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딤 피얼먼 감독, 시사회 후기
독일의 영화감독이자 저명한 각본가 볼프강 콜하세의 실화 기반 단편을 원작으로 하는 <페르시아어 수업>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책 한 권으로 페르시아인 인척 거짓말을 시작한 ‘질'이 페르시아어를 배우려던 독일군 장교 ‘코흐'에게 가짜 페르시아어를 가르치며 일어나는 일을 담은 영화이다.
우연히 얻게 된 책의 주인 ‘레자 준'이라는 이름으로 페르시아인 행세를 하게 된 ‘질'은 목표가 그곳에서 살아남기인지 도망치기인지도 모를 정도로 하루하루 절박하고 위태로운 하루하루를 보내게 된다. 그런 주인공을 중심으로 문자(또는 언어)를 통해 만들어지는 관계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해 보겠다.
(레자와 질은 동일 인물이지만 그 경우가 표면적인 경우 레자, 심층적일 경우 질로 표기)
첫 번째, 언어를 가르치는 레자와 코흐의 관계(표면적)
이 관계는 가장 표면적이며 모든 관계의 계기가 되는 경우이다. 코흐는 레자에게 매일매일 페르시아어를 조금씩 알려달라고 하고 레자는 그로 인해 매일 주방 일을 마치고 코흐의 업무실로 찾아간다.
두 번째, 둘만의 언어를 갖게된 레자(질)과 코흐의 관계(심층적)
이 경우 위와 같은 것 같지만 조금 더 심층적인 형태의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코흐의 입장에서는 언어를 가르쳐주는 이가 동일한 페르시아인 ‘레자'처럼 보이지만 ‘레자'를 만들어내기 위한 ‘질'과의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위에서 단순히 언어를 가르치는 데에만 국한되었다면, 이 경우인 질과 코흐의 관계는 둘만의 주고받는 언어가 생겼을 때 생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도망가는 유대인들 틈에서 코흐가 레자에게 배운 언어로 외칠 때, 그곳은 많은 사람들이 있는 곳이 아니라 레자와 코흐 둘만 존재하는 공간이 된다. 둘만의 언어를 갖는다는 것은 단순히 보편적인(안면있는) 관계 이상으로 특수한 관계를 구축했다는 의미다. 질이 만든 언어가 문화를 가지고 사고(思考)하는 방식까지 구현했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둘만의 언어로 소통할 때 서로로 인해 변화했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질은 상황으로 인해 코흐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언어를 만들어낸다. 코흐 또한 초반에 무뚝뚝하고 자비가 없으며 정석을 고집하는 성격으로 보여진다. 자신에게 필요한 사람에게는 잘대해주는 것이 코흐의 자신만의 룰이었을수도 있고, 유대인이 아닌 페르시아인이기에 룰을 어기지 않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많이 사람들의 의심이 들리는 순간에도 자신의 의지를 굽히지 않고 레자에게 가는 것은 이전의 모습과 조금 다르게 보여진다.
다시 말해, 코흐와 레자는 하나의 관계를 맺는 듯하지만 실은 언어를 가르치는 레자와 질이라는 사람과 관계를 생성했다고 볼 수 있다.
세 번째, 수감자들과 질의 관계
수감자들의 이름을 알 수 있게 된 질은 수감자들의 이름에 빗대어 가짜 페르시아어를 만들어낸다. 수감자과 질의 관계에서 이름들을 소통의 도구로 이용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직접 이름을 부르고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가 형성되며 하나의 관계로 볼 수 있다. 주방과 명단 정리 일을 맡게 된 레자는 배식을 할 때 마주하는 수감자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본인을 위해 읊지만 그들의 이름을 부르는 셈이 된다. 그리고 질은 그들 한 명 한 명의 이름 덕분에 끝까지 페르시아인 행세를 할 수 있었고 그들은 질이 이름을 외운 덕분에 기억으로 남을 수 있게 된다. 3천 개의 이름은 3천 개의 거짓말이 되고 단어가 되어 역할을 다한 뒤 다시 3천 개의 이름으로 돌아간다.
질이 수용소 생활을 버티기에 조력자처럼 보일 수 있는 가해자인 코흐에게 자세한 서사를 부여하지 않은 것은 동의하나 페르시아어를 배우기 위한 이유로 동생이 나오지만 그 관계가 설득력을 가지기엔 조금 아쉬움이 남는다. 딱히 추측이 필요한 부분도 아니었고 알려준다고 크게 달라질 부분도 없었겠다는 의견이다. 두려움으로 둘러싸인 긴장감 속에 피어나는 유머와 관객이 보고싶어하는 걸 잘 알고 보여주는 감독에게 실화 기반의 묵직하게 잘 짜여진 스토리텔링은 이 전설 같은 이야기를 영화로써 전달하기에 절묘하게 맞아떨어진다.
*본 리뷰는 씨네랩 크리에이터로서 시사회 초청을 받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