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Life View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나영 Dec 01. 2021

END와 MEANS 관계

정당화의 조건

End(목적)와 Means(수단)의 관계


이에 대한 당대 주요한 철학자와 작가들의 정의가 흥미롭습니다.


미국의 유명한 철학자이자 교육자인 존 듀이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 AZ Quates


사용된 수단이 실제로 바라던 그리고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때에 한해서,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
By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




20세기 실존주의 대표작가 알베르 카뮈는 1951년 자신의 책 <The Rebel: An Essay on Man in Revolt>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 AZ Quates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고? 가능은 할 것이다. 그러나, 목적은 무엇이 정당화하는가? 역사적 사상가들이 미정으로 남겨놓은 이 질문에 대하여, 반란군은 이렇게 답한다. 수단이라고.
By 알베르 카뮈 (Albert Camus, 1913~1960)




러시아계 미국인 소설가, 극작가, 영화 각본가인 아인 랜드는 1988년 그녀의 어휘에 관해 사후 발간된 책 <The Ayn Rand Lexicon: Objectivism from A to Z>에 따르면 이렇게 말했습니다.


ⓒ AZ Quates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하지 않는다. 누구의 권리도 다른 사람들의 권리를 파괴함으로써 보장될 수 없다.
By 아인 랜드 (Ayn Rand, 1905~1982)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전 바람직한 결과를 낳더라도 수단이 바람직하지 않으면, 그 결과가 정당화되어선 안 될 것 같은데요.


그럼, 그 수단이 바람직하다고 정당화해줄 기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중요해질 텐데요. 아인 랜드가 아마도 이런 고민을 하다가, 적어도 타인의 권리를 해치지 않아야 한다는 필수불가결한 조건을 강조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내가 원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아무리 강력하고, 편리한 수단이 내게 있더라도, 만약 그 수단이 타인의 권리를 부당하게 빼앗거나, 정의롭지 않게 불이익을 줄 가능성이 있는 거라면, 과감히 배제하면서 살도록 노력해야겠다는 나만의 각오를 다져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의 포스트 퍼포스 역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