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흰샘 Mar 09. 2024

흰샘의 漢詩 이야기_청평사에서

有客(유객) 나그네     

金時習(1435~1493)


有客淸平寺(유객청평사) 떠도는 손 청평사 찾아왔거니

春山任意遊(춘산임의유) 봄 산에서 멋대로 놀아볼거나

鳥啼孤塔靜(조제고탑정) 새 우짖는 외론 탑 고요는 하고

花落小溪流(화락소계류) 낙화 띄운 냇물은 흘러만 간다

佳菜知時秀(가채지시수) 맛난 나물 때를 알아 쑥쑥 자라고 

香菌過雨柔(향균과우유) 향기론 버섯 봄비 맞아 야들하구나

行吟入仙洞(행음입선동) 신선골로 걸어 들며 읊조리자니

消我百年憂(소아백년우) 내 평생 한시름이 사라지누나     

[번역: 흰샘]          

청평사 전경

매월당 김시습은 긴 설명이 필요 없는 인물이다. 사실은 쉽게 설명할 수 없는 인물이라 해야 더 맞을 것이다. 우리는 그가 우리나라 본격 한문 소설인 <금오신화>의 작가 정도로만 알고 있지만, 정작 그의 문학적 특장처는 시에 있다. 남아있는 시만도 2천수가 넘는데, 그가 거의 일생을 떠돌아다닌 점을 감안한다면 그가 지은 시는 그보다 훨씬 많을 것이다.


김시습의 일생은 ‘떠돌이’로 치환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조선 팔도를 두루 떠돌아다녔다. 마음의 정처(定處)가 없으니 몸의 정처도 없었다. 아울러 사상의 정처도 없었다. 여러 번 절에 들어가 중이 되었다가 다시 나와 선비가 되었다. 나의 스승 임형택 선생은 그런 그를 ‘방외인(方外人)’이라는 인간상으로 특정하셨다. 세상이 정해 놓은 규범 밖을 떠도는 사람이라는 의미 정도가 될 것이다. 


김시습이 떠돌다 머문 곳 가운데 청평사도 있었다. 이 詩 외에는 청평사에 김시습의 자취가 남아있지 않은 것을 보면 오래 머문 것 같지는 않다. 김시습은 아마 봄이 무르익은 어느 날 청평사를 방문했나 보다. ‘새 우짖는 외론 탑’은 분명 고려선원 안에 있는 삼층석탑을 가리킬 것이다. 커다란 바위 위에 자리잡고 있는 아담한 탑이다. 그 아래로 ‘낙화 띄운 냇물’이 흐른다.      

김시습의 시에 등장하는 탑


그리고 꽃이 떠가던 냇물

내가 청평사를 찾은 날은 아직 봄이 익지 않아 새와 꽃은 볼 수 없었지만, ‘고요한 석탑’과 ‘흐르는’ 냇물은 변함이 없었다. 경칩을 하루 지낸 날, 영지(影池)에선 막 겨울잠에서 깨어난 개구리들이 짝을 찾는 소리가 애절하게 들려왔다. 응달에는 아직 잔설이 남아있었지만, 개구리는 이미 봄인 줄 알고 봄을 부르고 있었다. 굳이 ‘한시름’이라 할 시름도 내겐 없지만, 그래도 차안(此岸)과 피안(彼岸)을 나누기도 하고 연결하기도 하는 작은 돌다리를 건너 청평사에 들어갈 때는 매월당이 노래한 그 ‘신선이 사는 골짝’으로 한발 다가서는 느낌이었다. 

차안과 피안을 나누는 돌다리


작가의 이전글 밑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