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Top 에이전시 출신 풀스텍 개발자 인터뷰
인터뷰이인 권**대표는 해외 지사를 보유한 국내 top 에이전시를 시작으로 국내top3커머스의 경영전략팀에서 신사업과 개발 총괄을 담당했습니다. 권**대표는 현재 캐스팅엔의 전문 파트너사로 활동 중이며, 고객에게 한결 완성도 높은 IT아웃소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각도로 활동중입니다. 해당 글은 본인의 의사에 따라 실명이 노출되지 않고 게시됨을 이해 바랍니다.
제가 아는 몇 곳의 IT 아웃소싱 플랫폼들을 살펴보면 어떤 의뢰들은 "0"이 하나 빠진 게 아닌가 싶을 만큼 예산과 프로젝트 가능성이 언 매칭 되는 앱이나 웹 개발이 많이 보여요. 이 경우의 IT 아웃소싱이 잘 끝나는 케이스는 보통 2가지에요
권**대표
하나는, 에이전시가 설득되는 제안으로 실제 계약까지 하고 나서 프로젝트 시작에 앞서 고객과 중간 접점을 합의하여 과업을 진행하는 경우에요. 애초 고객이나 에이전시나 서로 원하는 게 다르거나 이해도가 달라 분쟁요소를 안고 시작하는 과업이 그만큼 많아요. 이렇다 보니 서로 어느 정도 협의해서 원만하게 끝내려고 하는 편이에요. 보통은 나름의 입장과 기업의 이미지를 고려해서 원만하게 해결하는 편이라고 봐야죠.
다른 하나는, 고객의 경우 정해진 프로젝트 일정이 있어서 (결과물을 산출해야 하는 정해진 시기) 어쩔 수 없이 '끝냅시다' 하고 끝내는 경우에요. 애초 서로 하기 계약 하고 진행했던 과업에서 실제 개발과 구현이 완료된 정도에 따라 프로젝트 금액을 일부 DC 한 후 적정선에서 끝내는 경우죠. 하지만, 민ㅁ감한 프로젝트의 경우, 어쩔 수 없이 분쟁까지 가서야 끝나는 경우도 있어요.
소위 라떼시절의 대기업 프로젝트는 기업에서 정한 비전문 PM이 있었어요
모든 기업이 개발이나 프로젝트 전문인력을 갖추는 게 어렵다는 걸 이해합니다. 그런데도 좋지 않은 예를 들자면, 보통은 본인 일이 아니기 때문에 사고만 안나면 되는 경우가 많았고, 더욱이 해당 프로젝트를 모르는 사람들이 가장 연관성이 많다는 이유로 PM이 되어 사사건건 딴지를 걸거나 아예 방관하거나 둘 중 하나인 경우에 힘들었죠.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큰 프로젝트일수록 오히려 사고를 수습하는 게 더 쉽다는 인식이 팽배한 편이었어요. 왜냐하면, 모호한 프로젝트 완성도를 따지고 해결하느니 오히려 사고가 나면 무얼 하고 어떻게 대처하면 된다는 기업 입장에서의 매뉴얼이 명확해서 그걸 안전장치 삼는 경우가 많았어요.
지금 캐스팅엔 뿐만 아니라 유사한 다른 IT소싱 플랫폼들은, 목표금액이 있는데 실제 고객이 원하는 과업 범위로만 보면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구현이 가능한 예산보다 낮은 것들이많아요. 하지만, 몇 가지만 명확하면, 실제 개발 비용이 훨씬 낮아질 수도 높아질 수도 있는 게 개발 외주란 걸 나름 전문가라는 분들은 알겁니다.
예를 들면, IT 프로젝트를 의뢰할 때는 3가지 자가점검이 꼭 필요해요.
