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렷한 학파들
현명한 군주는 벼슬을 임용함에 있어 재상은 반드시 주부(지방 관청을 비유)에서 승진해 올라오고, 용맹스런 장수는 반드시 병졸의 대오에서 선발한다. 무릇 공을 세운 자가 반드시 상을 받게 된다면 작위와 봉록이 두터울수록 더욱 근면하게 되고, 벼슬을 옮기고 등급이 올라간다면 관직이 커질수록 더욱더 다스려진다. 무릇 작위와 봉록이 커지고 관직이 다스려지는 것이 왕 노릇을 하는 길이다.
한비자에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게 법에 따른 상벌의 행사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상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상을 주려면 공적이 있어야 줘야 한다는 말입니다. 아무리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있다 하더라도 그 사람이 공적이 없는데 갑자기 큰 상을 주면 안 됩니다.
현실에는 많은 필터들이 존재합니다. 외모, 명성, 성격 등등 사람마다 다른 필터를 가지고 누군가를 바라봅니다. 그런 주관적인 필터를 배제하고 모두가 고개를 끄덕이게 하려면 결국 공적이 중요합니다. 만약 공적이 없는 사람이 높은 관직에 올라간다면 그 사람은 명분이 없기에 다른 사람들이 쉽게 따르지 않을 것이고, 설사 그 사람이 능력이 있다 하더라도 그 능력을 쉽게 펼 수 없게 되겠죠. 현실의 이른바 낙하산들이 모두 다 능력이 없는 사람은 아닐 것입니다. 다만 명분 없이 낙하산을 타고 권세를 얻은 것이 1차적인 문제입니다.
공적이 있는 경우에 적절한 상을 주는 것이 '정의롭다'입니다. 모든 사람들이 주인의식을 가지고, 본인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게 하는 법. 그 시작은 결국 공정하게 상을 주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작은 회사가 커지고, 그 과정에서 갑자기 화려한 경력을 가진 몇몇이 고위직에 꽂히고, 이어서 망가지는 경우들을 주변에서 매우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전에 '망하는 징조'에서 말했듯이 그렇다고 해서 반드시 망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망하는 곳들에서는 그런 현상이 많이 보였다는 것입니다. 최소한 망하지 않고 꾸준히 성공하는 시스템을 만들려면 먼저 상이 공정해야 할 것입니다.
현명한 군주는 실질적인 일을 거론하고 쓸모없는 것을 버리며 인의를 말하지 않고 학자들의 말을 듣지 않는다.
군주는 철저하게 실질적인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이익이 없는 담론이나 법을 흐리는 인의 같은 것에는 관심을 두지 말고, 오로지 법과 술에만 신경을 써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 국가라는 시스템이 원활하게 돌아갑니다.
사실 굉장히 극단적이긴 합니다. 전에 몇 번이나 최고의 군주는 AI라는 말을 했는데요. 군주도 사람인데 어떻게 그렇게 기계적으로 할 수 있을까요. 하지만 한비자는 이론서이기에, 이렇게 극단적으로 명확하게 주장을 하는 것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그 이론이 현실에 적용될 때는 적당히 타협을 해서 상황에 맞게 변형이 될 테니까요. 아무도 시장경제가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서만 이뤄진다고 생각하지 않듯이요.
이 글을 끝으로 한비자에서 인상 깊은 구절 적는 것은 마무리를 합니다. 어디 공인받은 내용도 아니고, 그저 제가 읽으면서 인상 깊은 구절들을 발췌해서 적은 것뿐입니다. 해석도 역시나 제 마음대로고, 상당히 많은 부분을 빠뜨리기도 했습니다. 의견 중의 하나라고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읽으면서 조금은 씁쓸했습니다. 한비자가 기원전 200년대의 사람인데 그 후로 2천 년이 넘게 지났지만 그 시대의 문제가 여전히 현재와 동일하다는 사실이요. 아무래도 회사를 다니다 보니 국가보다는 회사에 대입해서 자꾸 생각하게 됐는데요. 여전히 한비자에서 말하는 법과 그에 따른 술은 불명확한 것 같습니다. 한비자에서 말하는 좋은 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실험이 여기저기서 더 활발하게 이뤄졌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