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자연 Jul 19. 2023

조급함의 함정 #1

쉬운 단절은 빠른 고립을 불러오기 마련입니다



어둠이 깔린 수요일 8시. 사람과 차들이 몸을 누일 곳으로 가느라 정신없이 분주한 시간. 큰 창 너머엔 남산이 빼꼼 보이는 건물 안에 있어요. 열 개의 층 아래 펼쳐진 불빛 가득한 팔 차선 도로를 가만 본 적 있어요. 왼쪽에는 빨간빛, 오른쪽에는 하얀빛이 끝없이 이어지고 앞 차량의 속도에 맞추어 틈을 허용하지 않으려는 듯 조금씩 그러나 빠른 반응으로 나아가고 있어요. 그곳은 서울에서 경기도로 향하는 빨간색의 광역버스 정류장이 즐비한 곳이라 도로의 상황은 언제나 막막하고도 촘촘하지요. 지친 기색이 역력한 사람들은 개미처럼 긴 줄을 만들어 버스 앞 숫자를 응시하고 있어요.



빨강이면 '얼음'하고 일제히 멈추고 초록으로 바뀌면 그제야 ‘땡'하고는 움직이기 시작하는 도로의 풍경을 한동안 멍하니 바라봅니다. 당장 저 아래의 혼잡함 사이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안도의 숨을 내쉬어요.



그렇게 한참 도로를 주시하다 한 차량이 눈에 들어왔어요. 마치 벌에 쫓기는 곰처럼 추월을 계속 시도하고 있습니다. 어떤 사정인지는 알 수 없지만 '과연 저 차가 다른 차보다 얼마나 앞서갈 수 있을까' 하는 순간의 호기심이 발동했어요. 그래서 지켜보기로 합니다. 첫 번째 관문은 빈틈을 허용하지 않은 많은 차량입니다. 두 번째는 관문은 신호였어요. 초록색으로 바뀐 후로도 추월한 차량 수 만큼 나아가지 못해요. 앞서나가려는 수고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했어요. 오히려 가만히 한 길을 따라간 차량들이 금세 그 차량 옆을 지나가고 있어요.



분명 그 차량은 여러 차를 추월했어요. 보다 많은 차량을 제쳤으니 더 빨리, 더 멀리 가고 있다고 착각했을지 모릅니다. 추월한 만큼 그 도로 위에서 앞서 나가는 것은 아니었어요. 그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빠르게 가야 할 그만의 속사정이 있을 테니 이 차에 대한 이야기는 차치하고 이 시선은 자연스럽게 나, 사람들, 세상을 향해 옮겨갑니다.



속력을 올리고 내 앞에 있는 장애물을 통과하며 급히 가면 우리는 그만큼의 격차를 만들며 앞서나갈 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 그건 어쩌면 누군가 우리에게 주입시킨 답이며 우리는 명쾌한 그 답을 거리낌없이 받아들여 단단히 굳어진 오류가 아닐까요. 그 도로에서 우리를 더 빠른 속도로 내달리게 하기 위해서요. 무한 경쟁은 높은 성과를 올리기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로 여겨지니까요.



잠시 멈추어 무엇을 위하여 그렇게 급하게 앞서나가려 했는지 돌이켜 볼 필요가 있어요. 과연 그 혼잡하고 빽빽한 도로 위에서 마지막에 웃을 승자는 누구일까요. 적어도 조급한 마음으로 많은 차량을 제친 그 차량은 아닐 겁니다.  



흔히 성급한 사람은 일을 그르친다고 합니다. 성급함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안에는 어떠한 두려움이 웅크린 채로 자리 잡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에요. 알아차릴 수 없는 기저의 두려움에 싹이 트고 어느새 걷잡을 수 없는 정도의 울창한 강박이 되기 십상입니다. 무언가를 하고 있지 않거나, 눈에 보이는 성과가 없으면 금세 불안에 휩싸이고 말아요. 그런 상태에서는 너무나 쉽게 타자를 판단하며 심지어는 배척하는 지경에 이릅니다. 그 화살은 타인에서 시작해 자기 자신을 향하기 쉬워요.



그런 경험이 있지 않나요. 내게 조금이라도 피해를 주는 사람이 있다면 '저 사람은 참 별로야.'하고 성급하게 판단하고는 눈엣가시 같았던 그 사람이 내게 약간이라도 호의를 베푸는 날이 오면 속으로 괜히 머쓱해 했던 일. 혹은 주변의 누군가를 보며 '나는 왜 저렇게 하지 못할까?'하고 또 한 번 급히 스스로의 한계를 단정 지었던 일. 그 사람과 나는 분명히 다른 길을 다른 속도로 가고 있을 뿐인데 말이죠.



또 손절이라는 단어를 자주 마주합니다. 손절은 원래 주가가 하락할 것을 예상해 손해를 입더라도 매도하는 것을 의미하는 주식 용어이나 지금은 '절교'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어요. 말 그대로 서로의 교제를 끊는 것이죠. 물론 지속적이고 일방적으로 나를 공격하는 사람이라면 단호히 끊어내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시간과 마음을 들이며 관계 유지를 위한 노력, 그 자체에 반감을 가지는 듯 해요. 그 사람의 입장에서 헤아려보는 일은 별 볼일 없는 일 혹은 손해라고 판단해 빠르게 손절합니다. 그 손절은 불가피했다며 위로해요. 그 사람은 나와 맞지 않았고,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이라고요. 가벼운 손절은 우리를 쉽게 단절시켜요. 쉬운 단절은 빠른 고립을 불러오기 마련입니다.



가볍게 손절한 그 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한 순간이 오지 않을 거라 확신할 수 없어요. 그때 우리는 누구에게 손 내밀 수 있을까요. 어딘가 어색한 몸짓으로 쭈뼛거리며 피치 못했던 그때의 사정을 상기된 낯으로 전하는 때가 오지 않을 거라 확신하나요.



비록 당장은 아닐지라도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 그러한 일이 결코 없을거라 장담할 수 있을까요. 내가 쉽게 손절해버린 그 사람은 나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나쁘기만 한 사람이고, 그 사건은 나와는 연결될 수 없는 일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단 한 개라도 존재할까요.



언젠가 만난 셰익스피어의 문장을 기억합니다.

아무에게도 자비를 베풀지 않고 있다가 정작 당신이 필요할 때는 어떻게 자비를 바랄 것인가.







작가의 이전글 미적지근함으로 위로하는 유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