이 개발이나 프로젝트 결과물은 누구를 위한걸까? (고객관점)
- 실제 사용하는 사람(고객)
- 실제 관리하는 사람(관리자)
- 직간접적으로 사이트를 보는 관계자 (이해관계자)
어떤 결과가 필요해서 이 개발을 시작하는 걸까? (목적 관점)
그럼, 언제까지 하면 될까? (필요한 시점과 물리적인 비용 관점)
위 3가지가 명확한 경우의 고객이라면, 나머지는 에이전시와의 상담과 Q&A를 통해서 세부적인 과업을 비교적 빠르게 촘촘히 채워서 견적과 예상되는 결과물과 일정을 제시 받을 수 있어요.
일반적인 경우에 고객들이 에이전시로부터 받게 되는 질문은 다음과 같아요.
1. 이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요즈음 트렌드는 이런데요. 어떤 걸 선호하세요.
2. 이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이런 개발 환경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데 개발 환경에 따라서 각각의 결과물은 이런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어떤 걸 선택하시겠어요.
3. 고객이 생각하는걸 만들려면 실제는 이 정도 기간에 이 정도 예산이 필요 할 수 있는데, 반드시 지켜야 하거나 개발 범위에서 덜 고려 될 요소들이 있으세요.
물론, 이 지점에서 고객과 에이전시의 긴밀한 협의가 필요해요. 자세한 설명과 예시는 필수고요.
똑똑한 에이전시와 고객이라면 이 지점에서 다음과 같은 교집합을 만드는 편이에요. 처음 개발을 이렇게 진행하는 건 다소 무리일 수 있으니 초기에는 비교적 가볍게 구축하면서 실제, 추가 요소를 리스팅하면서 추가 개발을 고려하는 거로 말이지요. 물론 이 과정에서 어떠한 경우도 고객의 합의와 동의가 필요함은 당연하고요.
대다수 플랫폼이 기간과 예산을 정해놓고 업체를 찾는 걸 이해는 해요
하지만, IT업계에서 개발부터 PM까지 올인원 경험을 가진 저로서는 건조하게 말씀드리는 편이에요. 제가 볼 때는 이 기간과 예산으로는 이 정도까지만 만들 수 있다고 말이죠. 물론 이럴 경우, 고객의 반응은 반반이에요. ^^ 그래서 저 역시 마음이 가는 프로젝트는 고객께 정중히 말씀드려요. 프로젝트를 쪼개서 해 보시는 건 어떻겠느냐고요. 쪼갠다는 건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불명확한 과업을 과감히 거두고 본질에 충실한 과업 위주로 제안을 하는 경우에요.
시대 흐름으로는 플랫폼 방식의 IT 아웃소싱 의뢰가 대세가 될 건 불 보듯 뻔한 일 이에요
그래서, 제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IT 아웃소싱 플랫폼을 몇 가지로 정리 해 보았어요.
1. 플랫폼에서 고객과의 표준계약서가 제공되어야 해요. 에이전시가 계약을 한다는 건 솔직히 해당 과업의 책임 범위가 불분명해질뿐더러, 혹은 플랫폼의 역할이 가벼워지는 측면도 있고요. 더우기 비교적 빠르고 긱(geek)한 에이전시는 이런 행정 업무가 번거로워요.
2. 프로젝트 진행 시 보통은 개발 단계를 나누는 게 좋아요. 솔직히 정해진 일정에 약속한 결과물만 나오거나 진행되면 문제가 없거든요.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 않죠. 바로 이 지점에서 사고가 나거나 문제가 되거나 일정이 지연돼요. 기업 입장에서는 다 돈이잖아요. 그래서 플랫폼에서는 개발업체들이 애초 고객과 약속한 일정에 맞춰 개발이 진행되는 현황을 알려주어야 해요. 플랫폼으로부터 애초 계약된 알람이나 노티스를 받고 에이전시가 프로젝트 진척 정도와 개발 결과물을 등록할 수 있어야 해요. 물론 고객에게도 알람이 전달되고요. 그럼 고객은 그걸 보고 중간 중간 확인만 하면 되는거죠. 결과적으로는 이걸 서로에게 맡기면 사고가 난다는 게 가장 중요해요. 그런 점에서는 비교적 캐스팅엔이 고객과 파트너 사이의 과업 매니지먼트가 괜찮은 편이에요.
