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남이 Nov 29. 2023

하남시푸드뱅크

사각지대를 비추는 빛

하남시사회복지협의회에서 12년째 위탁 운영 중인 하남시푸드뱅크는 경기도 내 83곳 중 단연 최고로 꼽힌다. 이례적으로 이용자의 욕구 조사를 하는가 하면 식생활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주거 환경 개선, 일자리 연계 등을 도우며 이용자의 삶 전반을 돌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진심 어린 노력을 알고 많은 기관과 기업에서 꾸준히 기부에 동참하고 있다. 올해는 감일 분점까지 개소해, 앞으로 더 많은 단체와 개인 기부자의 도움이 필요할 것이다.


<푸드뱅크 현황>

푸드뱅크(본점): 덕풍로81번길 18

미사 분점: 미사강변한강로220번길 43

감일 분점: 신우실로63번길 15, B동 1층

(공통) 이용 시간: 평일 9:00∼16:00/ 월 2회 이용 가능


<주요 사업>

하남시푸드뱅크: 식품 제조·유통기업 및 개인으로부터 식품 및 생활용품 등을 기부받아 저소득층에게 무상 제공

이동 푸드마켓: 관내 외곽 지역 및 임대(영구) 아파트에 거주하는 서비스 접근성이 현저히 낮은 푸드뱅크 이용자에게 거점 배분 또는 재가 서비스 실시


<이용자 및 기부자 현황>

개인 이용자 수 2,666명

기초 생활 보장 수급자 87.7%

차상위 계층 9%

저소득층 1.8%

기초 생활 수급 탈락자 0.9%

긴급 지원 대상자 0.5%

이용 단체 시설 수 43곳

등록 기부처 500곳

정기 기부처 200곳


<이용자 선호 기부 물품>

주식류(햇반, 라면, 국수 빵 등) 22.9%

신선식품(육류, 생선, 과일 등) 22.1%

부식류(김치, 국, 반찬류 등) 19.2%

식재류(쌀 외 곡류, 설탕, 소금 등) 14.7%

생활용품(샴푸, 비누, 세제류 등) 14.2%

간식류(음료수, 과자류 등) 6.9%



<기부자 혜택>

세제 혜택: 법인세법 시행령 제19조 및 소득세법 시행령 제55조에 의해 기부한 식품의 장부가액만큼 손비로 인정

폐기에 따른 비용 절감: 식품을 폐기할 경우 발생하는 폐기물 수수료, 인건비 등의 비용 절감 가능

각종 포상 추천: 꾸준히 식품을 기부할 경우, 활동 실적에 따라 나눔문화 확산에 기여한 공로로 포상 기회 부여


<이용 및 기부 문의>

전화: 031-793-6920 

팩스: 031-791-0024 

이메일: hanamfoodbank@daum.net


<Mini Interview>

김미선 사무국장

올해 푸드뱅크 감일 분점을 개소할 수 있어 그 어느 때보다 뿌듯했습니다. 많은 인구가 신도시로 유입되어 인구가 늘면 취약계층 인구도 자연히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감일 및 위례지구에서 푸드뱅크를 이용하는 300여 명도 대부분은 고령의 연로한 어르신이었죠. 교통이 불편해 타 지점을 이용하기 어려워 하셨는데 감일 분점 개소로 이러한 어려움이 크게 해소되었습니다. 하남시의 관심과 빠른 대응 덕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년 연말 특화 사업

*푸드뱅크 이용자 대상

행복한 겨울나기: 방한용품 지원 사업

푸드뱅크 보자기 모아드림 캠페인: 푸드뱅크 물품(계란) 포장(보자기) 기부 사업

사랑 한 올! 나눔 한 코!: 손뜨개 물품(핸드폰 가방) 나눔 사업 

종합 드림세트: 푸드뱅크 물품 지원 사업


매거진의 이전글 ‘하남이·방울이’는 일반 시민도 사용할 수 있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