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의사 권고은 Sep 05. 2023

두통, 미간통증, 압박감은 왜 생기는걸까?

다양한 두통이 생길 수 있는 경우 



목이나 어깨의 불편감을 호소하는 많은 환자분들이 미간찌릿함이나 압박두통을 느낍니다.


눈썹이 지끈거리는 듯한 느낌으로 눈을 뜨는 것이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며, 눈이 빠지는 듯한 뻑뻑한 느낌이 들기도 하고, 더 심해지면 미간이나 콧대까지 찌릿한 느낌이 생길 수 있는데요. 이런 증상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머리의 압박감이나 미간찌릿함, 뻐근함의 원인으로는 첫째로 긴장성 두통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은 일반적으로 머리를 둘러싸는 듯한 두통이나 머리 전체가 조이는 듯한 두통으로 표현되는데요.


하지만 실제로 진료 현장에서 이러한 긴장성 두통 환자분들을 만나게 되면, 이 두통 증상이 상당히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압박두통이나 미간찌릿함 역시 그 중 하나입니다.






두 번째로 미간찌릿함과 압박두통을 느끼는 원인으로는 눈 위쪽으로 빠져나가는 신경의 문제를 들 수 있습니다.


눈 주위의 신경에 압박이 생기면 눈의 뻑뻑한 느낌, 안구의 빠질 듯한 통증, 미간의 통증, 심하면 미간찌릿함이 생길 수 있죠.


이 신경은 주로 머리를 전후로 감싸는 근육이 긴장되고 수축될 때 압박을 받게 됩니다. 이러한 압박이 누적되면 머리 전체에 압박감이 느껴지며,


더 심하면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신경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면 통증 뿐만 아니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간찌릿함이나 압박두통은 실제로 원인을 찾아 적절한 침 치료나 약침 치료로 빠르게 호전될 수 있으며, 추나 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증상이 전신적인 난치성 통증 질환, 예를 들어 섬유근육통이나 부정렬증후군 등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 통증 치료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만성적인 통증이 오래 지속되거나 두통이 완화되지 않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조직들의 근처나 조직 자체에 변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양방의 단순한 진통제 처방이나 주사 치료로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습니다.


 만성 통증을 겪는 환자 대부분은 경추와 천골이 불균형한 상태이며 주변 조직에도 유착이 생겨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상황은 머리 후면 부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직 변화와 신경 압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도침치료나, 필요에따라 조직과 신경의 재생을 돕는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한 미간찌릿함이나 압박두통을 겪는 환자라 하더라도,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원인을 다각적으로 판단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족저근막염, 난치성두통, 삼차신경통, 척추관협착증, 섬유근육통 등

다양한 난치성 진환의 치료 후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click) >>  https://bit.ly/3R7OVhv






한의사 권고은

대한 약침학회 학술위원

대한연부조직학회 정회원

척추도인안교학회 정회원

턱관절균형의학회 정회원

동의방약학회 정회원

한방 비만학회 회원

한방 신경정신과학회 회원

대한 응용근신경학회 회원

한국자격협의회 심리상담사 1급


전) 대한 한의사협회 코로나 한의 진료센터 위촉의

전) 매일경제TV '건강한의사' 목요일 고정패널

전) 매일경제TV '한방이 답이다'

전) 한방 피부과학회 국장

전) 한의정보협동조합 홍보이사

전) 한의학 정보 잡지 '온보드' 편집위원

난치성 다이어트 치료 정기 강연

교통사고환자 척추교정 논문

목디스크&허리디스크 환자의 침도요법 논문

저서 : Hands-On Long Needle Technique : Korean Acupuncture


작가의 이전글 발저림통증이 다 족저근막염은 아니에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