3. 이 정도 플랫폼이라면, 솔직히 개발전문업체가 고객과 직접 계약 안 할 거에요. 아마 고객이 직접 계약하자고 해도, 저는 캐스팅엔에 의뢰해 주세요. 라고 할 것 같아요.
"캐스팅엔에 의뢰하신 고객님들을 만나보면 대표님들도 참 많으세요. 그리고 일반화 할 수는 없지만, 제가 만나본 분들은 다음과 같은 경우가 많았어요."
1. 생각보다 과업이나 개발 영역에 대해 잘 모르세요.
2. 예전 개발 회사가 망해서 아예 새로 만드는 상황이 꽤 있었어요.
3. 더욱이 개발 지식이 없어서 챙길 게 많은데 개발팀도 없고 하다보니 현실적으로 어려워들 하세요.
근래 캐스팅엔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 중에 기억에 남는 의뢰가 있어요.
의뢰자가 국제학교였어요. 아시는 것처럼 국제 학교라면, 외국인 자녀도 제법 있어서 부모가 외국인인 경우가 많거든요. 그런데, 이걸 국내 솔루션으로 구축할 경우 아주 난처한 문제가 있어요. 바로 결제에요.
아시겠지만 대다수 쇼핑몰이나 결제기능이 탑재된 사이트에서는 고객으로부터 결제를 받기 위해 PG사와 계약을 하게 되요. 보통은 실물을 거래할 경우, 카드사의 결제 승인이 순조롭지만 비실물 거래(재화가 아닌 용역, 기간제 서비스, 콘텐츠 등)의 경우 리스크가 높아 수수료 인상이나 보증보험 가입을 통해서만 PG를 가입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요.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판단이 되면 가입이 불가능하기도 하고요.
즉, PG가맹 자체가 안될 수 있거든요. 그럼 결제를 못 받으니까요.그래서, 해당 고객이 우리나라 솔루션을 이용해서 사이트를 만들게 되면 외국인 부모로부터 결제가 안 될게 뻔했어요. 그래서 고객과 통화해서 이 부분을 설명하고 외국 솔루션으로 구축을 해드렸어요.
제가 고객 만족 차원에서 가장 고려하는건 이런 부분이에요
1. 개발을 하는데 고객이 예산을 얼만큼 쓸수 있을까?
2. 이 결과물이 완성되면, 고객 입장에서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을꺼라는 확신을 드리려고 해요.
3. 어떤 경우는 구축시 이 정도 돈을 쓰면 부수적인 유지비가 줄어드는 걸 강조하기도 해요
4. 결국 구축을 통해 더 돈을 벌어오거나 나가는 돈을 줄여줄 수 있어야 해요.
솔직히, 고객의 직급이 누구든 간에 크게 상관은 없어요. 대표면 대표대로, 실무자면 실무자대로 설득할 수 있는 논리를 드리면 되거든요. 그럼 견적 협상도 단순해져요.
우리가 치과에 가서 실은 무얼로, 바늘은 무얼로, 주사약은 무얼로 해달라고 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제가 전문가인데, 고객분들이 시시콜콜 말씀하시면 어떠시겠어요.
IT 프로젝트라는게 사실 기업 입장에서는 할 수 밖에 없지만, 여간 골치가 아프죠.
얼마가 들지 바로 알기도 어렵고요. 결국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기업 입장에서
1. 불편함을 해결하려고 만드는 건지
2. 지금 무얼 먼저 해결하고 싶은지?
3. 왜 만드는지? 가 명확하면 과업이 단순하고 명확해져요.
이런, 기본적인 생리를 모르고 진행하셨던 분들은 희한하게 다시 연락이 오세요. 다들 불필요하고 비싼 수업료를 내시는 거죠. 많은 기업과 실무자들이 제대로 된 IT 아웃소싱 전문업체를 만나서, 목적한 개발을 하면 좋겠어요. 물론 저도 더 열심히 도와드려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