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피티맨 Jun 22. 2021

[똑똑한개발자] SKB-넷플릭스, 인터넷망 전쟁

녕하세요.

대한민국 1위 스타트업 전문 개발사,

똑똑한개발자입니다!

https://toktokhan.dev/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퍼지면서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고, 급격하게 사용량이 늘어난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넷플릭스와 같은 OTT 서비스 기업들입니다.

OTT 서비스란.  인터넷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영화·교육 등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라고 부르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여기서 ISP란,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주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대표적으로 국내에는 SK브로드밴드(SKB)가 있습니다.


누구보다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넷플릭스, SKB가 인터넷 망 이용대가로 인해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주장은 간단하게 다음과 같습니다.


" ‘전 세계 누구나 평등하고 자유롭게 어느 곳이든 갈 수 있다’는 인터넷 기본 정신으로 

SKB가 주장하는 망 사용량에 비례해 비용을 내는 것은 부당하다는 취지." 

 “SKB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는 전송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넷플릭스와 같은 CP는 인터넷 이용자 중 하나로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CP에 망 사용료를 달라는 것은 ISP가 자신의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다" 


라는 게 넷플릭스의 주장입니다.


반대로 SKB의 주장은 간단하게 다음과 같습니다.


“넷플릭스에서 발생시키는 트래픽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과도하다"

"넷플릭스 가입자가 많아지며 일반 망으로 소통할 수 없는 수준이 됐다" 

"넷플릭스만을 위한 전용회선을 만들어줄 수밖에 없다."

"넷플릭스 이용 관련 영문 약관에 ‘가입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가입자에게 단말기를 보내준다' 등의 문구가 있다는 점도 지적하며 넷플릭스에게 망 이용 대가를 내야 할 의무가 있다."


간략하게 둘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넷플릭스가 SKB에 콘텐츠를 제공하고, SKB 원래 하던 일대로 망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넷플릭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 대가로 소비자들에게 이용료를 받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두 회사의 주장을 보시면 어떤 쪽의 주장이 맞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스타트업 전문 개발사와 함께 나만의 스타트업을 시작하려면?

↓ 클릭 

https://toktokhan.dev/



작가의 이전글 [똑똑한개발자] 클라우드란 무엇인가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