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특허법인BLT Dec 26. 2023

신약개발, 인공지능으로 구현하고 특허로 보호한다.


신약 개발은 어렵고 오래걸린다. 후보물질을 발굴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발굴된 후보물질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과정에서도 수많은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다른 질병에 비해서 그나마 유사 감염병 데이터가 많았던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경우에도 1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다. 기존의 방식으로는 약물의 구조를 바꾸고, 새로운 합성법을 통해 후보물질을 발굴하는데 역시나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인공지능을 통한 신약개발 기술(이하, AI신약 기술)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처리하는 와중에 가장 효율적인 패턴을 찾아낼 수 있기 때문에, 후보물질 발굴과정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과거부터 AI, 가상실험 등을 이용한 신약개발 연구는 논의되고 있었는데 최근에 와서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AI 기술 자체의 발전이다. 과거에는 AI 자체의 기술이 고도화되지 않아 AI모델을 신약개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트랜스포머의 등장 이후 생성형 AI가 구현되면서 바이오 분야에 인공지능을 적용하는 것이 전보다 수월해졌다.


둘째, 컴퓨팅 파워의 발전이다.  AI구현에 있어서는 강력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인공지능 학습 및 적용을 위한 GPU, AI반도체(NPU) 등의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인공지능을 신약개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문이 열리고 있는 것이다.  


셋째, 신약개발을 위한 데이터 축적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공지능 컴퓨터를 학습시키는 데이터는 이유식에 비유된다. 아이가 좋은 이유식을 먹고 건강하게 자라는 것처럼 인공지능 컴퓨터도 학습을 위해서 다량의 좋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아무리 좋은 AI 모델과 좋은 컴퓨터가 있더라고 학습을 위한 데이터가 없다면 인공지능 구현이 어렵다. AI신약개발을 위해서는 약물의 구조, 약물의 특성 및 이에 대응되는 의료 정보가 필요한데, 최근에야 이러한 정보가 축적되고 제도가 정비되어 신약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사용이 가능해졌고, 이를 통한 신약개발이 가능한 시기가 되었다.


한편, 기술의 특허를 통해 신약개발에 대한 투자를 유도하고, 독점적 지위를 통한 신약개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에 특허의 중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들은 자신들의 AI신약개발 노하우를 특허로 보호하여 기술의 해자(垓字) 구축하고 있으며, 유능한 스타트업들은 AI신약 아이디어를 특허로 보호하여 이를 기반으로 투자유치에 성공하거나 비싼값에 M&A되고 있다. 기업들은 AI신약 기술 개발 결과물을 담은 특허포트폴리오의 구축에 최선을 다해야 하며 이하에서는 신약개발 특허전략 두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신약 개발을 위한 AI모델 관련 기술이다. AI 모델의 구현 방법, AI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술은 AI를 이용한 신약 개발의 핵심 기술이기 때문에, 기술적 해자를 구축하기에 적합하다. 이세돌과 바둑대결로 유명한 ‘알파고’를 만든 딥마인드(Deepmind)라는 회사는 ‘단백질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기계 학습방법(Machine learning for determining protein structures)’라는 이름의 미국특허 US17/266,724를 이미 2019년에 출원하였는데, 이는 신약개발과정에서 인공지능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단백질 구조예측을 수행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에 관한 특허다. 머신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여러 계층의 모델을 만들고 이러한 모델에 기반하여 단백질의 구조 예측과 세분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특허를 출원한 것이다. 딥마인드 뿐만 아니라 머크(Merck), 화이자(Pfizer),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 노바티스(Novartis), 사노피(Sanofi) 등 수 많은 제약사들이 AI를 이용한 신약 개발에 관한 강력한 특허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데 열을 올리고 있다. 10년 이내로 이 분야의 특허분쟁이 증가할것으로 예상되며, 그 와중에 좋은 특허를 보유한 스타트업들을 중심으로 투자와 인수합병(M&A)이 일어날 것이다.



BLT 칼럼은 BLT 파트너변리사가 작성하며 매주 1회 뉴스레터를 통해 발행됩니다.

뉴스레터 구독신청


필자소개

엄정한 파트너 변리사는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를 졸업하고 2006년 43기 변리사 시험에 합격했습니다. 유철현 변리사와 함께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직접 투자하는 ‘엑설러레이터형’ 특허사무소인 ‘특허법인 BLT’를 창업하였습니다.  기업진단, 비즈니스모델, 투자유치, 사업전략, 아이디어 전략 등의 다양한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엄정한 변리사                                  : www.UHM.kr

엄정한의 생각마루 / facebook  : www.FB.com/thinkuhm


공동필자 소개
박기현 변리사는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를 졸업하고 2015년 52기 변리사 시험에 합격했습니다.
국내 대기업의 기술 권리화, 특허 분쟁 대응 및 컨설팅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율 주행, 영상 처리, 의료기기, 기계학습, 디스플레이, 단말 UI/UX, IP 포트폴리오 설계 및 IP 심판 소송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특허법인 BLT

누군가는 특허를 만들 때, BLT는 당신의 사업의 성공을 만들어 냅니다.  The Only Firm for Your Success!!

특허법인 비엘티   www.BLT.kr


#인공지능, #특허, #신약개발, #AI기술, #컴퓨팅파워, #경쟁력강화, #특허분쟁, #인수합병, #투자

작가의 이전글 2024년에 예고된 기술특례상장 제도의 변화에 대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