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리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무비부비 Nov 05. 2020

<내가 죽던 날> 살기위해 죽어야 했던 한 소녀

영화 <내가 죽던 날> 리뷰

<내가 죽던 날> 스틸

벼랑 끝에 선 한 소녀가 있다. 아무것도 몰랐던 그 소녀는 자신 아버지의 잘못을 스스로 밝혀냈다. 그리고 고립된 삶을 살아야하는 운명이 됐다. 


외딴 섬, 혼자가 된 소녀는 세진이다. 아무것도 모른채 현실을 받으 들여야 하는 소녀는 너무 어렸고 너무 여렸다. 그러던 태풍이 몰아치던 어느날 밤, 유서 한 장을 남기고 외딴 섬 절벽 끝으로 사라졌다.

세진이 실종된 후 사망으로 수사를 종결하라는 지시를 받은 현수(김혜수)는 세진이 왠지 낯설지 않다. 자신의 잘못이 아닌, 아무것도 모른 채 인생이 잘못된 현수 자신의 처지와 세진이 겹쳐보였다. 


모두가 세진의 실종 사건을 빠르게 사망 처리하고 싶어 안달난 모습도 현수는 불편하기만 했다. 왜 그 누구도 세진의 선택에 의문을 품지 않았던 것일까라는 의구심이 커져갔다.

영화 <내가 죽던 날>은 역설적인 의미가 담긴 제목이다. 내가 죽던 날, 내가 다시 태어난 날이기도 했고, 살기 위해 스스로를 죽음으로 몰아 넣어야 하는, 소외된, 외면 당한 사람들의 이야기라고도 이해가 된다. 사서는 복잡하지 않다. 한 소녀가 실종된 후 이야기는 시작되고, 소녀의 사연이 궁금한 한 형사가 사건의 진실을 들여다보는 이야기다.


영화는 미스터리한 분위기를 풍기지만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는 아니다. 극의 진행 속도도 다소 느리다. 아무것도 모르는 현수가 세진의 삶을 들여다 보고, 관객들 역시 세진의 사연에 궁금증을 품게 만들기에는 적당한 속도이나 영화 속 인물들에 공감하지 못하고 몰입하지 못한다면 다소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내가 죽던 날> 스틸

표면적인 스토리인 외딴 섬, 절벽 끝에 자신을 내던진 한 소녀와 그 소녀의 이야기에 궁금증을 품한 한 형사의 이야기는 특별한 상황인듯 보이지만, <내가 죽던 날>은 외면을 당해본 경험이 있었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을 느낄 수 있는 보편적인 정서를 지닌 작품이다. 


그만큼 영화에, 현수에, 세진에, 그리고 또 다른 미스터리한 인물 순천댁(이정은)에 몰입하기 어렵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화의 결말은 중반부부터 예상되는데, 뻔한 이 결말이 묵직하고 뭉클하게 느껴지는 이유도 누구나 느낄 수 있는 보편적인 정서라 가능했는지도 모른다.


<내가 죽던 날> 스틸

영화의 백미는 김혜수와 이정은의 연기다. 특히 형사 현수를 연기한 김혜수와 순천댁을 연기한 이정은은 연기 중 서로를 바라보는 장면에서 눈물이 났다고 밝힌 바 있다. 해당 장면은 관객들의 눈가 역시 적시게 하기 충분하다. 많은 대화가 있는 것도 아니고, 특별하게 감정이 터지는 장면도 아니지만, 뭉클해지는 말로 표현하기 힘든 감정이 올라온다.(해당 장면은 영화 말미에 등장한다)


<내가 죽던 날>은 대단한 재미를 품은 작품은 아니다. 스릴이나 긴장감이 넘치는 추리물도 물론 아니다. 하지만 영화 속 인물들의 감정에 몰입한다면 묵직한 감동과 영화가 끝난 뒤 잔잔한 여운을 느끼기 충분하다.




iuzzib@naver.com (오타 및 기사 제보)

※저작권자 ⓒ무비부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https://movie-boobi.tistory.com





매거진의 이전글 <도굴> 딱 예상한 재미와 뻔한 캐릭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