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천년하루 May 05. 2024

프롤로그

<창업성공 방송 사례 분석, '서민갑부'>

▶ 서민갑부를 주제로 선정한 이유

박사학위 과정을 컨설팅학으로 결정했다. 방송 사례를 통해 성공한 서민들은 어떤 과정을 거쳐 성공했는지 궁금했고 나중에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나서 소상공인 컨설팅을 위한 중요 자료로 활용하고 싶었다. 일일이 분석하는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보이기 시작했다. 방송 콘텐츠 범주에서 제작하다 보니 중요 내용이 개인 정보로 빠지고 중요 기술은 영업비밀에 해당하여 제한적으로 방송된다는 점이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선정하기 위한 자료로 부족한 부분이 많아 개인적 참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틀을 만들어 작성했다. 소상공인 창업성공을 위한 컨설팅 자료임을 밝힌다.   


▶ '서민갑부' 방송 프로그램

채널A에서 2014년 12월 20일 1회 방송을 시작으로 2023년 6월 10일 439회를 마지막으로 7년 6개월간 방영한 ‘서민갑부’는 말 그대로 서민이었던 주인공이 갑부가 된 모습을 담아내었다. 모두가 먹고살기 힘든 시대에 평범한 서민이 갑부가 될 수 있었던 비결과 스토리를 시청자들에게 전달해 희망을 주고자 시작한 방송 프로그램이다.



출연자 선정에는 4가지 기준이 있다.

첫째, 현업에 종사
둘째, 부모의 부를 물려받아 이룬 것이 아니라 자수성가
셋째, 인생의 고난을 슬기롭게 극복한 스토리 
넷째, 자산이 10억 원 이상이라는 기준을 설정하였으나 유동적으로 적용했다. 



방송 결정은 방송 3-4개월 전부터 시의성, 화제성 있는 아이템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자료 조사와 사전 취재 과정을 거쳐 2-3명의 예비 출연자를 선정 담당 PD와 작가가 현장 답사하며 출연자로부터 절대 협찬이나 금품을 제공받지 않는다는 원칙으로 취재 내용이 사실인지, 예비 출연자가 진정성이 있는지 파악한 뒤 최종적으로 주인공을 결정하고 방영한다. 


사례 분석은 채널A 서민갑부 홈페이지 방송정보에서 제공하는 출연자 정보와 갑부 비밀사전에서 게시한 정보를 1차 자료로 선정하였고, 채널A에서 제공하지 않은 자료에 대해서는 서민갑부 방송 다시 보기를 통해 일일이 체크하여 2차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으로 원재료에 추가해 분석한다.



채널A에서 제공하는 1차 자료를 살펴보면 1회부터 106회까지 출연자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고, 107회를 기점으로 출연자 정보를 제공하며, 갑부 비밀사전은 1회부터 345회까지 제시하고 있으나 125회, 300회, 301회, 315회, 337회, 338회, 339회, 342회, 343회, 344회가 누락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연속성을 위해 336회 이후 자료는 분석에 포함하지 않았고, 연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1회부터 336회에서 갑부 비밀사전 정보가 누락된 125회, 300회, 301회, 315회를 제외하였다. 다수의 주인공이 설정된 자료에 대해서는 최우선 출연자를 대표자로 선정하였고, 인적 자료 및 연매출, 자산 정보는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였다. 방송에서 제공하지 않은 자료에 대해서는 일절 가공하지 않고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방송성공 사례 분석 기초 자료를 <방송성공 사례 분석 자료 기초 양식>와 같은 방식으로 작성한다. 세부 내역은 방송차수, 방송일자, 관심 조회, 연매출, 자산, 업체, 업태, 종목, 소재지, 가족 참여, 주인공, 연락처, 성공 요인을 양식에 기재하고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코딩한다.


본 연구에서는 채널A에서 방송한 서민갑부의 성공 사례를 통해 창업을 원하거나 준비하고 있는 창업자가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 어떤 창업전략을 세워야 하는지 방송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