리고 어찌나 훈련이 잘되어 있는지 아이들이 소리 내어 짓는 모습을 거의 본 적이 없어요. 각자가 함께한 반려견들이 견주 책상 밑에 아주 조용히 자리 잡고 앉아 있어요.

 Lando & Kai

제 자리 주위에도 3마리나 되는 아이들이 있었지만 일부러 보지 않는 이상 있는지 조차 까먹게 되더라고요. 점심시간이면 귀여움을 독차지하는 아이의 주위에 사람들이 모여 앉아 같이 놀기도 하고, 산책을 나갈 때면 저도 함께 동행하면서 즐기는 시간도 꽤나 좋았어요. 새 건물로 이사를 한 후에는 각 층에 적어도 5마리는 볼 수 있고, 특별한 이벤트가 있을 때는 늘 반려견들도 함께 참여하는 경우도 많아요. 저도 이렇게 이 문화를 배우고 물들다 보니 조금은 겁날 때도 있었던 아이들과의 대면이 이제는 전혀 어색하지 않고, 오히려 처음 보는 동료들이라도 반려견이 함께 있으면 다가가기가 훨씬 수월해지는 것도 알게 되었죠. 프로젝트도 Pet에 관한 이야기이고, 일하는 공간에서 리얼로 그들을 만나고 있는 것이라 왠지 저도 그들과 대화를 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상상을 해 볼 수도 있을 거 같네요. 애니메이션 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동물들과의 교감은 어쩌면 필수일지도 모르겠어요.



매거진의 이전글 Transformers: Rescue Bots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