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unner Mar 07. 2024

아이디어에서 비즈니스 서비스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서비스를 만들 때 우선, 아이디어 실현에만 목적을 두는 경우가 있다. 기획 에이전시에서 일을 할 때 10명 중 7명의 사람들은 자세한 계획 없이 단순 아이디어를 시각화하는 것에만 초점을 두었다. 하지만 많은 시간과 자원을 투자할 계획이라면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기획에 신경을 쓰는 게 좋다. 내 서비스가 어떤 가치를 줄 것인지, 어떤 채널을 통해 홍보할 것인지, 고객군은 어떻게 될 것인지 등 말이다. 여러 방법이 있지만, 그때 활용하면 좋은 프레임워크가 바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Business model canvas)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란? 그리고 작성 방법

비즈니스 모델을 시각화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전략적 관리 도구를 말한다. 회사의 가치 제안, 인프라, 고객 및 재무의 핵심 측면을 설명하는 9가지 기본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작성해야 하는 순서대로 살펴보자. 온라인 음악 교육 플랫폼을 만든다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Customer Segments(고객 세그먼트): 음악을 배우고 싶어 하는 사람들

 - 누가 우리의 서비스를 이용할지 작성해야 한다. 여기서 구성원들 모두가 같은 고객을 생각하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2. Value Propositions(가치 제안): 음악을 배우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맞춤형 학습 경험을 제공하여 음악 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 고객이 우리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어떤 가치를 가져갈 수 있는지 작성해야 한다.


3. Channels(채널): 웹사이트, 앱

 - 어떻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전달할 것인지 작성한다. 온라인 판매를 위해 웹이나 앱, 오프라인 판매를 목적으로 동네 편의점 등 다양한 방법들로 작성할 수 있다.


4. Customer Relationships(고객 관계): 실시간 온라인 멘토링 및 레벨 테스트 지원

 - 고객을 어떻게 유치할 것인지에 대해 작성한다.


5. Revenue Streams(수익원): 구독 기반 월/연간 회원비

 - 어떻게 수익을 낼 것인지 작성한다. 쉬워 보이지만, 생각보다 어려울 수 있는 부분이다.


6. Key Resources(핵심 자원): 음악 교육 전문 강사, 교육 인프라

 -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들을 작성한다. 음악 교육 플랫폼이므로 교육을 진행하는 강사의 수준은 매우 중요할 것이며, 교육과 관련된 여러 서비스들을 지원해야 한다.


7. Key Activities(주요 활동): 맞춤형 콘텐츠 개발, 온라인 강의 제공, 레벨 테스트 진행

 - 비즈니스 핵심 활동을 작성한다. 어떤 행위를 해서 서비스를 만들 것인지에 대하여 말이다. 여기는 기술, 재무, 인적 자원 등을 포함한다.


8. Key Partnership(핵심 파트너): 음악 교육 기관과 협력

 - 다른 기업이나 조직 혹은 개인과 협력을 통해 어떻게 가치를 창출할 것인지 작성한다. 여기서 음악 교육 기관과 협력해 지속적인 높은 교육 수준 확보나 좋은 강사 유치 등을 할 수 있다.


9. Cost Struture(비용 구조): 강사 수수료, 콘텐츠 제작 및 유지보수 비용

 -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모든 비용을 작성한다. 고정비, 가변비용, 초기 투자 비용 등


막연하게 고객부터 모으면 뭐든 돈이 되겠지, 어떻게든 서비스가 좋으면 성공하겠지라는 시대는 지난 거 같다. 여러 서비스들을 보고 몸으로 겪어보니, 작성해 보면 막연했던 서비스가 구체화되고, 정말 많은 노력을 투자해도 되는지 안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회사 대표나 서비스 기획자나 Product manager는 페르소나를 만드는 것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작성해 보면서 본인이 맡은 프로덕트를 머릿속에 확실히 넣는 것이 좋은 거 같다.


작가의 이전글 투자 실패로 인해 회사를 나오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