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빌리언스 Apr 10. 2023

JP Morgan과 한국은행

현재 한국의 시중은행 시가배당률이 6-8% 정도됩니다. 최근 미국발 은행파산으로 금융위기로 관심이

쏠리자, 주가가 급락한 여진이 남아있습니다.​


그럼에도 선뜻 손이가지 않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정부의 규제입니다. 사실 한국의 은행은 공공기관의 느낌이 강합니다. 정부기관 금융위/금감원에서 쥐락펴락 하는 것이지요.​


그러니까 주주들 위해서 배당늘린다고 해도 NO

자사주 매입 및 소각하려고 해도 대답은 NO입니다.

부채 무너지지 않게 대손충당금 쌓으라는 겁니다.

그러나 이미 ROE, BIS 안정성 비율은 선진국 수준으로 맞춰 놓았습니다.

그 다음 원인으론 이자이익 비중이 너무 큽니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이 비율이 7:3 정도됩니다.

한마디로 수신과 여신의 이자장사인 겁니다.

비이자이익은 대출을 제외한 투자상품, 수수료 등일텐데 그만한 인력과 인프라가 안되있는게 현실입니다.

반대로 미국은행 JP Morgan Chase는 어떨까요.

은행이 수익을 만들어내고 계열사가 거드는 국내금융지주와 달리 포트폴리오가 잘 분산되있습니다.​


소비자금융 40%, 기업금융 40%, 상업은행 8%,

자산관리 13% 정도 됩니다. 최근 5년 이 비중이 크게 흔들리지않고 완고하게 유지중입니다.​


최근 지방은행 도산이 있었는데 과거처럼 부실대출이 아니라 자산관리를 못한게 원인이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예금자들이 대형은행들로 예금을 옮기면서 예상치 못한 이익을 얻었습니다.

추가로 미국은 규제가 약하기에 배당, 자사주 같은

주주환원책을 강하게 시행할 수 있어 배당수익률은 3%로 국내은행의 반정도이지만 반면 PER은 10으로 2배 가량 높습니다.

국내 은행들이 수익성장과 벨류에이션 및 배당면에선 분명 매력적인건 확실합니다. 다만 정부의 꼭두각시 인형놀이가 계속된다면 여전히 그 낮은 벨류로 겸손히 있을 겁니다. ​


주식에는 배당을 주는 성향을 볼 수 있는 배당성향이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향이 자리를 잡고 꾸준히 우상향하가나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태초부터 정부가 은행을 부렸던 성향이 있어서 바뀌긴 쉽지 않아보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GTX 신도시와 서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