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느슨 Nov 16. 2022

할머니가 만든 모두의 정원

 아무리 내가 하고 싶어 하는 일이라도 용기와 행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으면 하기 어렵다. 오늘은 내가 거의 매일 하루에 2번씩 오가며 알게 된 한 '정원'에 대한 이야기다. 정원이라기 보다는 공공장소 혹은 공공의 화단에 가까웠던 그 곳이 우리 모두의 '정원'이 된 이유.


 터널 앞 도로와 아파트 단지 옆 후미진 골목 사잇길은 사람의 발길이 잘 닿지 않는 곳이었다. 사람들의 발길이 적다보니 자연스레 쓰레기가 쌓여갔다. 어디서 온 건지 알 수 없는 가구들과 살림 잔해들이 산 아래 둔턱에 쌓이고, 담배꽁초와 함께 악취가 났던 그런 길이었다. 하지만 그 주변을 오랜기간 용기내어 돌보고, 직접 하나하나 돌을 골라 화단을 정원으로 꾸미고, 화초를 사다 심은 분이 계셨다.



 코로나19가 관통하던 2020년, 3월이 아닌 두 어달이 지난 5월 말경에야 아이를 유치원을 보냈었다. 우리집에서 10여분 거리에 있는 곳에서 유치원 셔틀버스 태워야 하니, 버스를 타기는 애매하고(오히려 늦을 수 있고)그래서 산책삼아 늘 걸어가거나 뛰어가곤 하며 적응하던 시기. 하지만 그 쪽으로는 길을 잘 알지 못했다. 그래서 어디로 가는게 지름길일까 고민하던 차에 단지 옆 산책로가 평지고 걷기 좋아 대롯가 인도길보다는 조용한 산책로를 택해 가기로 했다. 거의 셔틀버스 타는 곳에 다다를 때면 이상하게도 그 길이 다른 곳과는 좀 다르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예를들면 산책로 나무주변을 돌무더기들로 동그랗게 단을 만들어두었거나, 떨어진 솔방울을 그 안에 가지런히 모아둔 모양새나 중간중간 야생화가 아닌 잘 가꿔진 화초들 하며..한 눈에 봐도 누군가의 손길이 닿아 만들어진 곳이라는 걸 말이다. 

 그 때부터 호기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누가 이런 일을 한 걸까.



 그날도 역시 이 길을 지나며, 누가 이렇게 잘 가꾼거지? 아, 그래 공공근로 하시는 분들이 이렇게 하셨겠다. 아니, 근데 그러기에는 아기자기함이 곳곳에 묻어나는걸??


 그러던 중, 길 끝에 혼자 열심히 호미질을 하고 계신 할머니가 보였다. 그리고 그 다음날 아침에도 보였다. 그래서 용기를 내어 여쭈었다. 그게 벌써 2년전 일이다.




 "와 할머니, 혹시 여기 할머니가 가꾸시는 거에요? 다니면서 넘 좋고 예뻐서요."




 할머니는 이런 질문이 익숙하시다는 듯, 일어나서 그간의 이야기들을 들러주셨다. 여기가 너무 지저분하고 외지고 관리가 안되니, 시에다가 여러번 얘기도 해보고 했었는데 그 때 뿐이라, 운동 삼아서 시작한 일이 이렇게 되었다고 하셨다. 여기가 말도 못하게 지저분했었고 그렇다 보니 사람들이 더 갖다 버리고, 말도 못했다고 하시며. 그런데 하나하나 개간하고, 돌도 골라서 놓고, 심고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쓰레기도 안 갖다 버리고, 시에서도 관심갖고 주변에서 애쓴다고 표창까지 받았었다고. 



그런데, 할머니가 그러셨다. 


"근데, 오히려 내가 더 좋아요. 이렇게 나와서 하다보면 잡념도 사라지고, 몸이 더 건강해졌어. 내가 아는 사람도 암환자였는데 텃밭가꾸고, 매일 햇볕쐬고 하면서 좋아졌거든, 다 나았어. 내가 표창받으려고 시작한 일은 아니었지만 뭐, 하다보니 나도 좋고 사람들도 좋아해주니까 계속 하는거야."



 요즘도 종종 할머니가 큰 가방과 모자를 챙겨 틈틈히 화초를 가꾸고 하시는 모습을 본다. 그 때마다 인사를 드리지는 못 하지만, 여유가 될 때는 눈인사도 하고 감사하다는 마음도 전한다. 덕분에 아이도 매일 하원하는 길에 할머니가 만들어 주신 정원에 올라 흙도 밟고, 솔방울도 줍고, 고양이 집도 둘러보며 좀 더 머물다 집으로 간다. 인상깊은 건 할머니가 산쪽에 있던 쓰레기들을 정리하시고, 땅을 골라 화초들과 나무들을 가꾸시다 나온 어마어마한양의 돌들을 다 고르고 골라 산 중턱에 낮은 돌담을 쌓은 곳이 있는데 그 곳이 들고양이들의 집과 놀이터가 되었다. 덕분에 동네 주민분들이 돌아가며 고양이 가족에 밥도 주고 물도 주시는 것 같다. 아이들은 하원하고 매일 고양이 주변을 서성이는데, 고양이는 늘 무서운지 곁을 주지 않는다. 오직 밥주러 오시는 아주머니들에게만 다가간다. 


 할머니께서 하셨던 말씀중에 인상깊었던 건, 내 주변, 내가 사는 곳을 공무원이나 시에서 알아서 가꾸고 하는 게 당연하고 맞지만, 그 전에 내가 먼저 가꾸고 관심가지는 게 더 당연한 거 아니겠냐고 했던 말이다. 요즘은 그런 문화가 많이 사라졌지만, 생각해보면 내가 어릴 때만해도 반상회도 있었고, 동네사람들이 나와서 청소도 하고, 안부도 묻고 했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아파트라는 주거문화가 들어오면서 그러한 문화는 거의 다 사라졌고, 세상이 각박해지며 당장 주변을 돌아볼 여유는 더더욱 사라졌다.



 할머니 덕분에 매일 아침과 오후 등하원길이 즐겁다. 봄 여름 가을 겨울, 할머니의 손 끝에서 피어난 꽃과 풀 나무들이 우리를 반겨준다. 요즘은 메리골드가 활짝 피어 가을이 더 진하게 다가온다. 할머니의 작지만 큰 선의로 시작한 일이 누군가에게는 기쁨이 되고, 그날의 기분이 된다. 할머니는 어쩌면, 정말 좋으시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어떻게 보면 자신이 가꾸고 나누는 큰 정원이 생긴 거니까. 




 오늘 오후에 가보니 정원에 점점 살림이 는다. 이렇게 컵에 떨어진 메리골드를 꽂아두시고. 분명 할머니가 하신걸꺼야.^^

 할머니는 이 길을 아는 모두에게 작은 정원을 하나씩 선물한 셈이다. 그리고 끈임없이 메세지를 보내시는 것 같다.


 "이 공간을 예뻐해주세요. 이 길을 아껴주세요. 이 곳도 우리가 사는 곳이랍니다." 





작가의 이전글 칼국수와 쌀국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