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연 Jun 18. 2023

ADHD를 마주하다


성인 ADHD로 살아가며 겪는 일들 중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ADHD 자녀의 부모로 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처음부터 우리 부부가 ADHD라는 것을 알지도 못했다. 자녀를 셋이나 낳고 큰 아이가 초등학교에 갈 때까지도 우리는 꽤 오랜 세월을 모르는 채 살았다.


가장 먼저 진단을 받은 사람은 엄마인 나였다.

나를 시작으로 둘째 아들, 남편 그리고 막내가 ADHD 판정을 받고 치료를 시작했다.


그러한 현실이 갑작스럽지만 그리 놀랍지만도 않았다. 우리에게 있었던 수많은 시간들 속에서 모두 언급할 수 조차 없었던 해변의 모래알 같은 끝없고 까스름한 불편함들을 이제야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었기에 세상의 난제를 푼듯한 개운함마저 들었다.


다만, 내 삶에 드리워진 새로운 항로가 퍽 운이 없다는 생각이 가장 처음 스친 생각이라는 것은 꾸밈없이 인정하고 싶다.


  나의 ADHD를 병이 아닌 하나의 나로 받아들이고 싶어 ADHD가 나쁘고 부정적이지 않다고 자신 있게 말하면서도 이것이 내 자녀의 일이 되었을 때는 완치시키기 위해 내가 할 역할들을 찾기 분주했다. 어떻게든 치료하겠다는 집념까지 생겼으니 내가 얼마나 간사한 사람인지도 알아버린 셈이다.



새삼스럽게도 진단명을 들으니 더욱이 들쑥날쑥한 감정과 생각의 범위가 고정되지 않고 더욱 날뛰는 듯했다. 내 뇌는 겨우 멜론 한 통만 한 곳에 있으면서 무엇이든 한계 없이 넘나드는 것이 뇌 속에서 빅뱅이 일어나 우주를 창조한 것만 같았다. 늘 그렇게 선을 넘었지만 진단명을 육성으로 들은 이후로는 봉인해제의 주문이라도 든 것처럼 정신없이 쉴 줄 모르고 튀어댔다.



 세상의 물리 법칙을 벗어난 우주를 머리에 담고 산다는 표현은 내가 얼마나  ADHD가 스스로를 속일 만큼 버거웠던지를, 또 아이들의 상태를 덤덤한 척해나갔던 일도, 그러다 진정으로 덤덤하고 받아들인 줄 알았던 무수한 착각과 혼란함을 서투르게나마 내색할 수 있는 표현이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