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oonje Dec 21. 2021

NFT 투자-미술품 분할 소유 "조각투자"에 대하여

피카소의 그림을 만원에 살 수 있는 유일한 방법




미술품 분할 소유 "조각투자"


이제 본격적으로 NFT를 이용한 미술품 투자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한다.


NFT 투자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오늘은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NFT 기술을 활용한 “조각투자” 즉 “미술품 분할 소유”에 대하여 다루어 보기로 한다.



NFT 그림을 사고파는 것은 블록체인 지갑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여러 가지로 절차가 복잡하지만 오늘 소개할 “조각투자”는 주식투자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간단히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라서 처음으로 소개해 보고자 한다. 개인적으로는 사실 이 방법으로는 수익률이 미미할 것이라 생각해서 크게 관심을 두고 있지는 않고 있는데,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고 그 개념이 상당히 재미있어서 다루어 보고자 한다.



|미술품 조각투자란?


미술품 분할 소유, 즉 NFT 기술을 활용한 미술품 조각투자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미술품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부자들이 애용하는 재테크 수단이었다. 미술품은 확실히 괜찮은 투자처이지만! “쿠사마 야요이의 호박 54억 원 낙찰” 등의 기사에서 보듯이 54억은커녕 1억 도 없는 대부분의 서민들에게는 쉽게 도전하기 힘든 분야였다. 서민들에게는 억 소리가 나는 유명 작가들의 작품은 감히 소유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없는 것이었으나, 최근 블록체인 NFT 기술을 활용하여 어느 광고에서 말하듯 “만원으로 피카소의 작품을 소유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NFT는 특정 자산에 대한 고유한 소유권을 토큰으로 발행한 것이다. 개별 토큰은 고유의 특성을 지녀 대체 불가능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소유권을 조각조각 나누어 지분을 나누어 가지는 형태의 미술품 분할 소유, 즉 “조각투자”가 가능하다.


|조각투자 원리 및 방법|


조각투자의 대략적인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우리가 잘 아는 피카소의 작품이 1억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을 하자. (실제로는 1000억 원도 넘겠지만. 아무튼) 먼저 “조각투자” 미술품 분할 소유권을 발행하는 플랫폼에서 이 작품을 구매를 한다.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위 작품의 소유권을 만 조각으로 분할하여 각각 NFT 토큰을 발행한다. 그리고 그 각 NFT토큰(즉, 분할된 소유권, 지분)을 만원에 판매를 하는 것이다. 1개의 NFT 토큰을 구매한 사람은 1/10000 만큼의 피카소의 작품을 소유하게 된 것이다. 즉 온전한 1개를 소수점 단위로 나누어 가지는 소수점 투자가 가능해진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만원으로 피카소의 작품을 소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만 분의 1 조각일 뿐이라도 말이다."



|투자 수익을 얻는 3 가지 방법|


그렇다면 만 분의 일 조각으로 어떻게 투자 수익을 낼까? 기본적으로 3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작품 매각에 따른 이익금액 분배


실물 미술작품을 소유한 플랫폼에서 위 작품을 자신들이 사들였던 가격보다 비싼 가격에 되팔면서 위 차액을 지분율만큼 투자자들에게 나누어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1억 원의 작품을 1억 5천만 원에 판매를 하였다고 치자. 그렇다면 차액인 5천만 원을 각각 지분율에 비례하여 투자자들에게 배분을 한다. 1만 원의 1조각을 보유하고 있다면, 5000원을 지급받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 랜탈 수익 분배


실물 미술작품을 대여해주고 거기서 나오는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분해주는 방식이다. 내 지분이 들어간 내 미술작품이 아르바이트?! 를 열심히 뛰어 주어서 여기서 수익이 발생한다면 이에 대한 수익을 내 지분율만큼 나누어 받게 된다.



세 번째, 조각 거래소를 통한 매매


주식거래를 하듯이 내가 산 조각을 다른 투자자에게 매매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당시 1억 원짜리 작품에 대해 만 분의 일 소유권을 1만 원에 구매를 했다. 이 작품에 대해서 소유권을 구매하고 싶은 사람은 1만 2천 원에라도 구매하려고 한다. 내 조각의 시세가 오르고 나는 이 소유권 1조각을 1만 2천 원에 다른 투자자에게 팔았다. 그렇다면 2천 원의 이익이 생기는 것이다.



위와 같은 3 가지 방식으로 조각거래를 통해 투자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미술품 조각투자플랫폼 사이트


아트투게더

https://www.weshareart.com/

프로라타

https://www.smlounge.co.kr/search/all/arena/1/30?q=%ED%94%84%EB%A1%9C%EB%9D%BC%ED%83%80

테사

https://www.tessa.art/#/

SOTWO(서울옥션)

https://www.sotwo.com/


등등 다양한 사이트들이 존재한다. 미술품뿐만 아니라, 최근 광고에 자주 등장하는 음악 저작권, 값비싼 와인, 명품 시계 등등 분할된 소유권을 거래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트들이 존재한다.




|조각 투자 후기


개인적으로 위와 같은 방식으로는 쉽게 수익을 내기 어려울 것 같아, 경험 삼아 소액의 금액으로만 투자를 해 보았다.

먼저 공동구매 참여 결과


매번 오후 2시에 열리는 공동구매는 플랫폼에서 사들이는 작품의 소유권을 만원 단위로 공동 구매하는 것이다.


나는 문형태의 “Tagger”라는 작품을 공동구매에 참가해 만원에 구매하였고, 현재 평가 금액은 10500원으로 500원의 이익을 얻었다.


두 번째,


데이비드 호크니의 Untitled No. 13 from “The Yosemite Suite”


이거는 조각거래 방식으로 구매를 했고 평균 단가 11300원에 두 조각 구매를 하였는데 현재 평가 금액이 한 조각에 11000으로 600원 손해를 보고 있다.



사실 데이비드 호크니의 작품을 공동구매로 구매해 보고 싶었으나, 두시를 넘겨 사이트에 들어가는 바람에 조각거래소를 통하여 다른 투자자에게 11300원에 구매를 했다.


호크니의 작품을 구매해 보고 싶었던 이유는 데이비드 호크니가 다음과 같이 외쳤기 때문이다.



“나는 도무지 NFT 아트를 이해할 수 없다. (NFT 아트 투자에 앞장선 사람들은) 국제적인 사기꾼이다.”



다음 시간에는 유명 작가 소개로 쿠사마 야요이에 이어 데이비드 호크니에 대해서 소개해 보고자 한다.


작가의 이전글 원본의 복사본이 나타날수록 원본의 가치는 커진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