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꿈슬 Aug 20. 2020

오늘 꿈에는 나와주실래요

내가 경험한 가장 따뜻한 사랑

독일 본의 벚꽃 거리


4월이면 동네의 분홍색이 많아졌다. 가파른 골목길 끝자락에, 늘 문을 활짝 열어놓고 손님을 기다리던 동네 슈퍼 옆에, 노란 스쿨버스가 정차하던 넓은 주차장에는 벚꽃나무가 있었다. 마을 가장 윗골목에 있는 우리집까지 걸어가는 길이 4월에는 싫지 않았다. 나는 퀘스트를 깨는 것마냥, 동네에 핀 벚꽃들을 하나씩 구경하면서 올라갔다. 25살의 내가 벚꽃을 가장 좋아하고, 4월이면 매일 설레는 이유는 아마 이 추억때문일 거다.  


그렇게 분홍색을 즐기다보면, 늘 방울이와 할아버지를 만났다. 왜 아직도 안 오냐며 내가 걱정이 된 할아버지는 늘 나를 찾으러 내려오셨다. 마냥 신나하는 손녀를 보고 할아버지는 늘 웃으셨다. 한 손으로는 할아버지의 투박한 손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방울이의 목줄을 잡으며 두런두런 집으로 향할 때면, 좋은 일만 가득할 것 같았다.


어느 동네에서 마주친 벚꽃길


이게 첫 기억이다. 할아버지를 떠올렸을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추억. 그 다음으로 생각나는 일은 할아버지가 용돈을 주시던 오후다. 할아버지는 종종 오빠 몰래 나한테만 용돈을 주셨다. 동네 초입에 있던 작은 피아노 학원에 가기 전, 할아버지는 나를 몰래 부르셨다. 그리고 1000원, 3000원, 가끔은 만 원. 나는 생각했다. '오빠한테 들키면 안되는데.' '어떻게 안 잃어버리지?'


나는 지폐를 접어 양말 뒷쪽에 넣었다. 지갑은 없고, 주머니에 넣으면 잃어버릴 것 같으니 양말 안에 넣는 게 최선의 선택이라고 생각했다. 그런 나를 보며 할아버지는 한 번도 비웃지 않으셨다. 오히려 머리를 꾹 눌러주시며, 잘 다녀오라고 인사했다. 머리를 살살 쓰다듬는 것도 아니고, 할아버지는 늘 머리를 누르셨다. 나는 그게 좋았다.




그 다음 생각나는 기억은 좋은 기억은 아니다. 할아버지에게 못된 말을 했기 때문이다. 거실에서 대자로 누워 TV를 보고 있던 내게, 할아버지는 대문 좀 닫고 오라고 하셨다. 거실에서 대문까지는 15초도 안 걸리는 거리였다. 그런데 그 날따라 나는 귀찮았던건지, 그말을 모른 체 했다. 할아버지는 다시 말했다. "대문 좀 닫고 와라" 나는 세차게 일어나고, 혼자 중얼거리며 슬리퍼를 신었다.


"할아버지는 손이 없어, 발이 없어?"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나는 이 때로 돌아가고 싶다. 어린 나에게 묻고 싶은 심정이다. 대체 왜 그랬어? 엄마가 나를 혼내면, 나를 품에 안아주며 왜 애를 혼내냐고 도리어 엄마를 나무랐던 할아버지다. 그런 할아버지도 이 때는 나를 혼내셨다. 혼날 만했다.       




기억은 시간이 지날수록 미화되고, 포장된다고 한다. 하지만 할아버지와의 기억은 조금 다르다. 좋았던 기억은 그 때도 소중했고, 행복했다. 나쁜 기억은 미화되지 않고, 점점 선명해진다. 그래서 할아버지를 떠올리면, 그리움, 행복 그리고 죄책감이 동시에 몰아친다. 갑자기 이 글을 쓴 이유는 그냥 할아버지가 보고싶어져서다. 개요도, 퇴고도 없이 갑자기 할아버지가 보고싶어서 줄줄 써내려간 글이다.


할아버지는 엄마 꿈에도 한 번밖에 안 찾아왔다. 많은 손녀,손자들 중에서 나를 제일 좋아하셨는데, 그 때 화를 낸게 아직도 서운하신가보다. 할아버지는 10년이 넘도록 내 꿈에는 한 번도 안 오셨다. 오늘이 아니더라도 할아버지가 꿈에 찾아와줬으면 좋겠다. 할아버지가 보고싶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