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unner Oct 20. 2023

방법론 때문에 본질을 놓치지 말자

내 반성 주절주절

[개인적인 생각이 강한 글입니다.]


과거 나는 운동선수를 그만두고 2년 정도 트레이너 생활을 했다. 하지만 가끔 왜 열심히 한만큼 리텐션이 나오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여기서 리텐션이란 PT 재결제를 말한다. 집중했고 세심하게 신경 썼다. 코칭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다. 물론 개인들의 형편에 차이가 있을 수도 있지만 말이다.


...


돌이켜보면 세심하게 신경 쓴다고 했던 부분이 어떤 회원에게는 맞았을 수도 틀렸을 수도 있었던 것 같다.

내 트레이닝 스킬과는 별도로 '왜 이렇게 개인적인 것까지 묻지?'라고 싶었을 수도 있다. 회원은 운동만 알려주면 좋겠는데 말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결국 나는 '내가 맞아! 세심하게 신경 써주면 좋아할 거야!'라는 갇힌 생각을 했던 것 같다. 유연한 사고를 하기보다 말이다.


...


지금으로 돌아와서 프로덕트 매니저로서 문서를 멋지게 정리하고 작성하는 사람들을 보면 부러운 마음이 든다. 왜 나는 아무리 열심히 해도 저런 느낌이 안 나올까라고 말이다. 그리고 인터넷에는 수많은 방법론으로 고객을 추적하고 프로덕트 성과를 추적하는 방법, 프로덕트를 관리하는 방법을 적은 글을 본다. 마치 새로운 전자기기를 만지는 것처럼 놀랍고 신기하다. 저런 것들을 다 외우고 써먹나...? 하고 말이다.


...


프로덕트 매니저를 하면서 가끔 본질을 놓치는 것 같다.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은 어쨌거나 프로덕트가 잘 굴러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야 프로덕트가 성장한다. 근데 이렇게 방법론으로 열심히 작성해서 문서를 공유하거나 써먹으려고 할 때 구성원들 반응이 미적지근할 때가 있다. 실망스럽기는 하지만 문서가 아무리 훌륭해도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 공감하거나 보지 않으면 내 만족에 불과하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관리해야 할 문서만 더 늘어나는 것이 될 수 있다. 서비스는 계속 성장하면서 수정되기 때문이다. 현업자들은 알겠지만 문서 작업은 작성은 쉽지만 오탈자나 잘못된 부분을 찾는 것은 매우 힘들다.


...


필요할 때 방법론에 기대 적용하는 것은 좋다고 생각한다. 지름길을 알려주길 때문이다. 당연히 알고 있으면 좋다. 나도 기회가 될 때마다 공부하려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론 때문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그 시간에 도그푸딩을 하고 구성원들에게 어떤 식으로 문서를 공유하면 좋을지, 어떤 방법론을 함께 적용하면 좋을지 물어보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같이 일하는 사람에게 맞추는 것이 좋다고 하는 방법론 보다 나을 때가 있기 때문이다. 누구는 어떤 부분은 단순하게, 어떤 부분은 자세하게를 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10가지 문서보다 4가지 문서로 주는 것을 좋아할 수도 있다.


...


말이 이러저러하게 두서없었지만 결국 '유연한 생각' 흔히 말해 '센스'나 '감각'을 더 키워야 할 것 같다. 흔한 방법론도 모른 체 성공하는 서비스도 있고, 다 적용했지만 망하는 서비스도 많다.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고 사람이 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질에 집중해야 한다. 뭐 그래봤자 나도 방법론에 집착하고 성공한 서비스의 설화들을 따라가겠지만...




작가의 이전글 푸시 알림 기획의 디테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